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건설공사 생산성 향상을 위한 21세기형 표준화 및 정보화 기술개발(최종):제3세부과제-건설기술연구개발지원 첨단정보시스템 개발:제4세부과제-건설공사정보데이터베이스 개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 high quality research results. It can be useful to the construction research activities, and also to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researchers engage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is system provides not only bibliographic data which has been provided by traditional information systems, but the full-text data of the construction research results. So, it will be effective to supporting the construction research activities and be useful for supply and demand system of construction manpower.
      번역하기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 high quality research results. It can be useful to the construction research activities, and also to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researchers engaged in 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web-based information system which provide high quality research results. It can be useful to the construction research activities, and also to the supply and demand system of researchers engaged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This system provides not only bibliographic data which has been provided by traditional information systems, but the full-text data of the construction research results. So, it will be effective to supporting the construction research activities and be useful for supply and demand system of construction manpow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술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연구자 및 기술자들에게 다양한 기술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서비스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의 건설기술자립도를 높이고 건설기술 선진화를 이룩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분야의 연구개발활동을 최적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발간되는 연구보고서와 건설교통부의 관리업무 중 발생되는 건설기술분야 정보들 즉, 산학연보고서, 정부인정신기술정보, 건설기술 정보지 등의 원문을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건설기술분야의 정보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고 이를 확산시킴으로써 건설교통분야가 고도정보화 사회구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조성하고자 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술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연구자 및 기술자들에게 다양한 기술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적재적소에 ...

      본 연구는 국내 건설기술 연구개발에 종사하는 연구자 및 기술자들에게 다양한 기술정보를 신속, 정확, 편리하게 제공하고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념의 정보서비스 시스템으로 우리나라의 건설기술자립도를 높이고 건설기술 선진화를 이룩하여 국가경쟁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분야의 연구개발활동을 최적 지원하기 위하여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발간되는 연구보고서와 건설교통부의 관리업무 중 발생되는 건설기술분야 정보들 즉, 산학연보고서, 정부인정신기술정보, 건설기술 정보지 등의 원문을 웹상에서 이용자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개발하여 건설기술분야의 정보인프라를 조기에 구축하고 이를 확산시킴으로써 건설교통분야가 고도정보화 사회구현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그 기반을 조성하고자 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제2장 디지털 정보 서비스기관 사례분석
      • 제1장 서 론
      •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2 연구의 목적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제2장 디지털 정보 서비스기관 사례분석
      • 2.1.국외사례
      • 2.2 국내 건설연구분야 정보서비스
      • 제3장 지식정보센터로서의 건설전자도서관
      • 3.1.도서관의 진화
      • 3.2 지식정보센터
      • 3.3 지식정보센터의 전략
      • 3.4 지식정보센터로서의 건설전자도서관
      • 제4장 건설전자도서관의 웹사이트 개발
      • 4.1 개발목적
      • 4.2 이용자 대상
      • 4.3 제공정보
      • 4.4 첨단정보시스템 개발시 적용사항
      • 4.5 원문제공서비스
      • 제5장 첨단정보서비스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축
      • 5.1 연구보고서
      • 5.2 건설신기술
      • 5.3 건설기술정보지
      • 5.4 건설연구자 인력DB
      • 5.5 통합검색
      • 5.6 선택정보보관함
      • 5.7 자유게시판
      • 5.8 관리자에게 메일
      • 5.9 Input Tool
      • 제6장 첨단정보서비스시스템 개요
      • 6.1 시스템개발 목적과 특징
      • 6.2 시스템 구성도
      • 6.3 하드웨어 구성 내용
      • 6.5 설계서
      • 제7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 기여도
      • 제8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참고문헌
      • 제1장 서 론
      • 제1절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 제2절 연구개발의 목적
      •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제2장 건설공사정보 데이터베이스 개발
      • 제1절 재해, 안전 및 우수시공사례정보 데이터베이스개발 정보화 기반조사
      • 제2절 건설정보 분류체계에 대한 종합평가
      • 제3절 건설공사 정보데이터베이스 개발 부문
      • 제3장 결론
      • 제1절 결론
      • 제2절 연구개발목표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 제3절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