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김영사 2017
2 애슐리 몬터규, "터칭" 글항아리 2017
3 니체, "비극의 탄생" 청하 1982
4 필립 라쿠-라바르트, "문학적 절대―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 그린비 2015
5 로버트 맥체스니, "디지털 디스커넥트" 삼천리 2014
6 이사야 벌린, "낭만주의의 뿌리" 이제이북스 2005
7 M.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8 R. Descartes, "OEuvres et lettres" Gallimard 1953
9 Novalis, "L’Encyclopédie" Minuit 1966
10 Ph. Lacoue-Labarthe, "L’Absolu littéraire" Seuil 1978
1 유발 하라리, "호모 데우스" 김영사 2017
2 애슐리 몬터규, "터칭" 글항아리 2017
3 니체, "비극의 탄생" 청하 1982
4 필립 라쿠-라바르트, "문학적 절대―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 그린비 2015
5 로버트 맥체스니, "디지털 디스커넥트" 삼천리 2014
6 이사야 벌린, "낭만주의의 뿌리" 이제이북스 2005
7 M. Merleau-Ponty, "Phénoménologie de la perception" Gallimard 1945
8 R. Descartes, "OEuvres et lettres" Gallimard 1953
9 Novalis, "L’Encyclopédie" Minuit 1966
10 Ph. Lacoue-Labarthe, "L’Absolu littéraire" Seuil 1978
11 Nietzsche, "Jenseits von Gut und Böse, Werke, VI-2" Walter de Gruyter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