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익유연화를 위한 발생액 조정과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 = Accruals Management for Income Smoothing and Accruals Anoma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70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persistence of accruals and the accruals anomaly according to income smoothing level. This study seeks the cause for accruals anomaly from a new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role of income smoothing through accruals management whereas most previous studies consider the cause for accruals anomaly as functional fixation hypothesis.
      The analysis results in these three: First, accruals anomaly for total accruals grow as income smoothing level increases. Second, accruals anomaly for discretionary accruals increases as income smoothing level rises. Third, in case of income smoothing level rise, earnings persistence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nd its accruals anomaly have no significant change, but earnings persistence of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and its accruals anomaly increase.
      The fact that a certain company has high income smoothing level and that it reports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informs a positive prediction that interes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third, on the one hand, may be interpreted that income smoothing increases earnings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at its accruals anomaly increases only when we predict negativ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income smoothing to capital market lacks the accuracy and that it does not attract market responses.
      This study is focused on accruals anomaly, but it makes contribution in a respect that it sheds light on the role of income smoothing. The fact that income smoothing increases only accruals anomaly whereas it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rise in earnings persistence of accruals shows that the act of income smoothing may give a negative effect on capital market.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persistence of accruals and the accruals anomaly according to income smoothing level. This study seeks the cause for accruals anomaly from a new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role of income smoothing through accruals management ...

      This study examines the persistence of accruals and the accruals anomaly according to income smoothing level. This study seeks the cause for accruals anomaly from a new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role of income smoothing through accruals management whereas most previous studies consider the cause for accruals anomaly as functional fixation hypothesis.
      The analysis results in these three: First, accruals anomaly for total accruals grow as income smoothing level increases. Second, accruals anomaly for discretionary accruals increases as income smoothing level rises. Third, in case of income smoothing level rise, earnings persistence of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and its accruals anomaly have no significant change, but earnings persistence of negative discretionary accruals and its accruals anomaly increase.
      The fact that a certain company has high income smoothing level and that it reports positive discretionary accruals informs a positive prediction that interest will increase in the future. Therefore, the third, on the one hand, may be interpreted that income smoothing increases earnings persistenc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that its accruals anomaly increases only when we predict negative information. On the other hand,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income smoothing to capital market lacks the accuracy and that it does not attract market responses.
      This study is focused on accruals anomaly, but it makes contribution in a respect that it sheds light on the role of income smoothing. The fact that income smoothing increases only accruals anomaly whereas it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rise in earnings persistence of accruals shows that the act of income smoothing may give a negative effect on capital marke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와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을수록 총 발생액 및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유연화를 통해 자본시장에 전달되는 사적정보에 대해 자본시장의 반응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재량적 발생액을 양(+)과 음(-)으로 구분한 경우, 이익유연화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음(-)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해서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으면서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고했다는 것은 미래이익이 증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으면서 음(-)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고했다는 것은 미래이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결과는 부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경우에 이익유연화가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의 원인이 발생액의 신뢰성 문제 또는 이익 고착화 현상에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에 의하면 발생액의 이익 지속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에서는 이러한 속성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은 경우 발생액 또는 재량적발생액의 이익 지속성이 감소한다는 결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증가한다는 결과는 그 주된 원인이 발생액의 신뢰성 문제 또는 이익 고착화 현상에 있다고 단정 짓기 어렵게 한다. 아울러 이익유연화 행위가 자본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와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을수록 총 발생액 및 재량적 발생액에 대...

      본 연구는 이익유연화와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을수록 총 발생액 및 재량적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익유연화를 통해 자본시장에 전달되는 사적정보에 대해 자본시장의 반응이 효율적이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재량적 발생액을 양(+)과 음(-)으로 구분한 경우, 이익유연화 수준이 증가하게 되면 음(-)의 재량적 발생액에 대해서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증가한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으면서 양(+)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고했다는 것은 미래이익이 증가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으면서 음(-)의 재량적 발생액을 보고했다는 것은 미래이익이 감소할 것이라는 부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두 번째 결과는 부정적인 정보가 예측된 경우에 이익유연화가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발생액에 대한 자본시장 이상현상의 원인이 발생액의 신뢰성 문제 또는 이익 고착화 현상에 있다고 주장하는 연구에 의하면 발생액의 이익 지속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에서는 이러한 속성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상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 이익유연화 수준이 높은 경우 발생액 또는 재량적발생액의 이익 지속성이 감소한다는 결과는 발견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본시장 이상현상이 증가한다는 결과는 그 주된 원인이 발생액의 신뢰성 문제 또는 이익 고착화 현상에 있다고 단정 짓기 어렵게 한다. 아울러 이익유연화 행위가 자본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관, "현금전환가능성에 따른 발생액의 질과 시장이상현상" 한국회계학회 32 (32): 1-26, 2007

      2 고종권, "재무이익-세무이익의 일치성에 따른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과 시장반응" 한국회계학회 33 (33): 141-188, 2008

      3 고종권,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와 이익, 현금흐름 및 발생액의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127-162, 2006

      4 송인만, "이익유연화현상과 정보효과" 22 (22): 193-220, 1997

      5 이명곤, "이익유연화를 위한 회계발생액 조정과 감사품질" 한국경영교육학회 (57) : 233-253, 2009

      6 김지홍, "이익 조정 여부에 따른 발생액 이상 현상의 차이" 한국회계학회 33 (33): 103-139, 2008

      7 남천현, "손실수준과 발생액 이상현상의 관계"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163-192, 2011

      8 백원선, "발생액의 지속성, 가치관련성 및 시장효율성" 한국경영학회 38 (38): 165-191, 2009

      9 권수영,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경영자예측정보의 정확성" 한국회계학회 34 (34): 107-141, 2009

      10 손성규, "경영자의 자발적 회계정보 예측에 대한 주식시장에서의 정보효과" 22 (22): 159-191, 1997

      1 최관, "현금전환가능성에 따른 발생액의 질과 시장이상현상" 한국회계학회 32 (32): 1-26, 2007

      2 고종권, "재무이익-세무이익의 일치성에 따른 이익구성요소의 지속성과 시장반응" 한국회계학회 33 (33): 141-188, 2008

      3 고종권, "재무보고이익-세무보고이익의 차이와 이익, 현금흐름 및 발생액의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반응" 한국회계학회 31 (31): 127-162, 2006

      4 송인만, "이익유연화현상과 정보효과" 22 (22): 193-220, 1997

      5 이명곤, "이익유연화를 위한 회계발생액 조정과 감사품질" 한국경영교육학회 (57) : 233-253, 2009

      6 김지홍, "이익 조정 여부에 따른 발생액 이상 현상의 차이" 한국회계학회 33 (33): 103-139, 2008

      7 남천현, "손실수준과 발생액 이상현상의 관계" 한국회계정보학회 29 (29): 163-192, 2011

      8 백원선, "발생액의 지속성, 가치관련성 및 시장효율성" 한국경영학회 38 (38): 165-191, 2009

      9 권수영, "공정공시제도 도입 이후 경영자예측정보의 정확성" 한국회계학회 34 (34): 107-141, 2009

      10 손성규, "경영자의 자발적 회계정보 예측에 대한 주식시장에서의 정보효과" 22 (22): 159-191, 1997

      11 정우성, "경영자 이익예측정보의 정확성과 시장기대이익 대용치로서의 적합성" 21 : 265-293, 1997

      12 손성규, "경영자 이익예측공시 유무에 따른 차별적 시장반응" 한국회계정보학회 27 (27): 57-94, 2009

      13 Desai, H, "Value-glamour and Accruals Mispricing: One Anomaly or Two" 79 : 355-385, 2004

      14 Penno,M, "Unobservable Precision Choices in Financial Reporting" 34 (34): 141-150, 1996

      15 Dechow. P. M, "The Quality of Accruals and Earnings: The Role of Accrual Estimation Errors" 77 : 35-59, 2002

      16 Subramanyam,K.R, "The Pricing of Discretionary Accruals" 22 : 249-281, 1996

      17 Hanlon,M, "The Persistence and Pricing of Earnings, Accruals and Cash Flows When Firms have Large Book-tax Differences" 80 (80): 137-166, 2005

      18 Xie,H, "The Mispricing of Abnormal Accruals" 76 (76): 356-373, 2001

      19 Richardson, S. A, "The Implications of Accounting Distortions and Growth for Accruals and Profitability" 81 (81): 713-743, 2006

      20 Fairfield, P, "The Differential Persistence of Accruals and Cash Flows for Future Operating Income versus Future Profitability" 8 (8): 221-243, 2003

      21 Fama, E, "The Cross-sec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472 : 427-466, 1992

      22 Veronesi,P, "Stock Market Overreaction to Bad News in Good Times: A Rational Expectations Equilibrium Model" 12 (12): 975-1007, 1999

      23 Ronen, J, "Smoothing Income Numbers"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1981

      24 Fama, E, "Risk, Return, and Equilibrium: Empirical Tests" 81 (81): 607-636, 1973

      25 Sankar, M. R, "Reporting Discretion and Private Information Communication through Earnings" 39 (39): 365-386, 2001

      26 Kraft, A, "Regression Based Tests of the Market Pricing of Accounting Numbers: The Mishkin Test and Ordinary Least Squares" 45 (45): 1081-1114, 2007

      27 Kothari, S. P, "Performance Matched Discretionary Accrual Measures" 39 (39): 163-197, 2005

      28 Collins, D. W, "Lack of Timeliness and Noise as Explanations for the Low Contemporaneous Return-Earnings Association" 18 : 289-324, 1994

      29 Leuz, C, "Investor protection and earnings management" 69 (69): 505-527, 2003

      30 Beidleman,C, "Income smoothing: The role of management" 48 (48): 653-667, 1973

      31 Sankaraguruswamy,S, "Good News, Bad News and Earnings Return Relation" Purdue University. 1996

      32 Skinner, D. J, "Earnings Surprises, Growth Expectations, and Stock Returns or Don't Let an Earnings Torpedo Sink Your Portfolio" 7 (7): 289-312, 2004

      33 Rajgopal, S, "Does the Stock Market Fully Appreciate the Implications of Leading Indicators for Future Earnings? Evidence from Order Backlog" 8 (8): 461-492, 2003

      34 Tucker, J. W, "Does Income Smoothing Improve Earnings Informativeness" 81 (81): 251-270, 2006

      35 Sloan,R, "Do Stock Prices Fully Reflect Information in Accruals and Cash Flows about Future Earnings" 71 : 289-315, 1996

      36 Dechow, P, "Detecting Earnings Management" 70 : 193-225, 1995

      37 Shaw,K.W, "Corporate Disclosure Quality, Earnings Smoothing, and Earnings’ Timeliness" 56 : 1043-1050, 2003

      38 Kirschenheiter, M, "Can Big Bath and Earnings Smoothing Co-exist as Equilibrium Financial Reporting Strategies" 40 (40): 761-796, 2002

      39 Ball, R, "An Empirical Evaluation of Accounting Income Numbers" 6 : 159-178, 1968

      40 Richardson, S, "Accrual Reliability, Earnings Persistence and Stock Prices" 39 (39): 437-485, 2005

      41 Dechow,P.W, "Accounting Earnings and Cash Flows as Measures of Firm Performance: The Role of Accounting Accruals" 18 : 3-42, 1994

      42 Mishkin,F, "A Rational Expectations Approach to Macroeconometrics: Testing Policy Effectiveness and Efficient-Market Models.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8-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on -> Korea Accounting Information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5 1.25 1.443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