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산업화가 심화되어가는 가운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문화산업 육성 정책을 실행하고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세계의 문화산업과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부응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65981
2008
Korean
문화 ; 문화산업 ; 대중문화 ; 문화콘텐츠 ; 교육 ; 인문학 ; Culture ; Cultural Industry ; Popular Culture ; Cultural Contents ; Education ; Human Studies
학술저널
11-38(28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문화의 산업화가 심화되어가는 가운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문화산업 육성 정책을 실행하고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세계의 문화산업과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부응하...
문화의 산업화가 심화되어가는 가운데 정부는 지속적으로 문화산업 육성 정책을 실행하고있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세계의 문화산업과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에부응하듯 많은 대학은 문화산업에 적정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교육시설, 전문교수 요원의 부족, 실질적 교육프로그램의 부재와 같은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 글은 문화콘텐츠학과를 개설한 대학들이 교육 현장에서 겪는 몇 가지 어려움을 점검해보고 현재 문화콘텐츠 교육을 담당하는 대다수의 대학들이 추구 하고 있는 ‘실용적 인재 양성’이라는 구호가 공허한 외침으로만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비난이 아닌 비판적 지식’과 ‘산업 실무 지식’을 동시에 교육해야 함을 주장하기 위해 씌어졌다. 특히 동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가 무엇을 지향하며, 목적하는 바를 이루기 위해 어떠한 시행착오를 겪으며 지금의교과과정에 이르렀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cused on Curriculum of Dept of Cultural Contents of Dongguk University Kim Ki Jeong, Lee Jong Dae The government executes culture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goes on. In corresponding with growing other countries' cultu...
Focused on Curriculum of Dept of Cultural Contents of Dongguk University Kim Ki Jeong, Lee Jong Dae The government executes culture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industrialization of culture goes on. In corresponding with growing other countries' culture industry and the government's support, many universities also make efforts to supply with experts appropriate to culture industry. However, they are in difficulties for poor environment of education such as facilities, teaching staffs, and a curriculum. This is on purpose of suggesting that universities with a cultural contents department should consider its curriculum more practical way. And this argument will be discussed by drawing a case of department of cultural contents of Dongguk university as a model.
참고문헌 (Reference)
1 쿠란 구레비치, "현대언론과 사회" 나남 1993
2 최종덕, "학문의 위기와 학제간 프로그램이라는 작은 대안" 전국대학인문학연구소협의회 1998
3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4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1) : 2003
5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6 허버트 쉴러, "정보 불평등" 민음사 2004
7 이은경, "인문학과 정보과학기술의 학제간 연구․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6
8 조종흡, "의미 만들기와 의미 찾기" 개마고원 2001
9 문화체육관광부, "소프트파워가 강한 창조문화국가" 2008
10 신광철, "문화콘텐츠학과 교과과정의 현황과 전망" 2004
1 쿠란 구레비치, "현대언론과 사회" 나남 1993
2 최종덕, "학문의 위기와 학제간 프로그램이라는 작은 대안" 전국대학인문학연구소협의회 1998
3 장상호, "학문과 교육(중Ⅰ)"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4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1) : 2003
5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책세상 2006
6 허버트 쉴러, "정보 불평등" 민음사 2004
7 이은경, "인문학과 정보과학기술의 학제간 연구․교육 현황과 활성화 방안" 2006
8 조종흡, "의미 만들기와 의미 찾기" 개마고원 2001
9 문화체육관광부, "소프트파워가 강한 창조문화국가" 2008
10 신광철, "문화콘텐츠학과 교과과정의 현황과 전망" 2004
11 김만수, "문화콘텐츠와 대학교육" 대중서사학회 (16) : 57-80, 2006
12 전봉관, "문화콘텐츠 전문 인력 양성에서 인문학의 역할" 대중서사학회 (16) : 33-56, 2006
13 김평수, "문화콘텐츠 산업론"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14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 국내외 교육기관 현황조사" 2005
15 임영상, "문화콘텐츠 개발과 인문학" (6) : 2005
16 김 호, "문화 콘텐츠와 인문학" (1) : 2003
17 박이문, "문명의 위기와 문화의 전환" 민음사 1996
18 스튜어트 홀, "모더니티의 미래" 현실문화연구 2000
19 존 피스크, "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2005
20 존 스토리, "대중문화와 문화연구" 경문사 2005
21 허만, "글로벌 미디어와 자본주의" 나남 1998
22 매튜 아놀드, "교양과 무질서" 한길사 2006
23 노명우, "계몽의 변증법" 살림 2005
24 아도르노,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01
25 노명우, "‘문화헌장’제정과 문화정책의 과제" (46) : 2006
26 Karl E. Weick, "Theory Construction as Disciplined Imagination" 14 : 1989
어린이 통학차량 내 윈도우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영상 콘텐츠 적용 방안
한·일 넷우익 사이트와 혐한·반일 의식 - 니찬네루·재특회와 디시인사이드·일베저장소를 중심으로 -
예술중심 융합교육에서 모바일 증강현실(AR)의 활용방안
<쇼아(Shoah)>를 통해 고찰한 다큐멘터리에서의 은유의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