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성현, "한국전쟁기 예비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 한국사회사학회 (103) : 7-53, 2014
2 강성현,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4) : 87-128, 2012
3 최현,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비판사회학회 (86) : 95-124, 2010
4 안서현,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한국현대문학회 (55) : 313-344, 2018
5 "조선일보"
6 장용학, "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8
7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193-197, 2008
8 윤정란, "서북청년회 출신들의 정치적 배제와 부활" 숭실사학회 (33) : 157-198, 2014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2014
10 한수영, "사상과 성찰 : 한국 근대문학의 언어·주체·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1
1 강성현, "한국전쟁기 예비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 한국사회사학회 (103) : 7-53, 2014
2 강성현,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4) : 87-128, 2012
3 최현,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비판사회학회 (86) : 95-124, 2010
4 안서현,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한국현대문학회 (55) : 313-344, 2018
5 "조선일보"
6 장용학, "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8
7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193-197, 2008
8 윤정란, "서북청년회 출신들의 정치적 배제와 부활" 숭실사학회 (33) : 157-198, 2014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2014
10 한수영, "사상과 성찰 : 한국 근대문학의 언어·주체·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1
11 "사상계"
12 엄순영, "사법적 폭력과 법치주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1) : 49-79, 2016
13 슬라보예 지젝, "분명 여기에 뼈 하나가 있다" 인간사랑 2016
14 강정인,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법학연구소 49 (49): 40-75, 2008
15 "동아일보"
16 윤재왕, "권리를 위한 투쟁 법감정의 형성에 관하여" 새물결 2016
17 "경향신문"
18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 ― 4·19~5·16시기 혁명의 전유를 둘러싼 경합과 전략들"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15-158, 2011
19 이호철, "[단행본] 이호철 문학선집 5" 국학자료원 2001
20 권보드래,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상허학회 30 : 85-134,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