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19혁명의 투시도법- 1950년대 법감정과 숨은 주체 - = Perspective on the April 19 Revolution- Legal emotion of 1950s and hidden subje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07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legal emotion that made the April 19 Revolution possible and how the protagonists of the revolutionary period were established, by reading the novels together with the legal emotion of the time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s in the late 1950s. The violence of judicial power in the 1950s was the cause and result of the trend of authoritarianism and power worship. Both intellectuals and the general public had distrust in and fear of the order of law. In particular, the military police, who had a position above the law guaranteed by law, infringed on the rights of citizens in public and private areas. Their absolute power was reinforced by the Martial Law Act and National Security Law, which became more absolute whil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me permanent after the liberation. The violence of the law and alienation from the law gave people feelings of fear, shame, and insults beyond anxiety and anger. In the 1950s, many writers-intellectuals thought of such reality in an ethical level rather than a political level. the April 19 Revolution was achieved by various driving forces in a revolution who broke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1950s and acted as political actors. In this contex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re were hidden subject in the revolutionary period, who think ethically about such political issues and put their time to the present, including themselves, back in a single historical period called the postwar era. Their thoughts did not develop into political ones, so they could not come out as revolutionary forces in reality, however, when the revolution took place, they could play a role in approving that. They tried to play their own roles of the times, by looking into and internalizing the revolutionary forces as a transcendental and absolute vanishing poin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the success of the May 16 coup was also supported by the attitudes(viewpoints) of intellectuals who thought about the reality from ethical perspectives rather than political ones.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legal emotion that made the April 19 Revolution possible and how the protagonists of the revolutionary period were established, by reading the novels together with the legal emotion of the time that appeared in the...

      This article attempts to clarify the legal emotion that made the April 19 Revolution possible and how the protagonists of the revolutionary period were established, by reading the novels together with the legal emotion of the time that appeared in the newspapers in the late 1950s. The violence of judicial power in the 1950s was the cause and result of the trend of authoritarianism and power worship. Both intellectuals and the general public had distrust in and fear of the order of law. In particular, the military police, who had a position above the law guaranteed by law, infringed on the rights of citizens in public and private areas. Their absolute power was reinforced by the Martial Law Act and National Security Law, which became more absolute while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became permanent after the liberation. The violence of the law and alienation from the law gave people feelings of fear, shame, and insults beyond anxiety and anger. In the 1950s, many writers-intellectuals thought of such reality in an ethical level rather than a political level. the April 19 Revolution was achieved by various driving forces in a revolution who broke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1950s and acted as political actors. In this context, we need to remember that there were hidden subject in the revolutionary period, who think ethically about such political issues and put their time to the present, including themselves, back in a single historical period called the postwar era. Their thoughts did not develop into political ones, so they could not come out as revolutionary forces in reality, however, when the revolution took place, they could play a role in approving that. They tried to play their own roles of the times, by looking into and internalizing the revolutionary forces as a transcendental and absolute vanishing point.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the success of the May 16 coup was also supported by the attitudes(viewpoints) of intellectuals who thought about the reality from ethical perspectives rather than political on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50년대 말 신문매체에 나타난 당대 법감정과 함께 소설들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4.19혁명을 가능하게 했던 법감정과 혁명기 주체의 정립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1950년대 사법 권력의 폭력은 권력만능, 권력숭배의 풍조의 원인이자 결과였다. 법질서에 대한 불신과 공포의 감정은 지식인, 일반 대중 모두가 느끼는 것이었다. 특히 법률로 보장된 초법적 지위를 갖고 있던 헌병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가리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였다. 이들의 무소불위의 권력은 계엄법과 국가보안법에 의해 강화된 것으로, 해방 이후 분단이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절대화되었다. 법으로부터의 폭력과 소외의 경험은 불안과 분노를 넘어, 공포와 수치, 모욕의 감정을 느끼게 만들었다. 1950년대 상당수의 문인-지식인들은 이러한 현실을 정치적인 차원이 아닌 윤리적 차원에서 사고했다. 4.19혁명은 1950년대의 한계를 뚫고 정치적 행위 주체로 나선 다양한 혁명 주체들에 의해 성취되었다. 이와 함께 우리는 정치적 문제를 윤리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을 포함하여 현재까지의 시간을 전후시대라는 하나의 과거 시간으로 묶어서 뒤로 물렸던, 혁명기 숨은 주체들이 있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사유는 정치적인 것으로 나아가지 못했기에 현실에서 혁명주체로 나설 수 없었지만, 혁명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추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혁명 주체들을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소실점으로 응시하고 내면화함으로써, 자기 몫의 시대적 역할을 감당하고자 했다. 아울러 4.19혁명 이후 5.16 군사 쿠데타의 성공도 현실을 정치적으로 사유하기보다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했던 지식인들의 태도(관점)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50년대 말 신문매체에 나타난 당대 법감정과 함께 소설들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4.19혁명을 가능하게 했던 법감정과 혁명기 주체의 정립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1950년대 사법 권력...

      이 글은 1950년대 말 신문매체에 나타난 당대 법감정과 함께 소설들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4.19혁명을 가능하게 했던 법감정과 혁명기 주체의 정립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1950년대 사법 권력의 폭력은 권력만능, 권력숭배의 풍조의 원인이자 결과였다. 법질서에 대한 불신과 공포의 감정은 지식인, 일반 대중 모두가 느끼는 것이었다. 특히 법률로 보장된 초법적 지위를 갖고 있던 헌병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 가리지 않고 시민의 권리를 침해하였다. 이들의 무소불위의 권력은 계엄법과 국가보안법에 의해 강화된 것으로, 해방 이후 분단이 고착화되는 과정에서 절대화되었다. 법으로부터의 폭력과 소외의 경험은 불안과 분노를 넘어, 공포와 수치, 모욕의 감정을 느끼게 만들었다. 1950년대 상당수의 문인-지식인들은 이러한 현실을 정치적인 차원이 아닌 윤리적 차원에서 사고했다. 4.19혁명은 1950년대의 한계를 뚫고 정치적 행위 주체로 나선 다양한 혁명 주체들에 의해 성취되었다. 이와 함께 우리는 정치적 문제를 윤리적으로 사고하며, 자신을 포함하여 현재까지의 시간을 전후시대라는 하나의 과거 시간으로 묶어서 뒤로 물렸던, 혁명기 숨은 주체들이 있었음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들의 사유는 정치적인 것으로 나아가지 못했기에 현실에서 혁명주체로 나설 수 없었지만, 혁명이 일어났을 때 그것을 추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었다. 이들은 혁명 주체들을 초월적이고 절대적인 소실점으로 응시하고 내면화함으로써, 자기 몫의 시대적 역할을 감당하고자 했다. 아울러 4.19혁명 이후 5.16 군사 쿠데타의 성공도 현실을 정치적으로 사유하기보다 윤리적 차원에서 사유했던 지식인들의 태도(관점)에 의해 뒷받침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성현, "한국전쟁기 예비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 한국사회사학회 (103) : 7-53, 2014

      2 강성현,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4) : 87-128, 2012

      3 최현,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비판사회학회 (86) : 95-124, 2010

      4 안서현,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한국현대문학회 (55) : 313-344, 2018

      5 "조선일보"

      6 장용학, "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8

      7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193-197, 2008

      8 윤정란, "서북청년회 출신들의 정치적 배제와 부활" 숭실사학회 (33) : 157-198, 2014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2014

      10 한수영, "사상과 성찰 : 한국 근대문학의 언어·주체·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1

      1 강성현, "한국전쟁기 예비검속의 법적 구조와 운용 및 결과" 한국사회사학회 (103) : 7-53, 2014

      2 강성현, "한국의 국가 형성기 ‘예외상태 상례’의 법적 구조 ― 국가보안법(1948·1949·1950)과 계엄법(1949)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94) : 87-128, 2012

      3 최현, "한국 사회 진보의 주체" 비판사회학회 (86) : 95-124, 2010

      4 안서현, "최인훈 소설과 보안법" 한국현대문학회 (55) : 313-344, 2018

      5 "조선일보"

      6 장용학, "장용학 문학전집" 국학자료원 2008

      7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한나래 193-197, 2008

      8 윤정란, "서북청년회 출신들의 정치적 배제와 부활" 숭실사학회 (33) : 157-198, 2014

      9 에르빈 파노프스키, "상징형식으로서의 원근법" 도서출판 b 2014

      10 한수영, "사상과 성찰 : 한국 근대문학의 언어·주체·이데올로기" 소명출판 2011

      11 "사상계"

      12 엄순영, "사법적 폭력과 법치주의" 민주주의법학연구회 (61) : 49-79, 2016

      13 슬라보예 지젝, "분명 여기에 뼈 하나가 있다" 인간사랑 2016

      14 강정인, "민주화 이후 한국정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충돌" 법학연구소 49 (49): 40-75, 2008

      15 "동아일보"

      16 윤재왕, "권리를 위한 투쟁 법감정의 형성에 관하여" 새물결 2016

      17 "경향신문"

      18 이상록, "경제제일주의의 사회적 구성과 ‘생산적 주체’ 만들기 ― 4·19~5·16시기 혁명의 전유를 둘러싼 경합과 전략들"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15-158, 2011

      19 이호철, "[단행본] 이호철 문학선집 5" 국학자료원 2001

      20 권보드래, "4·19와 5·16, 자유와 빵의 토포스" 상허학회 30 : 85-13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