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극로, "훈민정음의 독특한 성음 관찰" 조선어학회 1 (1): 390-393, 1932
2 김현, "활용형의 재분석에 의한 용언 어간 재구조화" 국어학회 37 : 35-110, 2001
3 김현, "활용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국어학회 2006
4 김경아, "활용에서의 기저형설정과 음운현상" 서울대 국어연구회 94 : 1990
5 정인호, "화순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34 : 1995
6 김완진,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1 : 275-283, 1972
7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8 김경표, "해남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전남대 2008
9 최전승, "한국어방언사연구" 태학사 1995
10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1986
1 이극로, "훈민정음의 독특한 성음 관찰" 조선어학회 1 (1): 390-393, 1932
2 김현, "활용형의 재분석에 의한 용언 어간 재구조화" 국어학회 37 : 35-110, 2001
3 김현, "활용의 형태음운론적 변화" 국어학회 2006
4 김경아, "활용에서의 기저형설정과 음운현상" 서울대 국어연구회 94 : 1990
5 정인호, "화순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134 : 1995
6 김완진, "형태론적 현안의 음운론적 극복을 위하여" 서울대동아문화연구소 11 : 275-283, 1972
7 곽충구, "현대국어의 모음체계와 그 변화의 방향" 국어학회 41 : 59-91, 2003
8 김경표, "해남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전남대 2008
9 최전승, "한국어방언사연구" 태학사 1995
10 최전승, "한국어 방언의 공시적 구조와 통시적 변화" 역락 1986
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전라북도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경상남도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1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방언자료집, 전라남도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14 이진숙, "진도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전남대 2010
15 아숭녕, "중세국어문법" 을유문화사 1961
16 위진, "전설모음화의 발생과 적용 조건" 한국언어문학회 (73) : 69-89, 2010
17 강희숙, "전설모음화의 발달과 방언 분화" 44 : 521-541, 2002
18 이기갑, "전라남도의 언어지리" 탑출판사 1986
19 이기갑, "전남방언의 하위구획-문법적 형태를 기준으로" 한국언어문학회 21 : 379-394, 1982
20 이돈주, "전남방언" 형설출판사 1979
21 이상신, "전남 영암지역어의 공시음운론" 서울대 2008
22 김경표, "전남 도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전남대 2013
23 이기갑, "전남 곡성지역어의 언어와 생활" 태학사 2007
24 하신영, "전남 곡성지역어와 경남 창녕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 2010
25 丁埰三, "전남 강진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전북대학교 1995
26 손희하, "장성지역어의 음운, 석화정재완교수 정년기념논총" 전남대학교 2002
27 유창돈, "이조국어사연구" 선명문화사 1964
28 신승용, "음운변호의 원인과 과정" 태학사 2003
29 강희숙, "음운변이 및 변화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 전남 장흥 방언을 중심으로" 전북대 1994
30 임석규, "음운규칙 간의 위계 검토" 서울대 국문과 29 : 301-327, 2004
31 최명옥, "월성지역어의 음운론" 영남대출판부 1982
32 정인호, "원평북방언과 전남방언의 음운론적 대조 연구 : 용천 지역어와 화순 지역어를 중심으로" 서울대 2004
33 백두현, "영남 문헌어의 음운사 연구" 태학사 1992
34 기세관, "여수방언의 음운론적 특성" 서울대 국어교육과 24 : 148-168, 1996
35 이병근, "새갱이(土蝦)’의 통시음운론" 전북대 어학연구소 3 : 3-5, 1976
36 최전승, "불규칙 활용의 규칙화와 ‘ㆆ’[ʔ]에 대한 인식의 전개와 음운현상의본질" 전북대 교육연구소 4 : 241-323, 2011
37 김옥화, "부안지역어의 특수조사" 서울대 국문과 28 : 184-202, 2003
38 김옥화, "부안지역어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2001
39 이혁화, "무주·영동·김천 방언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서울대 2005
40 황금연, "담양방언사전" 담양문화원 2010
41 소신애, "국어의 ‘p/k 교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58) : 101-134, 2011
42 이기문, "국어음운사 연구" 한국문화연구소 1972
43 이진호, "국어음운론 강의" 삼경문화사 2005
44 이기문, "국어사개설" 태학사 1998
45 이태영, "국어동사의 문법화 연구" 한신문화사 1988
46 허웅, "국어 음운학" 샘문화사 1985
47 이기갑, "국어 방언 문법" 태학사 2003
48 이진호, "국어 ㅎ- 말음 어간의 음운론" 국어국문학회 133 : 2003
49 이진호, "국어 PK-교체에 대한 종합적 고찰" 국어학회 (63) : 247-273, 2012
50 손희하, "구림 지역어의 변화 - 노년층과 장년층의 음운 비교를 중심으로" 전남대 호남문화연구소 28 : 2001
51 이승재, "구례지역어의 음운체계" 서울대 45 : 1980
52 기세관, "광양 방언의 음운론과 형태론" 배달말학회 (35) : 5-58, 2004
53 이진숙, "고흥지역어와 진도지역어의 모음체계 연구 -‘e, ɛ, ü, ö’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언학회 (16) : 217-239, 2012
54 배주채, "고흥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 1994
55 이진숙, "고흥 지역어와 진도 지역어의 음운론적 대비 연구" 전남대 2013
56 김영송, "경남방언, 국방언어학" 형설출판사 89-, 1977
57 이익섭, "강릉방언의 형태음운론적 고찰" 진단학회 34 : 99-119, 1972
58 蘇江春, "南原地域語의 音韻論的 硏究" 전북대 1983
59 김옥화, "全北 西部 地域語의 格助詞"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2 (32): 95-118, 2004
60 정인호, "ㅂ-불규칙 용언 어간의 변화에 대하여-서남방언을 중심으로" 애산학회 20 : 152-155, 1997
61 오종갑, "‘ㅔ, ㅐ’의 변화와 관련된 영남방언의 특성과 그 전개, 방언학과국어학" 태학사 563-587, 1998
62 이병근, "19세기 후기 국어의 모음체계" 대한민국학술원 9 : 375-390,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