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3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계량적 연구" 보고사 2008
4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역락 2003
6 임홍빈,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7 연재훈, "한국어 구문 유형론" 태학사 2011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9 김용하, "한국어 격과 어순의 최소주의 문법" 한국문화사 1999
10 임홍빈, "주격 중출론을 찾아서" 문법연구회 1 : 111-148, 1974
1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3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계량적 연구" 보고사 2008
4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역락 2003
6 임홍빈,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7 연재훈, "한국어 구문 유형론" 태학사 2011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9 김용하, "한국어 격과 어순의 최소주의 문법" 한국문화사 1999
10 임홍빈, "주격 중출론을 찾아서" 문법연구회 1 : 111-148, 1974
11 이필영, "조사 ‘이/가’와 ‘을/를’의 통사와 의미" 한국어학회 49 : 345-368, 2010
12 이홍식, "조사 ‘을’의 의미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5 : 303-327, 2004
13 임동훈,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19 : 31-66, 1997
14 임홍빈, "우리말에 대한 성찰 1" 태학사 2005
15 우형식, "연결 이론에서의 격표지 교체 분석" 17 : 99-153, 1995
16 임홍빈, "부정법 논의와 국어의 현실" 국어학회 6 : 185-206, 1978
17 김영희, "보족어와 격 표시" 244 : 75-109, 1999
18 서태룡, "명사는 동사를 위한 존재다" 국어학회 66 (66): 109-136, 2013
19 선우용, "국어조사 ‘이/가’, ‘을/를’에 대한 연구 -그 특수조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국어연구회 124 : 1994
20 이선희, "국어의 조사와 의미역 -조사 {-를}과 논항 실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21 시정곤,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1999
22 유동석, "국어의 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31 : 307-337, 1998
23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24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25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3" 태학사 1998
26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27 김기혁, "국어 문법에서 격과 의미역할" 17 : 45-70, 2002
28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24 : 1-62, 1999
29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88
30 이호승, "국어 격 범주의 성격과 격 체계의 설정" 한국어문학회 (117) : 39-67, 2012
31 신서인,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2 이호승,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93) : 2006
33 목정수, "격조사 교체 현상에 대한 통사·의미적 논의의 재검토 -조사류의 새로운 질서를 토대로" 2 : 27-81, 1999
34 임홍빈, "{을/를} 조사의 의미와 통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91-130, 1980
35 Hopper, P. J., "Transitivity in grammar and discourse" 56 (56): 251-299, 1980
36 Malchukov, A., "The Oxford Handbook of Cas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7 Blake, B.,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