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가, 을/를’의 비전형적인 분포와 기능 = Atypical Distribution of i/ga and eul/reul and Their Fun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i/ga and eul/reul function when they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When i/ga and eul/reul reveal 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they basically serve as case markers, indicating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subject or object. There have been scholarly attempts, however, not to classify i/ga and eul/reul as case markers, as they do not show grammatical relations when they are combined with adverbs or adverbial phrases.
      Yet,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cases in which i/ga and eul/reul do not indicate grammatical relations--that is, the cases in which they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constitut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entire distribution and also reveal quite limited distribution patterns. Moreover, even when i/ga and eul/reul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on semantic and pragmatic levels, their functions are not unrelated to their basic functions as case markers. Specifically, their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as markers of transitivity or markers of topics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are obviously relevant to their primary functions to indicate grammatical relations such as subject or object.
      The ways in which i/ga and eul/reul function when they reveal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then, do not necessarily propose a need to deny their functions as case markers. Instead, this paper suggests that a more productive and consistent way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i/ga and eul/reul is to acknowledge their main functions as case markers while recognizing that in special cases, they may have only sematic and pragmatic functions rather than grammatical functions.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s how i/ga and eul/reul function when they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When i/ga and eul/reul reveal 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they basically serve as case markers, indicating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subject or ob...

      This paper examines how i/ga and eul/reul function when they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When i/ga and eul/reul reveal 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they basically serve as case markers, indicating grammatical functions such as subject or object. There have been scholarly attempts, however, not to classify i/ga and eul/reul as case markers, as they do not show grammatical relations when they are combined with adverbs or adverbial phrases.
      Yet, the problem with this approach is tha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cases in which i/ga and eul/reul do not indicate grammatical relations--that is, the cases in which they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constitute only a small portion of the entire distribution and also reveal quite limited distribution patterns. Moreover, even when i/ga and eul/reul show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on semantic and pragmatic levels, their functions are not unrelated to their basic functions as case markers. Specifically, their semantic and pragmatic functions as markers of transitivity or markers of topics in terms of information structure are obviously relevant to their primary functions to indicate grammatical relations such as subject or object.
      The ways in which i/ga and eul/reul function when they reveal atypical distribution patterns, then, do not necessarily propose a need to deny their functions as case markers. Instead, this paper suggests that a more productive and consistent way of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i/ga and eul/reul is to acknowledge their main functions as case markers while recognizing that in special cases, they may have only sematic and pragmatic functions rather than grammatical fun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3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계량적 연구" 보고사 2008

      4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역락 2003

      6 임홍빈,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7 연재훈, "한국어 구문 유형론" 태학사 2011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9 김용하, "한국어 격과 어순의 최소주의 문법" 한국문화사 1999

      10 임홍빈, "주격 중출론을 찾아서" 문법연구회 1 : 111-148, 1974

      1 남윤진, "현대국어의 조사에 대한 계량언어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7

      2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연구 I -‘격 개념’과 조사 ‘-가’와 ‘-를’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3 고석주, "현대 한국어 조사의 계량적 연구" 보고사 2008

      4 임홍빈, "한국어의 주제와 통사 분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5 박철우, "한국어 정보구조에서의 화제와 초점" 역락 2003

      6 임홍빈, "한국어 구문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7 연재훈, "한국어 구문 유형론" 태학사 2011

      8 목정수, "한국어 격조사와 특수조사의 지위와 그 의미 - 유형론적 접근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23) : 47-78, 1998

      9 김용하, "한국어 격과 어순의 최소주의 문법" 한국문화사 1999

      10 임홍빈, "주격 중출론을 찾아서" 문법연구회 1 : 111-148, 1974

      11 이필영, "조사 ‘이/가’와 ‘을/를’의 통사와 의미" 한국어학회 49 : 345-368, 2010

      12 이홍식, "조사 ‘을’의 의미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15 : 303-327, 2004

      13 임동훈, "이중 주어문의 통사 구조" 19 : 31-66, 1997

      14 임홍빈, "우리말에 대한 성찰 1" 태학사 2005

      15 우형식, "연결 이론에서의 격표지 교체 분석" 17 : 99-153, 1995

      16 임홍빈, "부정법 논의와 국어의 현실" 국어학회 6 : 185-206, 1978

      17 김영희, "보족어와 격 표시" 244 : 75-109, 1999

      18 서태룡, "명사는 동사를 위한 존재다" 국어학회 66 (66): 109-136, 2013

      19 선우용, "국어조사 ‘이/가’, ‘을/를’에 대한 연구 -그 특수조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국어연구회 124 : 1994

      20 이선희, "국어의 조사와 의미역 -조사 {-를}과 논항 실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4

      21 시정곤, "국어의 격과 조사" 월인 1999

      22 유동석, "국어의 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31 : 307-337, 1998

      23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학연사 1999

      24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0

      25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3" 태학사 1998

      26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2" 태학사 1998

      27 김기혁, "국어 문법에서 격과 의미역할" 17 : 45-70, 2002

      28 임홍빈, "국어 명사구와 조사구의 통사 구조에 대하여" 24 : 1-62, 1999

      29 이광호, "국어 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88

      30 이호승, "국어 격 범주의 성격과 격 체계의 설정" 한국어문학회 (117) : 39-67, 2012

      31 신서인, "구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한 한국어 문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32 이호승, "격조사 없는 명사구의 격 문제에 대하여" 한국어문학회 (93) : 2006

      33 목정수, "격조사 교체 현상에 대한 통사·의미적 논의의 재검토 -조사류의 새로운 질서를 토대로" 2 : 27-81, 1999

      34 임홍빈, "{을/를} 조사의 의미와 통사"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 : 91-130, 1980

      35 Hopper, P. J., "Transitivity in grammar and discourse" 56 (56): 251-299, 1980

      36 Malchukov, A., "The Oxford Handbook of Cas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7 Blake, B., "Ca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