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어와 문장의 형성 요소와 어휘부 모형에 대하여 = On the Elements for Word and Sentence Formation and the Model of Lexic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0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som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processes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a lexicon. There are many exceptional cases in the word formation and sentence, i. e. especially the nounce word through a clipping the original form or the complex predication by verbals combination.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se situations by the present theories of the lexicon that excluded theses temporary elements.
      However even though these elements are ad hoc, they respectably take part in the word or sentence formation as a root or a verb. Therefore we must put them into the list of registrations in a lexicon. Besides, we have to specify the positions for them in a lexicon too, then we could explain their roles and operations in the language processes more concretely.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som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processes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a lexicon. There are many exceptional cases in the word formation and sentence, i. e. especially the nounce word through a clipping the original f...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som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processes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a lexicon. There are many exceptional cases in the word formation and sentence, i. e. especially the nounce word through a clipping the original form or the complex predication by verbals combination. It is impossible to explain these situations by the present theories of the lexicon that excluded theses temporary elements.
      However even though these elements are ad hoc, they respectably take part in the word or sentence formation as a root or a verb. Therefore we must put them into the list of registrations in a lexicon. Besides, we have to specify the positions for them in a lexicon too, then we could explain their roles and operations in the language processes more concret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송원용, "활용형의 단어 형성 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회 153 : 1998

      3 김윤신, "활동(motion)·소비(consumption)·창조(creation) 동사의 사건 구조에 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52 (52): 125-157, 2004

      4 김창섭, "형용사 파생 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58 : 145-161, 1984

      5 이은섭, "형식이 삭감된 단위의 형태론적 정체성" 형태론 9 (9): 93-113, 2007

      6 이선웅,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국어연구회 123 : 1995

      7 신서인, "한국어의 어순 변이 경향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 국어학회 (50) : 213-239, 2007

      8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9 임홍빈,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49) : 69-106, 2007

      10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1 이은섭, "?‘굴다’ 구문의 유형과 통사 구조" 국어학회 (48) : 203-231, 2006

      2 송원용, "활용형의 단어 형성 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회 153 : 1998

      3 김윤신, "활동(motion)·소비(consumption)·창조(creation) 동사의 사건 구조에 대한 연구" 인문학연구원 52 (52): 125-157, 2004

      4 김창섭, "형용사 파생 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58 : 145-161, 1984

      5 이은섭, "형식이 삭감된 단위의 형태론적 정체성" 형태론 9 (9): 93-113, 2007

      6 이선웅, "현대국어의 보조용언 연구" 국어연구회 123 : 1995

      7 신서인, "한국어의 어순 변이 경향과 그 요인에 대한 연구" 국어학회 (50) : 213-239, 2007

      8 이선웅,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월인 2012

      9 임홍빈, "한국어 무조사 명사구의 통사와 의미" 국어학회 (49) : 69-106, 2007

      10 임홍빈, "한국어 구문 분석 방법론" 한국문화사 2002

      11 박진호,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 구조" 123 : 1994

      12 채현식,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태학사 2003

      13 고영근, "우리말의 총체서술과 문법체계" 일지사 1993

      14 임홍빈, "우리말에 대한 성찰 1․2" 태학사 2005

      1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6 채숙희, "연결어미 상당의 명사구 보문 구성 연구" 국어연구회 17 : 2002

      17 Singleton, D., "언어의 중심 어휘" 삼경문화사 2008

      18 임홍빈, "어휘적 속성과 장거리 어순 재배치" 언어정보연구소 10 : 1-56, 2009

      19 채현식,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회 63 (63): 129-145, 2007

      20 최호철, "어휘부의 의미론적 접근" 민족어문학회 32 : 185-217, 1993

      21 최형용, "어휘부와 형태론" 국어학회 (66) : 361-414, 2013

      22 김의수, "어휘부와 통사론" 국어학회 (66) : 415-444, 2013

      23 박철우, "어휘부와 의미론" 국어학회 (66) : 445-485, 2013

      24 김현, "어휘부와 국어음운론" 국어학회 (66) : 335-360, 2013

      25 채현식, "어휘부란 무엇인가-인접 학문 분야와와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66) : 307-334, 2013

      26 김현권, "어휘부 구축을 위한 현대 한국어 부사의 기술-한국어 부사 분류와기술의 문제-" 한국언어학회 (24) : 109-144, 1996

      27 임홍빈, "어순에 관한 언어 유형적 접근과 한국어의 기본 어순"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2 : 53-116, 2007

      28 이은섭, "보충어의 판별 문제와 어휘부 처리에 대한 시론" 한국어문학회 (114) : 87-118, 2011

      29 이병규, "문장 구성 성분의 항가 의존성 검토" 3 : 173-215, 1996

      30 김영희, "논항의 판별 기준" 한글학회 266 (266): 139-167, 2004

      31 유현경, "논항과 부가어" 우리말학회 1 : 175-196, 1994

      32 시정곤,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한국현대언어학회 17 (17): 163-184, 2001

      33 박철우, "국어의 보충어와 부가어 판별 기준"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34) : 75-111, 2002

      34 이선웅, "국어의 보어와 보격에 대하여, 최명옥 선생 정년 퇴임 기념 국어학논총" 779-804, 2010

      35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36 임홍빈, "국어문법론 Ⅰ"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37 서정수, "국어문법" 한양대 출판부 1996

      38 채현식, "국어 어휘부의 등재소에 관한 연구" 국어연구회 120 : 1994

      39 송원용,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태학사 2005

      40 金智弘, "국어 부사형어미 구문과 논항구조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1993

      41 이호승, "국어 복합서술어 연구: [명사+조사+동사] 구성의 경우" 서울대학교 2003

      42 이홍식,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월인 2005

      43 임홍빈, "국어 문법의 심층 Ⅰ․Ⅱ․Ⅲ" 태학사 1998

      44 이선웅, "국어 명사의 논항구조 연구" 월인 2005

      45 양정석, "국어 동사의 의미 분석과 연결 이론" 박이정 1995

      46 최형용,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 태학사 2003

      47 최형용, "구성 형태론은 가능한가- 보이(2010), Construction Morphology를 중심으로 -" 형태론 15 (15): 82-114, 2013

      48 안소진, "관용표현의 통사적 변형에 대한 시론" 언어연구소 (56) : 165-184, 2012

      49 박진호, "관용표현의 통사론과 의미론" 국어학회 41 : 361-379, 2003

      50 임동훈, "격조사는 핵인가" 주시경연구소 8 : 119-130, 1991

      51 서경숙, "‘완전’의 부사화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소 (42) : 93-112, 2008

      52 이은섭, "‘여기-’ 구문에 대하여 -구문 유형과 사유의 속성을 중심으로-" 국어학회 (53) : 141-175, 2008

      53 이은섭, "‘여기-’ 구문과 ‘삼-’ 구문에서의 ‘로’ 부사어의 통합적 의미역 할당" 개신어문학회 (27) : 41-74, 2008

      54 이은섭, "‘삼-’ 구문의 ‘로’ 부사어의 문법과 의미" 비교문화연구소 12 (12): 157-182, 2008

      55 이은섭, "‘-게 굴다’ 構文의 與格 成分과 對格 成分에 대한 고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31-56, 2006

      56 임홍빈, "{을/를} 조사의 의미와 통사" 국민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2 : 91-130, 1979

      57 Aitchison, J.,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Blackwell 1987

      58 Radford, A., "Transformational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59 Pustejovsky, J., "The Generative Lexicon" Cambridge 1995

      60 Jackendoff, R., "The Architecture of the Language Faculty" The MIT Press 1997

      61 Van Valin, "Syntax, Cambridge Textbooks in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62 Lehmann, C., "Studies in Typology and Diachrony" Mouton de Gruyter 161-186, 1990

      63 Jackendoff, R, "Semantic Structure" MIT Press 1990

      64 Jackendoff, R., "Patterns in the Mind" Harvester Wheatsheaf 1993

      65 Bybee, J. L., "Morphology :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1985

      66 Davis, A., R., "Linking by Types in the Hierarchical Lexicon" CSLI Publication 2001

      67 Chomsky, N.,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Foris 1981

      68 Jackendoff, R., "Construction after construction and its theoretical challenges" 84 (84): 8-28, 2008

      69 Booij, G., "Construction Morp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0 Baker B., "Complex predicate formation, Complex Predic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47, 2010

      71 Amberber, M., "Complex Predicat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72 Williams, E., "Argument Structure and Morphology" 1 (1): 81-114, 1981

      73 Grimshaw, J., "Argument Structure" MIT Press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1 1.52 2.572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