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도권 인접 관광브랜드의 브랜드지수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86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ed to produce brand index evaluation for tourism destination. Six factors such as awareness, preference, value for visit, uniqueness, popularity, and price premium were identified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brand index of tourism de...

      This study intended to produce brand index evaluation for tourism destination. Six factors such as awareness, preference, value for visit, uniqueness, popularity, and price premium were identified for measuring and evaluating brand index of tourism destination. Based on the these factors, 11 domestic destinations were evaluated and compared in terms of brand index criteria. Value for visit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brand index of tourist destinations. According to this evaluation, we can guess positioning establishment as well as ranking change of tourism destin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관광지 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20 (20): 80-95, 1997

      2 "한국관광목적지 브랜드 창출을 위한 브랜드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25 (25): 171-192, 2001

      3 "삼각 퍼지수를 적용한 관광자원 가치성 평가" 25 (25): 27-42, 2001

      4 "대응분석을 통한 7대문화관광권의 관광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31 (231): 197-213, 2004

      5 "단양온달문화축제 브랜드가치 평가연구" 2 : 247-259, 2004

      6 "국내주요 관광브랜드 부문별 잔차유형 연구" 18 (18): 103-115, 2004

      7 "관광후 이미지와 만족도간의 관련성" 26 (26): 47-62, 2002

      8 "관광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기대와 직접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관광이미지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27 (27): 45-62, 2003

      9 "관광브랜드 분석론" 대왕사 2005

      10 "관광객의 신기성 욕구수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22 (22): 9-20, 1998b

      1 "한국관광지 이미지 측정척도의 개발" 20 (20): 80-95, 1997

      2 "한국관광목적지 브랜드 창출을 위한 브랜드지수 평가에 관한 연구" 25 (25): 171-192, 2001

      3 "삼각 퍼지수를 적용한 관광자원 가치성 평가" 25 (25): 27-42, 2001

      4 "대응분석을 통한 7대문화관광권의 관광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231 (231): 197-213, 2004

      5 "단양온달문화축제 브랜드가치 평가연구" 2 : 247-259, 2004

      6 "국내주요 관광브랜드 부문별 잔차유형 연구" 18 (18): 103-115, 2004

      7 "관광후 이미지와 만족도간의 관련성" 26 (26): 47-62, 2002

      8 "관광이미지 형성에 관한 연구 기대와 직접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관광이미지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27 (27): 45-62, 2003

      9 "관광브랜드 분석론" 대왕사 2005

      10 "관광객의 신기성 욕구수준에 따른 관광목적지 선호도 차이에 관한 연구" 22 (22): 9-20, 1998b

      11 "고도경주의 관광이미지에 관한 연구" 24 (24): 41-56, 2000

      12 "강원 동해안 해수욕 방문객의 수요예측과 정책적 시사" 6 (6): 55-271, 2002

      13 "The Preference for Tourism Resources and Tourist ehaviour in Kyongju City" 1997

      14 "The Effects of Sequential Introduction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 (29): 35-50, 1992

      15 "The Effects of Brand Positioning Strategies on Consumers' Brand and Category Perceptions Some Insights From Schema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54-67, 1989

      16 "Price-Induced Patterns of Compe- tition" 8 : 291-309, 1989

      17 "Memory Factors in Advertising The Effect of Retrieval Cues on Brand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16-33, 1987

      18 "Evaluation of Criterion Validity of Tourist Novelty Scale" 18 (18): 207-226, 1995

      19 "Effects of Brand Awareness on Choice for a Common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1-8, 1990

      20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54 (54): 27-41, 1990

      21 "Consumer Behavior and Maketing Action" 1998

      22 ".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Uni- versity of Chicago." 1990

      23 ". Recall and Recognition Effects of Brand Name Imagery. Psychology and Marketing. 4" 3-15, 1987

      24 ". Managing Brand Equity" The Free Press 1991

      25 ". Image Variables in Multi- Attribute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694-9, 1984

      26 ". Brand Equity and the Extendibility of Brand Names. Working Paper No. 90-019. The Wharton School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3-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관광연구저널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1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