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 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059122
2004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7-15(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 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애용되고 있는 적채가 가진 항산 화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항노화 과정의 기초 자료로서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인지질 리포좀 내부에 적채의 용매별 분획물을 가하고 그 산화 지수를 구하여 각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적채의 ethylether 분획층인 BOMEE와 ethylacetate 분획층인 BOMEA의 결과 이미 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져 있는 BHT와 α-tocopherol을 대조군으로 가하여 비교해 보았으며 이들에 비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본 연구에서는 이미 알려진 항산화제인 vitamin C와 α-tocopherol을 DLPC-리포좀에 가했을 때의 항산화 상승효과도 함께 살펴보았다. 즉, DLPC-리포좀에 BOMEE와 BOMEA 일정량을 가했을 때 이미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으며, vitamin C와 α-tocopherol을 첨가시 더욱 높은 항산화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적채 분획물 단독으로 가했을 때에는 항산화 효과가 없었던 BOMH, BOMB 및 BOMA에서도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DLPC-리포좀을 이용한 적채 분획물의 항산화 효과를 이미 공인되어 사용되고 있는 TBA가를 측정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발색정도를 비색 정량하여 유지의 산패도를 측정하는 TBA가를 이용한 실험 결과 DLPC-리포좀을 이용한 항산화 결과와 거의 비슷하였으며, 이 경우 BOMEE와 BOMEA에서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냄으로서 불포화 인지질로 구성된 DLPC-리포좀에 시료를 첨가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본 실험의 결과가 TBA가의 결과를 통해 다시 한번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진행되는 활성 산소의 증가로 인한 노화의 한 과정을 적채 중의 멜라닌 색소 형성방지 효과의 면에서 연구 검토하였으며, 요즈음은 멜라닌의 합성을 억제하는 물질들에 대한 연구가 천연물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험관 내 실험에서 적채 분획물 BOMH, BOMEE, BOMEA, BOMB 및 BOMA를 일정량 취하고, kojic acid를 10, 20, 30 및 40 ㎍/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여 tyrosinase 활성을 측정한 결과 특히 BOMEA층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활성억제율이 컸음을 관찰하였다. 이상 노화를 예방하는 항산화 및 멜라닌 색소 형성억제 물질을 연구 결과, 적채의 분획물 중 BOMEE와 BOMEA층에서 가장 두드러진 항산화효과를 나타내었고,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는 BOMEA층이 우세하였다. 이 결과에 의해 현재 식용 식품으로서만 상용되는 적체의 생리활성 성분 중 비극성 부분에서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의 흑화를 방지할 수 있는 미백제 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BO) fractions on the liposomes consisted of L-α-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 (DLPC-liposome) and the tyrosinase activity of BO fractions. The m...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red cabbage (Brassica oleracea L., BO) fractions on the liposomes consisted of L-α-dilinoleoylphosphatidylcholine (DLPC-liposome) and the tyrosinase activity of BO fractions. The methanol extract of BO (BOM) was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partition layers: hexane (BOMH), ethylether (BOMEE), ethylacetate (BOMEA), butanol (BOMB) and aqueous (BOMA) layer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M fractions toward oxidized DLPC-liposome were examined by spectrophotometry measuring oxidized conjugated dine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BOMEE and BOMEA fractions toward oxidized DLPC-liposomes were similar to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α-tocopherol and weaker than that of BHT. The synergy effects of antioxidation of BOMEE and BOMEA fractions added with vitamin C and α-tocopherol had even stronger antioxidant activities than the fractions without vitamin C and α-tocopherol.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fractions of BOMEE and BOMEA could be developed as a potent antioxidant. Out of five different partition layers of BOM fractions, BOMEA exhibited the strongest tyrosinase activity of 94% at a concentration of 40 ㎍/mL. This result suggests BOMEA fractions inhibit the foramation of melanin and therefore can be used as the inhibitor of melanin synthesis. Result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indicate that useful bioactive substances exist in BOMEE and BOMEA fractions. Both fractions from BO (red cabbage) have the potential of being developed into health related products.
참고문헌 (Reference)
1 "Young AR. 1987. UVB-induced collagen changes in the skin of the hairless albinomouse. J Invest Dermatol 88" 145-148,
2 "Woo WH. 2001.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on melanin biosynthesis. Yakhak Hoeji" 45 : 269-275,
3 "Wattenberg LW. 1991. Inhibition of carcinogenic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4 "Tissue specific juvenile hormone epoxide hydrolase during the last stadium of the cabbage Looper" 24 : 71-79,
5 "Sofuni T. 1994. Summary of major conclusions. Mutat Res 312" 205-211,
6 "Skin aging and reaction oxygen species. J Seoul National Univ of Technology" 50 : 329-341,
7 "Oka M. 1991. Linoleic acid can induce depigmentation in cultured normal human melanocytes during activity proliferating sate. J Dermatol Sci 2" 248-256,
8 "Nitric oxide produced by ultraviolet- irradiate keratinocytes stimulates melanogenesis. J Clin Invest" 99 : 635-641, 1997
9 "Nishiyama S. 1993. Rigment production in murine melanoma cells in regulated by tyrosinase" 126-1 2 135,
10 "Marshall MR. 1991. Inhibition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39" 1897-1901.
1 "Young AR. 1987. UVB-induced collagen changes in the skin of the hairless albinomouse. J Invest Dermatol 88" 145-148,
2 "Woo WH. 2001.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tractylodis Rhizoma alba on melanin biosynthesis. Yakhak Hoeji" 45 : 269-275,
3 "Wattenberg LW. 1991. Inhibition of carcinogenic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4 "Tissue specific juvenile hormone epoxide hydrolase during the last stadium of the cabbage Looper" 24 : 71-79,
5 "Sofuni T. 1994. Summary of major conclusions. Mutat Res 312" 205-211,
6 "Skin aging and reaction oxygen species. J Seoul National Univ of Technology" 50 : 329-341,
7 "Oka M. 1991. Linoleic acid can induce depigmentation in cultured normal human melanocytes during activity proliferating sate. J Dermatol Sci 2" 248-256,
8 "Nitric oxide produced by ultraviolet- irradiate keratinocytes stimulates melanogenesis. J Clin Invest" 99 : 635-641, 1997
9 "Nishiyama S. 1993. Rigment production in murine melanoma cells in regulated by tyrosinase" 126-1 2 135,
10 "Marshall MR. 1991. Inhibition mechanism of kojic acid on polyphenol oxidase. J Agric Food Chem 39" 1897-1901.
11 "Kligman AM. 1993. Sunscreens promote the repair of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dermal damage. J Invest Dermatol 81" 98-102,
12 "Kim MC. 1987. Effect of feeding whole carrots and cabbages and their residues on milk yield and fat content. Chej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25" 37-43,
13 "Kawfman RJ. 1991. Vectors used for expression in mammalian cells. Math In Enzymol 87" 205-209,
14 "Inhibitory effects of water-aceton extracts of chestnut inner shell pine needle and hop on the melanin biosynthesis. Yakhak Hoeji" 43 : 494-501, 1999
15 "Hannon DP. 1991. Chronic ultraviolet radiation-induced increases in skin iron and the photopotentive effect of topically applied iron chelators. Photochem Photobiol 54" 215-223,
16 "Effect of dry powders ethanol extracts and juices of radish and onio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capacity in rat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34 : 513-524, 201
17 "Effect of 4 different ionic strengths of nutrient solution on growth in hydroponically grown kale plants. J Korean Institute of Technology"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DC. 4 : 229-235, 1997
18 "Cho BI. 1993. Toxicity of oxygen free radical and clinical use of scavengers. The Kon-kuk J of Medical Sciences 3" 115-130,
19 "Antimutagenic effect of various cruciferous vegetables in Salmonella assaying system. J Fd Hyg Safety" 12 : 321-327, 1997
20 ". Development of anti-oxidant tea for anti-aging. Bull Uosu Nat't Univ" 14 : 401-409, 1999
β - Sitosterol에 의한 인체 대장암 HCT116 세포의 증식억제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