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2 윤홍로,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
3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
4 조연정, "평양의 경향 - 김동인과 최명익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8) : 7-42, 2010
5 "창조"
6 김선, "정념(pathos)의 지속과 근대 문학의 공간성-김동인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회 (19) : 105-139, 2020
7 서영채,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두 번째 풍경과 존재론적 순간" 한국현대문학회 (41) : 569-604, 2013
8 신영미, "저항과 모색을 통한 자아의 완성 - 염상섭의 「제야」,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에 나타난 죽음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20) : 113-139, 2009
9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2013
10 박찬승, "식민지시기 다중적 표상으로서의 평양기생" 동아시아문화연구소 (62) : 13-51, 2015
1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1" 민음사 2002
2 윤홍로, "한국현대문학사" 현대문학 1989
3 이재선, "한국소설사" 민음사 2000
4 조연정, "평양의 경향 - 김동인과 최명익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소 (38) : 7-42, 2010
5 "창조"
6 김선, "정념(pathos)의 지속과 근대 문학의 공간성-김동인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춘원연구학회 (19) : 105-139, 2020
7 서영채, "절대 공간으로서의 풍경- 두 번째 풍경과 존재론적 순간" 한국현대문학회 (41) : 569-604, 2013
8 신영미, "저항과 모색을 통한 자아의 완성 - 염상섭의 「제야」,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에 나타난 죽음을 중심으로 -" 한국학연구소 (20) : 113-139, 2009
9 주디스 버틀러, "윤리적 폭력비판 : 자기 자신을 설명하기" 인간사랑 2013
10 박찬승, "식민지시기 다중적 표상으로서의 평양기생" 동아시아문화연구소 (62) : 13-51, 2015
11 권희철, "속삭이는 목소리로서의 '대동강'과 어머니 형상의 두 얼굴 -김동인 소설의 정신분석적 읽기 시론(試論)-" 한국근대문학회 1 (1): 223-256, 2008
12 박현수, "소설에서 내면의 등장과 그 의미 -김동인의 「약한者의슬픔」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80) : 175-202, 2020
13 돈 아이디, "소리의 현상학" 예전사 2006
14 정주아, "서북문학과 로컬리티" 소명출판 2014
15 박애경, "서도소리의 서울 유입과 도시문화로의 전환" 한국고전문학회 (35) : 33-63, 2009
16 김인숙, "서도소리" 민속원 2009
17 머레이 쉐이퍼, "사운드스케이프—세계의 조율" 그물코 2008
18 최라영, "박인환 시에 나타난 ‘청각적 이미지’ 연구- ‘소리풍경soundscape’을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64) : 243-279, 2014
19 김행숙, "문학이란 무엇이었는가(1920년대 동인지 문학의 근대성)" 소명 2005
20 김애령, "듣기의 윤리" 봄날의박씨 2020
21 김동인, "김동인전집 1, 3, 16" 조선일보사 1988
22 강헌국, "김동인의 창작방법론과 그 실천-1920년대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회 (177) : 275-305, 2016
23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2000
24 이광호, "김동인 소설의 서술 초점과 여성에 대한 시선" 한국문학연구학회 (49) : 249-280, 2013
25 황종연, "김동인 문학의 재조명" 새미 2001
26 최정아, "김동인 문학의 미의식 연구" 우리어문학회 (38) : 465-490, 2010
27 정혜영, "기생과 문학- 김동인의 <눈을 겨우 뜰 때>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30 : 11-264, 2002
28 전계영, "근현대 문학작품의 잡가 수용양상" 한국문학언어학회 (62) : 265-302, 2014
29 이철호,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 상허학회 28 : 147-178, 2010
30 우수진, "근대 희곡의 사운드스케이프 - 소리의 연극성에 대한 문화사회학적 고찰" 한국문학연구학회 (74) : 85-119, 2021
31 월터 J. 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18
32 김종진,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한국시가학회 28 : 327-358, 2010
33 이승원, "‘소리’의 메타포와 근대의 일상성" 한국근대문학회 (9) : 197-228, 2004
34 박애경, "19세기 말, 20세기 초 잡가의 소통 환경과 존재양상 -근대적 노래 공동체의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구비문학회 (21) : 257-287, 2005
35 임태훈, "'음경'의 발견과 소설적 대응 : 이효석과 박태원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