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인천교구 관할지역 관련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에 대한 사료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40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

      본 논문의 목적은 기해 병오박해 순교자들 중 인천교구 관할지역과 관련된 이들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우선 달레의『한국천주교회사』에 바탕이 된 다블뤼의『조선 순교사 비망기』와『조선 순교자 약전』을 분석하고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들과도 비교하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지역 관련 순교자들은 모두 6명으로 김성임 마르타, 이군겸 야고보, 장 아나스타시아, 심조이 바르바라, 우술임 수산나, 민극가 스테파노 등이 이에 속한다. 김성임은 부평 출신으로 나오며, 우술임은 인천에서 신앙생활을 한 것으로 나오며, 다른 이들은 인천 출신으로 나온다. 동시대 자료들과 비교해 볼 때 이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언급이 없는 자료들이 더 많다. 김성임이 부평 출신이라는 언급이『기해일기』,『기해 병오박해 순교자 목격 증언록(이하 순교자 증언록)』,『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대한 보고서』에 있으며 민극가가 인천 지역에서 활동했다는 언급이『순교자 증언록』과 관찬 기록에 나와 있다.『순교자 증언록』에는 이호영 베드로와 이 아가타 자매가 인천 지역 출신이라는 증언과 최경환 프란치스코가 부평에서 거주하였다는 증언이 나와 있다. 이는 다블뤼의 기록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한 관찬 기록에서는 장 아나스타시아로 추정되는 인물이 배교했다는 상반된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료 분석 작업을 통해 기해 병오박해 때에 인천 지역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순교자들이 결코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순교한 장소는 서울이나 다른 지역이었으나 출신지와 활동 장소는 인천 지역인 순교자들이 10명 정도로 추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를 이루었다는 이야기가 없으며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도 미미하다. 민극가만이 이 지역에서 교리교사로서 열심히 활동하였다는 언급만이 있다. 비록 그 원형을 상세히 알 수는 없지만 민극가의 활동을 보면 인천 지역에 신앙 공동체가 존재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rtyrs who are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Firstly, analyze "Korean Martyrs Memorandum" and "Sketch of Korean Martyrs" written by Daveluy, those were the foundation of Dallet's "Korean Church History", then move to other relative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rchives for comparison.
      According to Daveluy's documentation, there are 6 martyrs in the region of Incheon; Kim Sung-Im Martha, Lee Kun-Kyum James, Jang Anastasia, Sim Joi Barbara, Woo Sul-Im Susanna and Min Kuk-Ga Stephano. Kim Sung-Im was from Bu-Pyung and Woo Sul-Im has practiced her faith in Incheon, and the others were from Incheon. Comparing other records in that period, there aren't many records which mention their birth places.
      In "Ki-Hae Diary",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eyewitness testimony-(hereafter 'Martyrs testimony')", "Korean Martyrs history and the record" mentioned that Kim Sung-Im was from Bu-Pyung. The article that Min Kuk-Ga acted in the region of Incheon is written at "Martyrs testimony" and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In "Martyrs testimony", there's a testimony that Lee Ho-Young Peter and Lee Agatha sisters were from the region of Incheon and Choi Kyung-Hwan Francisco lived in Bu-Pyung. These are not written in Daveluy's record. In government official documentation, there is a conflicting record that a person presumed Jang Anastasia became an apostate.
      Through examining those records, confirmed that there were many martyrs who related to the region of Incheon directly and indirectly during 'Ki-Hae' and 'Byung-O' persecution. Although execution places were either Seoul or other places, but estimated there were 10 martyrs whose birth places and/or acting places were the region of Incheon. But there was no record that they had faith community in Incheon area, only small records about their roles are shown. There was a reference that Min Kuk-Ga actively practiced his faith as a catechist only. Even though there was no detail record, but presumed that there was a faith community in the region of Incheon through Min Kuk-Ga's ac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머리말
      • 1.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교구 관할지역 순교자들
      • 2.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과의 비교 분석
      • 맺음말
      • 참고문헌
      • 머리말
      • 1. 다블뤼의 기록에 나온 인천교구 관할지역 순교자들
      • 2. 다른 기해 병오박해 관련 기록과의 비교 분석
      •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