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자료가 없이는 대부분의 수업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탐구적인 학습 방법을 중요시하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 자료가 절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478107
전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학위논문(석사) --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 교육학(생물교육) , 2008. 8
2008
한국어
570
전북특별자치도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an Instructional Improvement in Unit of The Structure of Human body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v, 81 p: 삽도; 26 cm.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행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자료가 없이는 대부분의 수업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탐구적인 학습 방법을 중요시하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 자료가 절대...
현행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자료가 없이는 대부분의 수업이 불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탐구적인 학습 방법을 중요시하는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는 다양한 학습 자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실시되고 있는 과학과 ‘우리몸의 생김새’ 단원 수업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수업실태와 교사들의 지도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습 실태 조사에서 수업자료 활용 면에서 교과서가 주된 수업 자료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양한 학습 자료의 활용을 통한 학생중심의 탐구학습이라기 보다는 교과서중심의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탐구 학습이 제대로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다양한 자료 개발을 통하여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부각되었다. 교사들의 지도실태를 조사한 결과 또한 교사의 설명식 수업방법이 주된 학습 방법으로 조사되었다. 즉 학습자 중심의 탐구활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단원의 학습 지도에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 필요성을 느끼는 교사가 상당히 많았으며 현재의 교사용 지도서나 교과서, 실험관찰책등의 자료만을 가지고는 수업의 효과를 높이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하였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보아 현재 과학 수업이 교과서 중심으로 행해지고 다양한 학습 활동 방법이 활용되지 않고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 소재나 학습 활동만이 중심이 되어 진행되고 있는 실정으로 보아 다양하고 효과적인 보조 학습 자료의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문제점과 요구점 등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본과정으로 하는 수업안과 수준별 목표 및 매 차시별 활용 가능한 자료를 제시하고, 학습 주제 단위로 학습 자료의 개발과 수준별 학습이 용이하도록 학습지를 개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Tool for a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Section of "The Structure of Human Body"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duct an effective teaching practice without supportive tools in cur...
The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Tool for a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Section of "The Structure of Human Body" in the Elementary Science Textbook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nduct an effective teaching practice without supportive tools in current science curriculum. In particular, various teaching-learning tools are always needed for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considers the inquiry activities to be very importa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of class on section of "The Structure of Human Body" in the elementary science an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an instructional improvement.
To figure out what is going on in the classroom, questionaries for teaching activity and for learning response were distributed to teachers and to students, respectively. And the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from 100 teachers and 100 students, and evaluated by a proper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the students learned most of science information from the textbook and most of teachers depended for their science class on the science textbook, implying that the students' inquiry activities by diverse teaching-learning tools were not actually carried out in elementary science class. And also, the result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answered to need a variety of supportive materials as well as the instructional book for teachers and the textbook for students to enhance teaching-learning interaction in class. These data suggested to us that since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were mainly focused on materials and activities only appeared in the textbook, the development of various and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be necessary.
With the reflection of mentioned problems and requests, this study suggested a model of class instruction based on level of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and developed teaching tools according to teaching subjects and a model of teaching problems to help level-based teaching.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