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위원회는 1995년 5월 31일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학교운영위원회를 제안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개혁위원회는 1995년 5월 31일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학교운영위원회를 제안하였다. ...
교육개혁위원회는 1995년 5월 31일 단위학교의 교육자치를 활성화하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로 학교운영위원회를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의하여 학교운영위원회는 1995년 후반기 시범실시와 1996년 전반기까지 각종 관계법령의 정비를 거쳐 시지역 이상의 국,공립의 초,중등학교에서부터 실시되기 시작하여 읍,면지역의 학교로 확대되었다. 모든 초,중등학교에는 학교운영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사립학교의 경우에도 정관의 자율적 결정사항으로 남겨 있던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여부가 초,중등교육법이 개정됨에 따라 2000년 3월 1일부터 자문기구로 필수적으로 설치하여 운영하도록 되어 있다. 교육부의 학교운영위원회 설치현황 자료에 의하면, 1999년 4월 1일 현재 전국의 8,492개의 국,공립 초,중,고등학교 및 특수학교에는 모두 100% 학교운영위원회가 설치되어 있고, 사립학교의 경우에도 초등 75개교 중 8개교, 중학교 643개교 중 89개교, 고등학교 935개교 중 109개교, 특수학교 80개교 중 15개교에 학교운영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학교의 구성주체이면서도 이제까지 의사결정과정에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인사들에게 단위학교 운영에 관한 의사결정에의 참여기회를 부여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효과에 대하여 상반된 평가가 존재하고 있다. 5년째 접어들고 있는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 경험은 학교운영위원회가 한편으로는 학교운영의 민주화를 촉진하고 투명성을 제고하였고, 학교운영위원회 구성주체들에게 교육에 대한 책무성을 새롭게 인식시키는 제도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어떤 학교장들은 학교운영위원회가 학교운영에 관한 좋은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제도일 뿐만 아니라 책무성도 나눠가지는 효과를 낳고 있다고 얘기한다. 어떤 교사들은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로 학교장의 전횡이 사라지고 교사들의 의견이 학교운영에 제대로 반영되는 등 학교운영이 이전보다 훨씬 민주화되었다고 얘기한다. 어떤 학부모들은 학교운영위원회가 자신들의 위상을 학교운영에 대한 무조건적인 지원자에서 학교운영에 관하여 함께 의논하는 상대로 격상시켰다고 얘기한다.
국문 초록 (Abstract)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범위 및 방법 Ⅱ.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화 과정 1.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배경 2. 학교운영위원회의 ...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범위 및 방법
Ⅱ.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화 과정
1. 학교운영위원회의 도입배경
2. 학교운영위원회의 제도화 과정
3. 학교운영위원회의 정착과 위상 강화
Ⅲ.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
1.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과 기능
2.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격
Ⅳ.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현황과 운영양상
1. 학교운영위원회의 구성현황과 특징
2. 조례와 규정에 나타난 학교운영위원회의 운영양상
Ⅴ. 성공적인 학교운영위원회의 특성 분석
1.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의 의미
2.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 운영의 요인
3. 성공적으로 운영되는 학교운영위원회의 특성
Ⅵ.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공적 정착 전략의 탐색
1. 학교운영위원회 모델의 다양화
2.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의 확대와 단위학교운영의 자율성존중 행정풍토 조성
3. 학교운영위원회 중심 단위학교 의사결정체계의 구성
4. 정보의 공개 및 정보유통의 활성화
5. 심의과정에서의 열린 의사소통 풍토의 조성
6. 운영위원들의 역할수행능력의 향상과 동반자적 의식의 공유
7. 학교운영위원회에 대한 행정수준별 지원체제의 구축
Ⅶ. 요약,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2.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