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수명 건축물 설계시스템 개발: PLUS 50 환경공생빌딩 건축기술 개발, 1차년도(연구)  :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for the Longlife Multi-Family Hous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1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argeted at the development of design system for the longlife building. The design principle for apartment houses, together with development of interior component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as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field of...

      This Study was targeted at the development of design system for the longlife building. The design principle for apartment houses, together with development of interior component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as determined in relation to the field of st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수명 공동주택을 위한 설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 환경 및 설비, 외피 등의 분야와 연계를 통한 가변성능과 리모델링 성능을 갖춘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지침과 내장요소기술의 개발 및 구법을 확립하고 시범사업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Plus 50 환경공생빌딩 건축 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각 세부과제 요소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수명 공동주택을 위한 설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 환경 및 설비, 외피 등의 분야와 연계를 통한 가변성능과 리모델링 성능을 갖춘 장수...

      본 연구는 장수명 공동주택을 위한 설계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구조, 환경 및 설비, 외피 등의 분야와 연계를 통한 가변성능과 리모델링 성능을 갖춘 장수명 공동주택의 설계지침과 내장요소기술의 개발 및 구법을 확립하고 시범사업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설계기술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Plus 50 환경공생빌딩 건축 기술개발 사업의 세부과제로 수행된 본 연구에서는 각 세부과제 요소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 목표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4 연구성과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 1. 서론
      •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2 연구 목표
      •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4 연구성과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 2. 장수명 공동주택 구성체계
      • 2.1 PLUS 50 환경공생주택 구성체계와 장수명 주택의 관련성
      • 2.1.1 환경공생주택과 PLUS 50 환경공생주택
      • 2.1.2 PLUS 50 환경공생주택의 구성체계
      • 2.1.3 PLUS 50 환경공생주택의 시스템 수립 체계
      • 2.2 장수명 주택의 구성체계
      • 2.2.1 장수명 공동주택의 개념 및 필요성
      • 2.2.2 장수명 주택의 구성체계
      • 2.3 장수명 주택의 전제 및 요소기술
      • 2.3.1 구조적인 수명의 연장
      • 2.3.2 기능적인 수명의 연장
      • 2.3.3 설계요소기술
      • 3. 국외 장수명 공동주택 설계요소 및 기법도출
      • 3.1 국외의 장수명 공동주택 개념 및 사례
      • 3.1.1 오픈 빌딩(Open Building) 및 SI(Support and Infill)주택
      • 3.1.2 장수명 공동주택의 주요 사례 및 수법
      • 3.2 장수명 공동주택의 구조체 및 내장재 설계기법
      • 3.2.1 Support 설계기법
      • 3.2.2 Infill 설계기법
      • 3.2.3 장수명 주택 부품설계 검토
      • 4. 국내 장수명 관련 공동주택 설계요소 및 기법
      • 4.1 국내 가변형 아파트 사례
      • 4.2 국내 가변형 아파트의 계획경향 및 특성
      • 4.2.1 가변형 아파트의 사례의 일반적 특성
      • 4.2.2 가변형 평면의 물리적인 특성분석
      • 4.3 국내 가변형 아파트 설계요소 및 특징
      • 4.3.1 국내 가변형 아파트의 설계요소
      • 4.3.2 국내 가변형 아파트 특징
      • 4.4 장수명 관련 설계기준 검토
      • 5. 국내 장수명 공동주택관련 실태조사 분석
      • 5.1 가변형 공동주택 거주자의 의식 및 공간 사용 실태조사
      • 5.1.1 조사개요
      • 5.1.2 가변형 공동주택 개조실태조사
      • 5.1.3 거주자 의식조사
      • 5.2 전문가 의견조사
      • 5.2.1 조사 개요
      • 5.2.2 서포트의 공간가변 수용력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도출
      • 5.2.3 서포트의 공간가변 성능 평가모델 작성
      • 5.3 실태조사를 통한 한국형 장수명 주택의 방향 설정
      • 5.3.1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특성
      • 5.3.2 한국형 장수명 주택설계의 방향 설정
      • 6. 실험주택(KOPH21) 리모델링과 장수명 주택 설계 방안
      • 6.1 실험주택의 주요 시공항목 및 개요
      • 6.2 내장 시스템
      • 6.2.1 내장재 철거 및 보강
      • 6.2.2 바닥 입체 수납시스템 설치
      • 6.2.3 천장재 설치
      • 6.2.4 조립식 가동 칸막이 벽체 설치
      • 6.2.5 부엌 리모델링
      • 6.2.6 기타 마감 공사
      • 6.3 설비 시스템
      • 6.3.1 조립식 욕실 설치
      • 6.3.2 건식 바닥 난방 시스템 설치
      • 6.3.3 전기 배선 설치
      • 6.4 실험주택 리모델링을 통한 장수명 주택 설계 방안
      • 7.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