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유물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동산문화재중 재질로 보아 금속, 목재, 석재, 종이, 섬유, 흙,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고대유물의 올바르고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001117
정영동 (경북과학대학 문화재과)
2002
Korean
고대 ; 금속유물 ; 과학적보존처리 ; 제작기법 ; metallic ; scientific conservation ; manufacturing techniques
041
학술저널
81-101(2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고대유물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동산문화재중 재질로 보아 금속, 목재, 석재, 종이, 섬유, 흙,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고대유물의 올바르고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하...
고대유물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으며 동산문화재중 재질로 보아 금속, 목재, 석재, 종이, 섬유, 흙,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되어있다. 이러한 고대유물의 올바르고 효과적인 보존·관리를 위하여 과학지식과 기술을 응용하여 유물의 제작기법과 그 역사 등을 규명함으로써 원형을 보존함과 동시에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방법과 이론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연구분야가 문화재보존과학(Cultural Properties Conservation Science) 이다. 이와 더불어 본 의뢰 유물의 성격상 역사적,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평가되는 유물이다. 특히, 철제갑옷과 투구는 그다지 흔하지 않은 유물로써 우리나라 무구류 연구에 좋은 고고자료로 평가된다. 따라서 X-선(X-ray Radiography, Model : SOFTEX PRO TEST-150, Japan)을 이용한 고대 제작기술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대 투구의 제조공정은 덩이쇠(철정)를 열처리하여 반복단조, 침탄, 담금질 등의 제련과정을 거친 철판으로 단타(hammering)하여 만든 단조품 이었으며 또한, 부식산화물로 감춰진 고대금속공예기술에서 각 장식부분의 접합기술은 釘孔을 뚫어 연접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환두대도의 병부는 철환위에 은박판을 말아서 제작하였다. 특히 본 유물에서 X-선의 주목할 효과는 결실된 부분에 조잡한 재료로 눈가림의 복원상태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한 과학적 보존처리의 각 단계마다 처리 공정과 방법론을 기술하여 이후 본 유물의 문제가 재발생 할 시에 보존방안을 강구 할 수 있도록 함과 항구적인 보존·관리와 본 유물이 지닌 속성에 대하여 학계에 보고 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교육과정 모델 설정을 위한 실증적 연구 - 경영정보계열의 교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차별적 우위전략에 따른 목표고객의 설정 - ㈜하이트맥주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