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환석, "황우석 사태의 원인과 사회적 의미" 비판사회학회 0 (0): 237-255, 2006
2 이영희,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7 (7): 23-46, 2007
3 이영희, "핵폐기물 관리체제의 국제비교" 비판사회학회 (85) : 67-92, 2010
4 박희제,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1-48, 2014
5 김병수, "한국생명공학 논쟁" 알렙 2014
6 김병수,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7 파이낸셜뉴스, "침체 줄기세포 연구 재도약 나선다"
8 김은성, "짙은 정책학 -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정책학회 19 (19): 155-176, 2010
9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치료제 평가 가이드라인"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줄기세포치료제 심사평가 가이드라인(안)"
1 김환석, "황우석 사태의 원인과 사회적 의미" 비판사회학회 0 (0): 237-255, 2006
2 이영희, "황우석 사태는 얼마나 한국적인가?" 7 (7): 23-46, 2007
3 이영희, "핵폐기물 관리체제의 국제비교" 비판사회학회 (85) : 67-92, 2010
4 박희제, "한국의 과학기술정치와 거버넌스" 한국과학기술학회 14 (14): 1-48, 2014
5 김병수, "한국생명공학 논쟁" 알렙 2014
6 김병수, "한국 생명공학감시운동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7 파이낸셜뉴스, "침체 줄기세포 연구 재도약 나선다"
8 김은성, "짙은 정책학 - 탈실증주의 정책학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정책학회 19 (19): 155-176, 2010
9 식품의약품안전처, "줄기세포치료제 평가 가이드라인"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줄기세포치료제 심사평가 가이드라인(안)"
11 식품의약품안전청,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현황, 전망 그리고 쟁점"
12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줄기세포연구시행계획(2006-2014 각년호)"
13 매일경제, "줄기세포연구 다시 불 붙인다…10년간 4300억원 투자"
14 매일경제, "줄기세포, 美는 대통령이 나서는데…"
15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운영위원회, "줄기세포 연구 활성화 방안(안)" 2009
16 세계일보, "줄기세포 연구 지원 적극 나서야"
1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줄기세포 기술경쟁력 현황 및 대안전략" 2006
18 한겨레, "줄기세포 경쟁력 10위권 밖…투자 절실’"
19 교육과학기술부, "줄기세포 R&D 투자 재점화 - 줄기세포 유망연구팀 6개 선정, 60억원 지원 -"
20 서울경제, "자칫하단 '줄기세포 식민지' 전락 우려"
21 중앙일보, "오바마 지원에 미국 급성장 … 외국 배아줄기세포연구의 현주소 -일본·유럽도 한국보다 앞서"
22 배그린, "영국, 미국, 한국의 줄기세포연구에 관한 정책변동 비교 분석: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모형의 적용" 한국보건행정학회 23 (23): 314-325, 2013
23 강명구, "애국적 열망과 숭고한 과학" 431-453, 2006
24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12– 3호 (2012,02.16)"
25 식품의약품안전처, "식약처,‘차세대 줄기세포기반제제 평가 연구 사업단’운영 - 올해부터 4년간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연구-"
26 박진희, "시민의 과학" 사이언스북스 123-160, 2011
27 조성겸, "생명과학 이슈에 대한 한국 여론의 특성 - 황우석 박사의 줄기세포 이슈를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69-187, 2009
28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조과학부), "생명공학육성시행계획(2006-2014, 각년호)"
29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생명공학 주요 통계자료 모음((2010-2013 각년호)"
30 김은성,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위험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신기술 및 신종재난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2009
31 김종영, "복합사회현상으로서의 과학과 과학기술복합동맹으로서의 황우석" 역사문제연구소 (74) : 82-114, 2006
32 서이종, "배아복제의" 공중의 이해" 와 인터넷 공론" 5 (5): 125-148, 2005
33 김동광, "무대 위의 과학" 5 (5): 23-47, 2005
34 윤석환, "대형연구개발사업 평가제도의 체계적 도입방안" 한국정책학회 12 (12): 51-76, 2003
35 김종영, "대항지식의 구성: 미 쇠고기 수입반대 촛불운동에서의 전문가들의 혼성적 연대와 대항논리의 형성" 한국사회학회 45 (45): 109-152, 2011
36 손향구, "국내 줄기세포정책연결망 분석 : 1997~2005"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37 디지털타임즈, "국내 줄기세포 연구 불 지피나"
38 정병걸, "관료적 조직 경쟁과 기획의 과잉: 국가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 14 (14): 65-86, 2007
39 송위진, "과학기술혁신정책의 시민참여형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정책방안, 지속가능한 과학기술혁신 거버넌스 발전 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17-234, 2012
40 권기창, "과학기술정책의 거버넌스 변화" 한국정책과학학회 10 (10): 27-53, 2006
41 성지은, "과학기술정책결정구조의 변화: 참여정부 과학기술행정체제개편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소 44 (44): 243-264, 2006
42 정병걸, "과학기술과 상징 정치: 참여정부의 과학기술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27-48, 2005
43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공고 제2014-134호「줄기세포치료제 심사 평가 가이드라인 (2014.12.02.)"
44 이명석, "거버넌스의개념화:‘사회적 조정’으로서의 거버넌스" 한국행정학회 36 (36): 321-338, 2002
45 김종영, "‘황빠’ 현상 이해하기:음모의 문화, 책임전가의 정치" 한국사회학회 41 (41): 75-111, 2007
46 Irwin, A., "Valley of Fear" Ulverscroft Large Print Books Ltd 1997
47 Yoon, J. R., "The challenges of governing biotechnology in Korea, East Asian Science" 4 (4): 335-348, 2010
48 Rose,N., "The Politics of Life Itself. Biomedicine Power and Subjectivity in the Twenty-First Century"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7
49 Kim, S. H., "The Politics of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South Korea: Contesting National Sociotechnical Imaginaries" 23 (23): 293-319, 2013
50 Jessop, B., "The New Politics of British Local Governance" St, Martin Press 11-32, 2000
51 Irwin, A., "The Handbook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MIT Press 583-607, 2008
52 Herbert G, "South Korean policy failure and the Hwang debacle" 24 : 141-143, 2006
53 Funtowicz, S., "Social Theories of Risk" Praeger 1992
54 Collingride, D., "Science Speaks to power : the role of the expertise in policy making" Frances Printer 1986
55 서울경제, "MB "줄기세포 지원 신속·과감하게""
56 Wohn, D. Y., "Korea okays stem cell therapies despite limited peer-reviewed data" 18 (18): 329-329, 2012
57 Konrad, K., "Governance of and by expectations" University of Twente 67-77, 2010
58 Dryzek, J. S., "Discursive Democracy: Politics, Policy and Political Sc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9 Fischer, F., "Citizen, Experts, and the Environment" Duke University Press 2000
60 Fiorino, D., "Citizen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Risk:A Survey of Institutional Mechanisms" 15 (15): 226-243, 1990
61 Rajan,K., "Biocapital : The Constitution of Postgenomic Life" Duke University Press 2006
62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Vision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