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Its Related Factors among Clinical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14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Type A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emotional labor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Type A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job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emotional labor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linical nurses working at the general hospital in Seoul.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quota sampling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employment and the working units.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86 clinical nurs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software Results: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the subjects was revealed moderate to high.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of the degrees of emotional labor included psychological job load, the lack of job autonomy, and role conflicts. These three variables demonstrated the explanatory power of 11.4% of the emotional labor.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program intervening emotional labor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improve psychological job load, the job autonomy, and role conflicts among clinical nurs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홍주, "판매직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5

      2 장수진,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 성신여자대학교 2002

      3 허지훈, "조직특성, 감정노동, 종업원 직무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4 한정원, "정서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1997

      5 안지영, "일개 암 전문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정도와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7

      6 김수연,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7 한주원, "개인성격과 감정노동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조직특성의 조절효과-" 한국비서학회 14 (14): 145-168, 2005

      8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18, 2006

      9 김은민, "감정노동: 조직이 감정표현규범에 관한 질적연구" 연세대학교 1995

      10 이복임,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서울대학교 2006

      1 박홍주, "판매직원의 감정노동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5

      2 장수진, "직장인의 정서 자각, 표현과 정신건강의 관련" 성신여자대학교 2002

      3 허지훈, "조직특성, 감정노동, 종업원 직무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0

      4 한정원, "정서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1997

      5 안지영, "일개 암 전문병원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 정도와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7

      6 김수연, "서비스직 근로자의 감정노동과 우울수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2001

      7 한주원, "개인성격과 감정노동 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조직특성의 조절효과-" 한국비서학회 14 (14): 145-168, 2005

      8 정명숙, "감정노동과 상사의 감성지능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1-18, 2006

      9 김은민, "감정노동: 조직이 감정표현규범에 관한 질적연구" 연세대학교 1995

      10 이복임, "감정노동 종사자의 건강모형" 서울대학교 2006

      11 오흥석, "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감정노동이 개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2004

      12 고종욱,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 한국간호과학회 33 (33): 265-274, 2003

      13 Hagihara, A., "Type A and type B behaviors, work stressors, and social support at work" 26 (26): 486-494, 1997

      14 Arnold, B.,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depression and job dissatisfaction among young worker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2003

      15 Morris, J. A., "The dimensi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emotional labor" 21 : 986-1010, 1996

      16 서석권, "SJAS로 측정한 A형 행동양상과 사회인구학적인 변수" 7 (7): 272-279, 1988

      17 Caplan, R. D., "Relationships of cessation of smoking with job stress, personality, and social support" 60 (60): 211-219, 1975

      18 Brotheridge, C. M., "On the dimensionality if emotional labo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labor scale" 1998

      19 이경용, "NIOSH 직업스트레스 조사표의 신뢰도 및 타당도" 8 : 57-111, 2000

      20 Kring, A. M.,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i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66 : 934-949, 1994

      21 Kruml, S. M., "Exploring th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14 (14): 8-49, 2000

      22 Yang, F. H., "Emotional labou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st clinical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45 (45): 879-887, 2008

      23 Mann, S., "Emotional labour and stress within mental health nursing" 12 : 154-162, 2005

      24 Ashforth, B. E.,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18 : 88-115, 1993

      25 Brotheridge, C. M., "Emotional labor and burnout: Comparing to perspectives of "People Work"" 60 : 17-39, 2002

      26 Hochschild, A. R.,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24 (24): 43-48, 1979

      27 Zapf, D., "Emotion work and job stressors and their effects on burnout" 16 : 527-545, 2001

      28 Grandey, A. A., "Emotion regulation in the workplace: A new way to conceptualize emotional labor" 5 (5): 95-110, 2000

      29 Cohen, C. S., "An audit of managerial stress" 49 : 11-28, 1978

      30 Goolsby, J. R., "A theory of role stress in boundary spanning positions of marketing organizations" 20 (20): 155-164, 1992

      31 Bortner, R. W., "A short rating scale as a potential measure of pattern a behavior" 22 : 87-91, 1969

      32 Cordes, C. L., "A review and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18 (18): 621-656, 1993

      33 Mann, S., "A health care model of emotional labour: An evaluation of the literature and development of a model" 19 (19): 317-323,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4-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3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임상간호사회 -> 병원간호사회
      영문명 : 미등록 ->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등록 한글명 : 임상간호연구
      외국어명 : Clinical Nursing Research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4 1.04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4 1.23 1.94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