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액티비즘의 확산에 기여하는 비극 기반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기제 연구 = A Study on the Mechanism of Tragedy-based Storytelling Contents That Helps the Positive Spread of Local Activ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160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이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2가지의 번역어로 쓰인다.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작고 중심에서 더 먼 지방을 가리키는 ‘로컬(local)’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독자적인 세력으로서의 범위를 가리키는 ‘리전(region)’이다. 세계화와 국제화의 시대를 맞이해서 각 지역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로컬과 리전이라는 서로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모습을 띤다독자적인 지역이라는 인식 또한 상반된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국가가 자신의 행정권과 정치 역량을 지방 당국에 나눠주는 표면적이고 하향적인 지방분권화로서의 지역화(regionalization)와 지역 스스로의 시도 또는 투쟁을 통해 권력을 획득해나가는 근본적이고 상향적인 지역주의(regionalism)가 그것이다. 지역 기반의 활동 즉 로컬 액티비즘(local activism)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애착 또는 애호를 기반으로 지역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려는 지역주의 운동이면서, 로컬이라는 변방에서 리전이라는 중심으로 거듭나려는 운동의 성격을 띤다. 지역을 소재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결합시킨 지역 문화콘텐츠는 공감(empathy)과 동일시(identification) 작용에 의해 관심과 몰입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내부인의 결속을 다지는 동시에 외부인의 관심과 호응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액티비즘을 촉발시키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호학적 이항대립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렐프(Edward Relph)의 인본지리학적 장소정체성 모델 중 ‘대리적 내부성’이라는 역할과 상통한다. 이를 통해 지역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지역 액티비즘에 대한 호감을 대외적으로 확산시키는 기제를 이해할 수 있다.
      번역하기

      ‘지역’이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2가지의 번역어로 쓰인다.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작고 중심에서 더 먼 지방을 가리키는 ‘로컬(local)’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독자적인 ...

      ‘지역’이라는 표현은 문맥에 따라 2가지의 번역어로 쓰인다. 하나는 상대적으로 더 작고 중심에서 더 먼 지방을 가리키는 ‘로컬(local)’이고, 다른 하나는 고유한 특성을 지닌 독자적인 세력으로서의 범위를 가리키는 ‘리전(region)’이다. 세계화와 국제화의 시대를 맞이해서 각 지역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로컬과 리전이라는 서로 다른 차원에서 다양한 모습을 띤다독자적인 지역이라는 인식 또한 상반된 움직임을 만들어낸다. 국가가 자신의 행정권과 정치 역량을 지방 당국에 나눠주는 표면적이고 하향적인 지방분권화로서의 지역화(regionalization)와 지역 스스로의 시도 또는 투쟁을 통해 권력을 획득해나가는 근본적이고 상향적인 지역주의(regionalism)가 그것이다. 지역 기반의 활동 즉 로컬 액티비즘(local activism)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에 대한 애착 또는 애호를 기반으로 지역 스스로의 목소리를 내려는 지역주의 운동이면서, 로컬이라는 변방에서 리전이라는 중심으로 거듭나려는 운동의 성격을 띤다. 지역을 소재로 스토리텔링 기법을 결합시킨 지역 문화콘텐츠는 공감(empathy)과 동일시(identification) 작용에 의해 관심과 몰입을 불러일으킨다. 또한 내부인의 결속을 다지는 동시에 외부인의 관심과 호응을 유도함으로써 지역 액티비즘을 촉발시키고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기호학적 이항대립 개념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렐프(Edward Relph)의 인본지리학적 장소정체성 모델 중 ‘대리적 내부성’이라는 역할과 상통한다. 이를 통해 지역이라는 한계를 벗어나 지역 액티비즘에 대한 호감을 대외적으로 확산시키는 기제를 이해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wo types of expression for a specific range of geographic areas are 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ne word is “local,” which refers to a relatively smaller and farther district from the center, and the other word is “regional,” which refers to a range of independent forc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each region take on a variety of appearances at different levels, such as local and regional. The perception of an independent “region” also creates conflicting movements. Regionalization, first, as a superficial and downward decentralization in which the state distributes its administrative power and political capacity to local authorities, and regionalism, second, which is fundamental and upward, in which the region gains power through its own attempts or struggles. Local activism is a movement of localism in which a region speaks its own voice based on attachment or love for the region in which one lives. At the same time,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a movement to be reborn from the periphery as a “local” to the center as a “region”. Regional culture contents that combine storytelling techniques with local resources arouse interest and immersion in the region through the action of empathy 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it plays a role in triggering and spreading local activism by inducing interest and response from outsiders while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insiders. This is in line with the role of “vicarious insideness” in Edward Relph s place identity model of humanistic geography which is created based on the semiotic concept of binary opposition. It is possible, through thi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likelihood of local activism is spread outside the limits of the region.
      번역하기

      Two types of expression for a specific range of geographic areas are 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ne word is “local,” which refers to a relatively smaller and farther district from the center, and the other word is “regional,” which refers ...

      Two types of expression for a specific range of geographic areas are used depending on the context. One word is “local,” which refers to a relatively smaller and farther district from the center, and the other word is “regional,” which refers to a range of independent forc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each region take on a variety of appearances at different levels, such as local and regional. The perception of an independent “region” also creates conflicting movements. Regionalization, first, as a superficial and downward decentralization in which the state distributes its administrative power and political capacity to local authorities, and regionalism, second, which is fundamental and upward, in which the region gains power through its own attempts or struggles. Local activism is a movement of localism in which a region speaks its own voice based on attachment or love for the region in which one lives. At the same time,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a movement to be reborn from the periphery as a “local” to the center as a “region”. Regional culture contents that combine storytelling techniques with local resources arouse interest and immersion in the region through the action of empathy and identification. In addition, it plays a role in triggering and spreading local activism by inducing interest and response from outsiders while strengthening the bond between insiders. This is in line with the role of “vicarious insideness” in Edward Relph s place identity model of humanistic geography which is created based on the semiotic concept of binary opposition. It is possible, through this, to understand the mechanism by which the likelihood of local activism is spread outside the limits of the reg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세계화 시대의 지역 정체성 2. 정체성 동일시에 의한 액티비즘 확산 3. 지역 문화콘텐츠의 대리적 내부성 4. 맺음말: 비극 스토리텔링의 긍정적 효과 참고문헌
      • 1. 머리말: 세계화 시대의 지역 정체성 2. 정체성 동일시에 의한 액티비즘 확산 3. 지역 문화콘텐츠의 대리적 내부성 4. 맺음말: 비극 스토리텔링의 긍정적 효과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 스톤, "현대인문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1992

      2 이재영, "헝거포드 접근법의 행동주의를 넘어서" 한국환경교육학회 15 (15): 68-82, 2002

      3 임병조,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지역지리학의 새로운 모색" 한울 2010

      4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5 James M. Rubenstein, "세계의 문화경관: 현대인문지리학" 시그마프레스 2012

      6 나은영, "미디어 심리학" 한나래 2010

      7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8 구스타프 프라이탁, "드라마의 기법" 청록 1992

      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0 이현재, "“정체성(Identity)”개념 분석 :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試論)" 철학연구회 (71) : 263-277, 2005

      1 존 스톤, "현대인문지리학사전" 한울아카데미 1992

      2 이재영, "헝거포드 접근법의 행동주의를 넘어서" 한국환경교육학회 15 (15): 68-82, 2002

      3 임병조, "지역정체성과 제도화: 지역지리학의 새로운 모색" 한울 2010

      4 아리스토텔레스, "시학" 문예출판사 2002

      5 James M. Rubenstein, "세계의 문화경관: 현대인문지리학" 시그마프레스 2012

      6 나은영, "미디어 심리학" 한나래 2010

      7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8 구스타프 프라이탁, "드라마의 기법" 청록 1992

      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 용어사전"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10 이현재, "“정체성(Identity)”개념 분석 : 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試論)" 철학연구회 (71) : 263-277, 2005

      11 David A. Snow, "The Wiley-Blackwell Encyclopedia of Social and Political Movements" Wiley-Blackwell 2013

      12 Derek Gregory, "The Dictionary of Human Geography" Blackwell 2000

      13 Jennings Bryant, "Responding to the screen: reception and reaction processe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1

      14 Frans Schrijver, "Regionalism After Regionalization: Spain, France and the United Kingdom"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06

      15 Edward Relph, "Place and Placelessness" Pion 1976

      16 Charles R. Potkay, "Perceptions of female and male comic strip characters II: Favorability and identification are different dimensions" 10 (10): 1984

      17 Zygmunt Bauman, "Identity in the Globslising World" 9 (9): 2000

      18 Emil Angehrn, "Geschichte und Identität" Walter de Gruyter 1985

      19 Rick Busselle, "Fictionality and Perceived Realism in Experiencing Stories: A Model of Narrative Comprehension and Engagement" 18 (18): 2008

      20 Jonathan Cohen, "Defining identification: a theorethical look at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with media characters" 4 (4): 2001

      21 John Lennon, "Dark Tourism: The Attraction of Death and Disaster" Continuum 2000

      22 Léonce Bekemans, "Culture: Building Stone for Europe 2002" European Interuniversity Press 1993

      23 James A. Russell, "Core affect and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of emotion" 110 (110): 2003

      24 Mark H. Davis, "A Multidimensional Approach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10 :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3 0.93 0.9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9 1.289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