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FTA 체결에 따른 수입제품의 소비자 후생척도에 관한 실태조사 = A Survey on Consumer Welfare Level for FTA - Focusing on the Kwangju and Jeonnam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19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planned welfare lever of Korean consumer's for American and EU product, due to the Korea's FTA. The subject of the subject is A Swvey on Consumer Welfare Level for FTA under the Kwangju and Jeonnam.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Korea-USA, the Korea-EU and the Korea-Chin-Japan FTAs on consumer welfare level and the satisfaction of directly related countries. The Korea-USA and the Korea-EU FT As could have some complementary relations to Korea.
      In conclusion, Korea-US-EU FTA is necessary to bolste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It will provide increasing welfare level of American and EU produc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planned welfare lever of Korean consumer's for American and EU product, due to the Korea's FTA. The subject of the subject is A Swvey on Consumer Welfare Level for FTA under the Kwangju and Jeonnam. Th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w the planned welfare lever of Korean consumer's for American and EU product, due to the Korea's FTA. The subject of the subject is A Swvey on Consumer Welfare Level for FTA under the Kwangju and Jeonnam.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Korea-USA, the Korea-EU and the Korea-Chin-Japan FTAs on consumer welfare level and the satisfaction of directly related countries. The Korea-USA and the Korea-EU FT As could have some complementary relations to Korea.
      In conclusion, Korea-US-EU FTA is necessary to bolster economic cooperation in the future. It will provide increasing welfare level of American and EU produc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연구 및 FTA 제품의 가격동향
      • III. 실태조사
      • IV. 결론 및 시사점
      • Abstract
      • I. 서론
      • II. 이론적 연구 및 FTA 제품의 가격동향
      • III. 실태조사
      • IV.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지식경제부, "한미 FTA에 따른 기대효과 및 활용지원방안"

      2 박혜진, "한국 IT제조업에 있어서의 한-칠레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 탄력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14 (14): 25-53, 2009

      3 이제홍, "한·칠레 FTA 체결 후 칠레제품 평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3 (13): 97-118, 2011

      4 유희곤, "한·미 FTA 발효 후 대미 수출 오히려 줄었다, 올 하반기들어 지난해보다 월평균 4.5% 감소, 입력 2012.12.03 21:10.(2012.12.5일 발췌인용)"

      5 김흥종,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과 정책적 대응방안"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10-, 2005

      6 송백훈, "순차적 FTA: 한국의 중국 및 일본과의 FTA"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13-139, 2010

      7 엄영숙,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발표에 따른 소비자 후생손실 측정" 한국환경경제학회 18 (18): 495-521, 2009

      8 "http://www.fta.go.kr/new/ftakorea/policy.asp"

      9 USITC, "U.S.-Korea FTA: The Economic Impact of Establishing a Free Trade Agreement(FTA)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2001

      10 Viner, J., "The Customs Union Issue" Carnegie Endowment for Peace 1950

      1 지식경제부, "한미 FTA에 따른 기대효과 및 활용지원방안"

      2 박혜진, "한국 IT제조업에 있어서의 한-칠레 FTA의 경제적 효과분석: 탄력성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국제통상학회 14 (14): 25-53, 2009

      3 이제홍, "한·칠레 FTA 체결 후 칠레제품 평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3 (13): 97-118, 2011

      4 유희곤, "한·미 FTA 발효 후 대미 수출 오히려 줄었다, 올 하반기들어 지난해보다 월평균 4.5% 감소, 입력 2012.12.03 21:10.(2012.12.5일 발췌인용)"

      5 김흥종, "한·EU FTA의 경제적 효과 분석과 정책적 대응방안"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 210-, 2005

      6 송백훈, "순차적 FTA: 한국의 중국 및 일본과의 FTA" 한국경제연구학회 28 (28): 113-139, 2010

      7 엄영숙,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 발표에 따른 소비자 후생손실 측정" 한국환경경제학회 18 (18): 495-521, 2009

      8 "http://www.fta.go.kr/new/ftakorea/policy.asp"

      9 USITC, "U.S.-Korea FTA: The Economic Impact of Establishing a Free Trade Agreement(FTA)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2001

      10 Viner, J., "The Customs Union Issue" Carnegie Endowment for Peace 1950

      11 Frankel, J., "Regional Trading Blocs in the World Economic System" Peterson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1997

      12 Magee, C., "New Measures of Trade Creation and Trade Diversion" 75 : 349-362, 2008

      13 Plummer, M., "Methodology For Impact Assessment of Free Trade Agreements" Asia Development Bank 2010

      14 Primo. B., "Implications of NAFTA for East Asia Exports" The World Bank 1994

      15 Choi, I. B., "Free Trade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2001

      16 박성용, "FTA의 소비자후생 증대유형 및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2 (12): 127-149, 2010

      17 Lejour. A. M., "EU enlargement: Economic implications for countries and industries" Mague 2001

      18 Baier, L., "Do free trade agreements actually increase members' international trade?" 71 (71): 72-95, 2007

      19 Smith, A., "Completing the internal market in the European Community: Some industry simulation" 32 : 1501-1525, 1988

      20 Cernat, L., "Assessing Regional Trade Arrangements : Are South-South RTAs More Trade Diverting?" UNCTAD 2001

      21 한국소비자원, "2012년 5월 18일(금)보도자료"

      22 공정거래위원회, "2012.6.21.(목)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7 0.482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