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아동학대가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3차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초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50694
2015
Korean
매개효과 ; 아동학대 ; 자아탄력성 ; 정서 문제 ; child abuse ; ego-resiliency ; emotional problems ; mediating effects
KCI등재
학술저널
47-76(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학대가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3차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초등...
본 연구는 아동학대가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의 3차와 4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초등학생 2,342명의 자료를 구조방 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학대 정도가 높을수록 주의집중, 공격성, 신체증상, 사회적 위축, 우울 등의 정서 문제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신체학대, 정서학대에 비해 방임이 정서 문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와 정서 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의 하위유형인 신체학대, 정서학대, 방임과 정서 문제 간의 관계에서 있어서도 자아탄력성이 모두 유의미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학대 인한 초등학생의 정서 문제의 예방과 치료적 차원에서 자아탄력성의 증진을 위한 실천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y on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3th∼4th 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including 2,342 primary school children.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 abuse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y on emotional problem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from the 3th∼4th year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including 2,342 primary school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 abuse increased emotional problems such as attention deficit, aggression, somatic complaints,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In particular, neglect appeared to have relatively a bigger effect on all five emotional problems. Second, results revealed that ego-resiliency wa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all five emotional problems. Also,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nd all five emotional problems were confirmed.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of ego-resiliency of primary school children from the point of view of prevention and treatment of emotional problems caused by child abuse were discussed.
청소년의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의 경로모형 연구
부모의 보육시설 신뢰와 교사의 정서적 기질이 영유아의 보육시설 적응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