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百濟 泗沘期 寺刹 基壇築造工程과 位階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temple construction process and rank in Sabi period Baekj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740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백제 사비기 사찰은 특수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와건물지라는 큰 범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개별 검토만이 이루어져 특성과 의미가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찰의 특수성을 검토하기위하여 건물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단 축조공정을 살펴보았다. 기단은 건물이나 탑 등 기타 이와 유사한 축조물의 지면을 일반 지면보다 높게 시설하거나 주위의 지면을 깎아내서 낮게 만든 것으로, 건물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 축조는 일련의 공정에 따라 진행되는데 사찰 건립 계획이 세워지면 입지에 따라 삭토와 성토를 통해 대지조성이 이루어지고, 건물이 들어설 부분에 대하여 굴광판축, 지상성토, 지상삭토의 방법으로 기단토가 구축된 후 외장을 시설하게 된다. 기단 외장은 재료에 따라 석축기단, 와적기단, 전적기단으로 분류되며, 이는 축조 방식에 따라 다시 세분된다. 이렇게 구축된 기단은 형태에 따라 단층기단과 이중기단으로 나뉜다. 백제 사비기 사찰은 다양하게 구축된 건물지들의 기단 양식 조합에 따라 5등급으로 나뉜다. 1등급 미륵사지, 2등급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제석사지, 3등급 금강사지, 부소산폐사지, 4등급 오합사지, 5등급 군수리사지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사찰은 그 위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즉 기단의 축조공정은 사찰의 격과 조영주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백제 사비기 사찰은 특수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와건물지라는 큰 범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개별 검토만이 이루어져 특성과 의미가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

      백제 사비기 사찰은 특수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와건물지라는 큰 범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각각의 건물에 대한 개별 검토만이 이루어져 특성과 의미가 드러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찰의 특수성을 검토하기위하여 건물에서 가장 기초적이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단 축조공정을 살펴보았다. 기단은 건물이나 탑 등 기타 이와 유사한 축조물의 지면을 일반 지면보다 높게 시설하거나 주위의 지면을 깎아내서 낮게 만든 것으로, 건물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단 축조는 일련의 공정에 따라 진행되는데 사찰 건립 계획이 세워지면 입지에 따라 삭토와 성토를 통해 대지조성이 이루어지고, 건물이 들어설 부분에 대하여 굴광판축, 지상성토, 지상삭토의 방법으로 기단토가 구축된 후 외장을 시설하게 된다. 기단 외장은 재료에 따라 석축기단, 와적기단, 전적기단으로 분류되며, 이는 축조 방식에 따라 다시 세분된다. 이렇게 구축된 기단은 형태에 따라 단층기단과 이중기단으로 나뉜다. 백제 사비기 사찰은 다양하게 구축된 건물지들의 기단 양식 조합에 따라 5등급으로 나뉜다. 1등급 미륵사지, 2등급 능산리사지, 왕흥사지, 제석사지, 3등급 금강사지, 부소산폐사지, 4등급 오합사지, 5등급 군수리사지로 분류된다. 이렇게 분류된 사찰은 그 위계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즉 기단의 축조공정은 사찰의 격과 조영주체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a particular place, it has been studied in a large category called tile–capped building, and its character and meaning were not shown because individual examination on each building was only performed. Therefore it examined the temple through construction process of platform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ndispensable. The platform's ground of building or pagoda etc. including similar building was used to be constructed higher than general ground or built low by cutting surrounding ground, and the platform constructed in the base of building had a role to support weight of superstructure.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is progressed through certain course, it makes land by cutting and building land in accordance with its location when plan for building the temple is set up, and it constructs exterior of platform through digging and building land, building land on the ground, cutting land on the ground after platform ground is established. According to its material, exterior of platform is classified into stone–built platform, tile–capped platform and brick–built platform, and this is subdivided again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construction. The constructed platform after certain 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one–storied platform
      and double–storied platform according to its shape.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classified into first grade, Mireuk temple site, second grade, Neungsanria temple site, Wangheung temple site, Jeseok temple site, third grade, Keumkang temple site, Busosanpye temple site, fourth grade, Ohap temple site and fifth grade, Kunsoori temple site according to the way of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The temple classified like that shows difference on its rank. In other words,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latform reflects class of the temple and its builder.
      번역하기

      Although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a particular place, it has been studied in a large category called tile–capped building, and its character and meaning were not shown because individual examination on each building was only performed...

      Although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a particular place, it has been studied in a large category called tile–capped building, and its character and meaning were not shown because individual examination on each building was only performed. Therefore it examined the temple through construction process of platform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ndispensable. The platform's ground of building or pagoda etc. including similar building was used to be constructed higher than general ground or built low by cutting surrounding ground, and the platform constructed in the base of building had a role to support weight of superstructure.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is progressed through certain course, it makes land by cutting and building land in accordance with its location when plan for building the temple is set up, and it constructs exterior of platform through digging and building land, building land on the ground, cutting land on the ground after platform ground is established. According to its material, exterior of platform is classified into stone–built platform, tile–capped platform and brick–built platform, and this is subdivided again in accordance with the way of
      construction. The constructed platform after certain course can be classified into one–storied platform
      and double–storied platform according to its shape. The temple in Sabi period Baekje is classified into first grade, Mireuk temple site, second grade, Neungsanria temple site, Wangheung temple site, Jeseok temple site, third grade, Keumkang temple site, Busosanpye temple site, fourth grade, Ohap temple site and fifth grade, Kunsoori temple site according to the way of construction of the platform. The temple classified like that shows difference on its rank. In other words, construction process of the platform reflects class of the temple and its buil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사찰 건물지 평면배치 검토
      • Ⅲ. 기단부 축조공정
      • Ⅳ. 건물지별 기단의 특징
      • Ⅴ. 사찰의 위계
      • Ⅰ. 머리말
      • Ⅱ. 사찰 건물지 평면배치 검토
      • Ⅲ. 기단부 축조공정
      • Ⅳ. 건물지별 기단의 특징
      • Ⅴ. 사찰의 위계
      • Ⅵ. 맺음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