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회복과정에서 정신장애인의 자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A study on the self awareness of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in the recovery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061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recovery paradigm is emphasized as a process of rebuilding a meaningful life beyond treatment for symptoms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in-depth analysis on the self-awareness, which is suggest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covery proces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the onset of the illness, self-awareness had been overwhelmed by the identity with a ‘mental illness’. but through the recovery process, it concentrates more on the self that they truly desire and integrates into a whole entity. These changes are made internally through self-understanding, positive thinking, and the meaning of life, further interconnected with the control over illnesse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growth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ith society, family, peers, and recovery-oriented practices.
      번역하기

      Recently, the recovery paradigm is emphasized as a process of rebuilding a meaningful life beyond treatment for symptoms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in-depth analysis on the self-awareness, which is suggested to...

      Recently, the recovery paradigm is emphasized as a process of rebuilding a meaningful life beyond treatment for symptoms in the mental health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in-depth analysis on the self-awareness, which is suggest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recovery proces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4 people with psychiatric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after the onset of the illness, self-awareness had been overwhelmed by the identity with a ‘mental illness’. but through the recovery process, it concentrates more on the self that they truly desire and integrates into a whole entity. These changes are made internally through self-understanding, positive thinking, and the meaning of life, further interconnected with the control over illnesses, supportive relationships, and growth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with society, family, peers, and recovery-oriented practic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증상치료를 넘어 의미 있는 삶을 다시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서 회복 패러다임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회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 자아인식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14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발병 후 ‘정신질환자’로서의 정체성에 압도된 자아인식은 회복과정을 통해 정신질환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진짜 모습에 보다 집중하게 되고 온전한 자아로 통합되어간다. 이러한 변화는 증상통제, 지지관계, 성취경험을 통해 자기이해, 주체의지, 삶의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아인식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사회, 가족, 동료와의 관계와 회복지향실천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증상치료를 넘어 의미 있는 삶을 다시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서 회복 패러다임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회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 자아인식...

      최근 정신건강영역에서는 증상치료를 넘어 의미 있는 삶을 다시 만들어나가는 과정으로서 회복 패러다임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회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고 있는 자아인식에 대해 깊이 있게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를 위해 14명의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여 주제 분석을 실시 하였다. 분석결과, 발병 후 ‘정신질환자’로서의 정체성에 압도된 자아인식은 회복과정을 통해 정신질환이 아닌 자신이 원하는 진짜 모습에 보다 집중하게 되고 온전한 자아로 통합되어간다. 이러한 변화는 증상통제, 지지관계, 성취경험을 통해 자기이해, 주체의지, 삶의 의미를 발견해나가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신장애인의 자아인식에 상호영향을 미치는 사회, 가족, 동료와의 관계와 회복지향실천의 중요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윤,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2 서미경,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73-194, 2004

      3 이민화, "정신장애인이 주도하는 접촉프로그램의 반낙인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17-142, 2018

      4 황숙연,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28-63, 2007

      5 김미영, "정신장애인의 회복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6 박정임, "정신장애인의 회복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35-546, 2018

      7 정현주,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33-55, 2018

      8 이예승,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 구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85-514, 2015

      9 최윤정, "정신장애인의 회복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6) : 111-143, 2007

      10 이규명,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를 통한 회복과정에 대한 연구" 149-183, 2010

      1 김도윤, "지역사회 정신보건 프로그램 환경이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1

      2 서미경, "지각된 낙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만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73-194, 2004

      3 이민화, "정신장애인이 주도하는 접촉프로그램의 반낙인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70 (70): 117-142, 2018

      4 황숙연, "정신장애인의 회복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고찰"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28-63, 2007

      5 김미영, "정신장애인의 회복모형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1

      6 박정임, "정신장애인의 회복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535-546, 2018

      7 정현주,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귀시설에서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중심으로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4 (14): 33-55, 2018

      8 이예승, "정신장애인의 회복개념 구성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485-514, 2015

      9 최윤정, "정신장애인의 회복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6) : 111-143, 2007

      10 이규명,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를 통한 회복과정에 대한 연구" 149-183, 2010

      11 박향경, "정신장애인의 어머니가 경험한 가족생활 내러티브탐구 “폭풍우가 휩쓸고 간 숲 드러난 뿌리로 부둥켜안으며 지켜오다”"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241-275, 2016

      12 김성용, "정신장애인의 스티그마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스티그마에 대한 자기보호적 속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2 (42): 91-120, 2014

      13 강석임,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지역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1) -자아정체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4) : 61-82, 2014

      14 김문근,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낙인 연구모형에 관한 연구: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7) : 7-42, 2015

      15 하경희, "정신장애인의 동료지지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0 (40): 175-201, 2012

      16 강석임, "정신장애인 회복과정 영향 요인-스트레스, 사회적 자원 및 지역사회통합과의 관계"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116-143, 2013

      17 예재경, "정신장애인 가족 대상 심리정서 역량강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2 (2): 53-70, 2018

      18 김희정, "정신보건전문가들이 지각하는 정신장애로부터의 회복상태" 11 (11): 452-461, 2002

      19 심경순, "정신보건전문가들이 인식하는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2) : 78-105, 2009

      20 현명선, "정신 장애인의 낙인(stigma) 경험" 한국간호과학회 42 (42): 226-235, 2012

      21 이미경, "자조집단에 참여하는 정신장애인의 회복경험" 165-213, 2011

      22 박아청, "여성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13 (13): 115-126, 2000

      23 강석임, "시설거주 정신장애인의 회복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학회 (30) : 97-129, 2011

      24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집문당 2016

      25 조혜자, "비본질주의 관점에서 본 여성의 자아정체성" 7 (7): 115-130, 2002

      26 김나라, "만성 정신분열병의 회복과 관련된 변인의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739-754, 2005

      27 이근희, "동료지원활동에 참여한 정신장애인의 회복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접근" 283-322, 2014

      28 민소영, "낙인이론에 입각한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경로 과정: 정신보건세팅별 비교연구" 17 (17): 35-75, 2014

      29 김진희,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조현병 대상자의 긍정정서, 대인관계, 극복력 및 정신건강회복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7 (47): 638-650, 2017

      30 Chester, P., "What is the Work of Recovery Oriented Practic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25 : 270-285, 2016

      31 Jacobson, N., "What is recovery? A conceptual model and explication" 52 (52): 482-285, 2001

      32 Slade, M., "Uses and Abuses of Recovery: Implimenting Recovery-Oriented Practices in Mental Health Systems" 13 : 12-20, 2014

      33 Corrigan, P. W., "Three Programs That Use Mass Approaches to Challenge the Stigma of Mental Illness" 57 (57): 393-398, 2006

      34 Ramon, S., "The Rediscovered concept of Recovery in Mental Illness: A Multicounty Comparison of Policy and Practice" 38 (38): 106-126, 2009

      35 Marin, I., "The Person’s Role in Recovery" 8 : 223-242, 2005

      36 Yanos, P. T., "The Impact of Illness Identity on Recovery from Severe Mental Illness" 13 : 73-93, 2010

      37 Carpinello, S. E., "The Development of the Mental Health Confidence Scale : A Measure of Self-efficacy in Individuals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23 (23): 236-243, 2000

      38 Stake, R. E.,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1995

      39 Goffman, I., "Stigma: Notes on the Management of Spoiled Identity" Prentice Hall 1963

      40 Link, B. G., "Stigma as a Barrier to Recovery: The Consequences of Stigma for the Self-Esteem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52 : 1621-1126, 2001

      41 Wisdom, J. P., "Stealing me from myself:Identity and Recovery in Personal Accounts of Mental Illness" 42 : 489-495, 2008

      42 Le Buotillier, C., "Staff understanding of recovery-oriented mental health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10 : 87-101, 2015

      43 Corrigan, P. W., "Some Recovery Processes in Mutual-help Groups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Qualitative Analysis of Participant Interviews" 41 (41): 721-, 2005

      44 Roe, D., "Self and Narrative in Schizophrenia: Time to Author a New Story" 31 : 89-94, 2005

      45 Bellack, A. S, "Scientific and Consumer Models of Recovery in Schizophrenia: Concordance, Contrasts, and implications" 32 : 432-444, 2006

      46 Ridgway. P, "Restoring Psychiatric Disability Learned from First Person Narratives" 24 : 335-343, 2001

      47 Deegan, P. E, "Recovery: The lived experience of rehabilitation" 14 (14): 11-19, 1998

      48 Anthony, W, "Recovery from mental illness: The guiding vision of the mental health service system in the 1990s" 16 (16): 11-23, 1993

      49 Noiseux, S., "Recovery as Perceived by People with Schizophrenia, Family Member and Health Professionals: A Ground Theory" 45 (45): 1148-1162, 2008

      50 WHO., "QualityRigts : Promoting recovery in mental health and related services"

      51 Cres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 Sage 1998

      52 Slade, M., "Personal Recovery and Mental Illness: A Guide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Cambridge Univerysity Press 2009

      53 Davidson, L., "Oil and Water or Oil and Vinegar? Evidence-Based Medicine Meets Recovery" 45 : 323-332, 2009

      54 Carless, D, "Narrative, Identity, and Recovery from Serious Mental Illness: A Life History of a Runner" 5 : 233-248, 2008

      55 Spaniol. L., "Leader’s Guide: The Recovery Workbook" Boston University 1994

      56 Rosenfield, S, "Labeling Mental Illnes: The Effects of Receives and Perceived Stigma on Life Satisfation" 62 : 660-672, 1997

      57 Erikson, E. H, "Identity and the Life Cycle: Selected Papers" 1 : 1-171, 1959

      58 Guba, E. G.,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1989

      59 Harding, C. M, "Course types in schizophrenia: An analysis of European and American studies" 14 : 633-643, 1988

      60 Leamy, M., "Conceptual Framework for Personal Recovery in Mental Health: Systematic Review and Narrative Synthesis" 199 : 445-452, 2011

      61 Mccauley, C. O., "Concept Analysis of Recovery in Mental Illness in Young Adulthood" 22 : 579-589, 2015

      62 Buck, K. D., "Challenges to Assisting with the Recovery of Personal Identity and Wellness for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Considerations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5 (5): 134-143, 2013

      63 Onkens, S. J., "An Analysis of the Definitions and Elements of Recovery: A Review of the Literature" 31 : 9-22, 2007

      64 Perlikck, D. A, "Adverse Effects of Perceived Stigam on Social Adaptation of Persons Diagnosed with Bipolar Affective Disorder" 52 (52): 1627-1642, 2001

      65 Anthony, W, "A recovery-oriented service system: Setting some system standards" 24 (24): 11-23, 2000

      66 Link, B. G., "A Modified Labeling Theory Approach to Mental Disorders: An Empirical Assessment" 54 : 400-423,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1.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7 1.03 1.338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