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으로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대상에게서 12주 동안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을 통해 한식 섭취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CVD 위험인자 및 약물 투여량의 변화, 영양소 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408928
2018
Korean
590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215-227(1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으로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대상에게서 12주 동안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을 통해 한식 섭취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CVD 위험인자 및 약물 투여량의 변화, 영양소 섭...
본 연구는 심혈관질환으로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대상에게서 12주 동안 한식으로 식이조절 교육을 통해 한식 섭취가 증가하고 이를 통해 CVD 위험인자 및 약물 투여량의 변화, 영양소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7 ± 2.5세로 최근 3년 이내에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고 지속적으로 심혈관질환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였다.
2. 대상자의 한식 식이조절 교육 순응도 점수는 교육 전 35.8 ± 0.9점에서 교육 후 43.0 ± 1.2점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p < 0.001), 이는 한식 섭취를 적극적으로 실천하였음을 시사한다.
3. 대상자의 비만지표인 체중 및 체질량지수는 교육 후, 감소 경향을 보였으며 허리둘레 (p = 0.002) 및 허리 · 엉덩이둘레비인 WHR (p < 0.001)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4. 대상자들의 혈당조절 지표인 HbA1c는 교육 전 7.3 ± 1.0%에서 교육 후 7.0 ± 1.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 < 0.05).
5. 대상자들의 항고혈압제약물의 투여량 변화는 교육전 2.1개에서 교육 후 1.7개로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혈압은 정상범위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항당뇨병 약제 복용량은 유의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았으나, 안정된 상태로 적절한 혈당을 유지함과 동시에 혈당 조절 지표인 당화혈색소가 감소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혈당조절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한식 식사유형인 음식군별 섭취량의 변화는 교육 전에 비해 교육동안에 전곡류로 지은 밥 중심의 식사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p = 0.018), 채소류인 나물류 (p = 0.007), 김치 (p < 0.001) 및 전통 콩발효 양념 (p < 0.001) 등의 섭취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7. 대상자들의 영양소 섭취는 일일 에너지 섭취량은 변화가 없었으나 교육 전보다 교육 동안에 동물성급원식품에서 유래한 동물성 단백질과 지질 및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 (p < 0.05)한 반면 나트륨 (p = 0.019), 칼륨 (p = 0.028), 식이섬유 (p < 0.050), 비타민 A (p = 0.028), 비타민 C (p = 0.010) 및 엽산 (p < 0.001)의 섭취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적극적인 한식 섭취를 권장하고 장려하는 식이조절교육 중재는 심혈관질환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서 영양소 섭취와 심혈관계 위험인자인 비만지표, 혈당조절 지표에 대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교육에 참여한 대상자가 15명으로 다소 적었으며 단기 교육에 의한 전후 비교 평가에 의한 것으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 장기간의 교육과 대조군이 있는 비교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creases in consuming Korean food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diovascular disease (CVD) surgery based on a Korean diet control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die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increases in consuming Korean food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diovascular disease (CVD) surgery based on a Korean diet control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diet control nutrition education on risk factors of CVD, changes in amounts of medication, and nutritional intakes. Methods: The subjects consisted of 15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VD surgery within three years and continuously taken cardiovascular drugs. The Korean traditional diet (KTD) emphasizes intake of vegetables and fermented foods to lower saturated fat and cholesterol intake. We applied a KTD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d a modified DASH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iet for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Korean diet control education was then applied to the patients for 12 week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CVD and the state of nutritional intakes. Results: The Korean diet control compliance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s Korean diet control education was implemented. Additionally, the obesity indexes, waist circumference (WC) (p = 0.002) and waist-to-hip ratio (WHR)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01) after subjects received the education. Moreover, the glycemic control index, HbA1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from 7.3 ±1.0% before the education to 7.0 ±1.1% after the education. Changes in the amounts of Korean diet intake consisted of significant increases in cooked rice with whole grains, narmuls (vegetables either raw or cooked), kimchi, and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llowing the education. Moreover, the nutritional intake after the education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p < 0.05) in animal protein, animal lipids, and cholesterol. However, the intakes of Na, K, dietary fiber, vitamin A, vitamin B6, vitamin C, and folic aci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The active encouragement of consuming Korean food and the intervention of implementing diet control education positively affected nutritional intake, the obesity index and glycemic control of patients who have undergone CVD surgery.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원, "한국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한식 식사패턴 지수의 개발과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652-660, 2010
2 전태원, "최대하 운동의 강도에 따른 혈중 지질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413-422, 2004
3 신경남,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689-695, 2011
4 대한내분비학회, "제2형 당뇨병에서 강화혈당조절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들에 대한 공동견해" 대한내분비학회 25 (25): 22-24, 2010
5 권지영,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영양소 섭취와 임상지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909-918, 2013
6 유소영,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식이요인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0 (40): 31-40, 2007
7 임은진,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의 영양교육을 통한 혈당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41-150, 2014
8 김성아, "우리나라 성인의 한식 섭취율에 따른 다량영양소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현황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49 (49): 323-334, 2016
9 윤주경, "우리나라 성인의 영양소 섭취와 고감도 C-반응단백과의 연관성 연구 : 2015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0 (50): 565-577, 2017
10 주경옥, "심혈관질환자의영양교육이자기효능감, 식행동양상및심혈관위험요인에미치는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4-73, 2008
1 이경원, "한국음식문화를 기반으로 한 한식 식사패턴 지수의 개발과 검증"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5 (25): 652-660, 2010
2 전태원, "최대하 운동의 강도에 따른 혈중 지질 과산화와 항산화 효소 활성의 변화" 한국운동생리학회 13 (13): 413-422, 2004
3 신경남, "제2형 당뇨환자에 대한 영양교육이 당뇨병 관리와 혈액 항산화 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0 (40): 689-695, 2011
4 대한내분비학회, "제2형 당뇨병에서 강화혈당조절과 심혈관 질환의 예방에 관한 최근 연구결과들에 대한 공동견해" 대한내분비학회 25 (25): 22-24, 2010
5 권지영,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영양소 섭취와 임상지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909-918, 2013
6 유소영,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저항성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및 식이요인과의 관계" 한국영양학회 40 (40): 31-40, 2007
7 임은진, "저소득층 당뇨병 환자의 영양교육을 통한 혈당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43 (43): 141-150, 2014
8 김성아, "우리나라 성인의 한식 섭취율에 따른 다량영양소 및 항산화 비타민 섭취현황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영양학회 49 (49): 323-334, 2016
9 윤주경, "우리나라 성인의 영양소 섭취와 고감도 C-반응단백과의 연관성 연구 : 2015년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영양학회 50 (50): 565-577, 2017
10 주경옥, "심혈관질환자의영양교육이자기효능감, 식행동양상및심혈관위험요인에미치는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8 (38): 64-73, 2008
11 이혜진,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을 위한 지역사회 단계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37 (37): 167-180, 2012
12 이찬, "식이섬유함량이 다른 쌀이 정상인의 혈당과 중성지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1 (31): 1048-1051, 2002
13 오혜선, "면대면 영양교육 후 1년간의 E-mail 영양교육이 직장인 남성의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양학회 42 (42): 559-566, 2009
14 정은지, "고혈압 환자 대상 저나트륨 식생활에 대한 보건소 영양교육이 혈압, 혈액 성상 및 나트륨섭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752-771, 2012
15 O'Donnell M,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events" 371 (371): 612-623, 2014
16 O'Donnell MJ,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and risk of cardiovascular events" 306 (306): 2229-2238, 2011
17 Chobanian AV,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289 (289): 2560-2572, 2003
18 Sim JH, "The effects of diet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prehypertension group on the diet habit and blood pressure" 23 (23): 1-12, 2006
19 Soltani S, "The effect of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on serum inflammatory mark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trials" 37 (37): 542-550, 2018
20 Sikaris K, "The correlation of hemoglobin A1c to blood glucose" 3 (3): 429-438, 2009
21 Son JM, "Symposium 4: advancement of drug or diet therapy; DASH (Dietary Approach to Stop Hypertension)" 12 (12): 290-296, 2002
22 Pyun WB,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23 (23): 1405-1411, 2002
23 Hwang HS, "Nutrition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24 (24): 869-876, 2003
24 Haffner SM,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i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and in nondiabetic subjects with and without prior myocardial infarction" 339 (339): 229-234, 1998
25 Stehouwer CD, "Increased urinary albumin excretion, endothelial dysfunction, and chronic low-grade inflammation in type 2 diabetes: progressive, interrelated, and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risk of death" 51 (51): 1157-1165, 2002
26 Fisher ND,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tional Medicine" McGraw-Hill 1463-1480, 2004
27 Kim J, "Grains, vegetables, and fish dietary pattern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n adults" 111 (111): 1141- 1149, 2011
28 Schulze MB, "Fiber and magnesium intak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167 (167): 956-965, 2007
29 Stolarz-Skrzypek K, "European Project on Genes in Hypertension (EPOGH) Investigators. Fatal and nonfatal outcomes, incidence of hypertension, and blood pressure changes in relation to urinary sodium excretion" 305 (305): 1777-1785, 2011
30 Friedewald WT,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18 (18): 499-502, 1972
31 McGorrian C, "Estimating modifiable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 multiple regions of the world: the INTERHEART Modifiable Risk Score" 32 (32): 581-589, 2011
32 Sacks FM, "Effects on blood pressure of reduced dietary sodium and the Dietary Approaches to Stop Hypertension (DASH) diet" 344 (344): 3-10, 2001
33 Lee SM, "Effects of modified DASH diet education program on Korean middle-aged and elderly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5 (5): 199-207, 2004
34 Lee Y, "Effect of dietary patterns on serum C-reactive protein level" 24 (24): 1004-1011, 2014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2010
36 김영옥,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mong Korean males" 한국영양학회 3 (3): 162-166, 2009
37 Ajani UA, "Dietary fiber and C-reactive protein: findings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134 (134): 1181-1185, 2004
38 Cho SS, "Consumption of cereal fiber, mixtures of whole grains and bran, and whole grains and risk reduction in type 2 diabetes,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98 (98): 594-619, 2013
39 Malik S, "Cardiovascular disease in U.S.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diabetes, and elevated C-reactive protein" 28 (28): 690-693, 2005
40 Chandalia M, "Beneficial effects of high dietary fiber intak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342 (342): 1392-1398, 2000
41 정수진, "Beneficial Effects of Korean Traditional Diets in Hypertensive and Type 2 Diabetic Patient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7 (17): 161-171, 2014
42 Mente A, "Association of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with blood pressure" 371 (371): 601-611, 2014
43 문은경, "Antihypertensive effect of Ganjang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on Sprague-Dawley Rats" 한국영양학회 11 (11): 388-395, 2017
44 Song Y, "A traditional Korean dietary pattern and metabolic syndrome abnormalities" 22 (22): 456-462, 2012
45 Kim J, "A rice-based traditional dietary pattern is associated with obesity in Korean adults" 112 (112): 246-253, 2012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mouse에서 누에체액의 항비만 및 LDL-cholesterol 저하효과
으뜸도라지추출물이 RBL-2H3 세포에서 탈과립과 염증매개물질의 분비 억제에 미치는 영향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 기반 고혈압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3-07-24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1.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11 | 1.778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