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50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한 보건소 기반 고혈압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089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서울의 3개 지역 보건소에서 5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8주와 추후관리 8주로 구성된 16주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정상혈압군 (71명)과 정상혈압을 초과한 고혈압군 (44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시작 전, 8주 교육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에 실시한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혈액분석,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군의 혈압강하제 복용 비율은 86.4%였고 체중, BMI, 체지방비율, 허리둘레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높았다. 영양교육 8주 후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의 수축기혈압이 감소되었고 (p < 0.05), 체중 (p < 0.001), BMI (p < 0.001), 허리둘레 (p < 0.001), 체지방비율 (p < 0.01)이 감소하였다. 혈액검사결과 고혈압군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 HDL-콜레스테롤 증가 (p < 0.001)와 중성지방 감소 (p <0.01), LDL-콜레스테롤 감소 (p < 0.05)가 나타났고, 정상혈압군도 HDL-콜레스테롤 (p < 0.001)과 중성지방 (p <0.01)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일반식습관 총점수와 규칙적인 식습관, 균형 잡힌 식습관, 건강을 의식한 식습관의 항목 소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이 두 군 모두 교육 후 유의적인 상승을 나타냈다 (p < 0.001). 또한 정상혈압군의 나트륨 관련 식행동 총점이 상승되었고 (p < 0.001) 고혈압군에서도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부합하여 고나트륨 함유음식의 섭취빈도 총점이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국수류, 찌개와 탕류, 김치류와 음료류의 섭취빈도가 낮아졌다. 혈압관리를 위한 자기효능감점수의 총점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는데 (p < 0.001) 특히 고혈압군은 자아효능감의 모든 문항점수가 향상되었다.
      종합하면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식생활 영양교육은 혈압이 높은 군과 정상혈압군 모두에서 혈압관리 뿐만 아니라 신체계측지표 및 혈액지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저나트륨 관련 식행동을 비롯한 일반식습관의 전반적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는 건강위험에 대한 각성, 식생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계기와 모니터링을 통한 실천 관리를 제공한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건강위험이 높아지는 50대 이상 여성의 혈압관리 및 만성질환 예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해 보건소에 기반한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의 유효한 모델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서울의 3개 지역 보건소에서 5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8주와 추후관리 8주로 ...

      본 연구는 선행연구로 개발된 고혈압 관리를 위한 식생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서울의 3개 지역 보건소에서 5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교육 8주와 추후관리 8주로 구성된 16주간의 교육을 실시하고 정상혈압군 (71명)과 정상혈압을 초과한 고혈압군 (44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시작 전, 8주 교육 후,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에 실시한 혈압 측정 및 신체계측, 혈액분석,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군의 혈압강하제 복용 비율은 86.4%였고 체중, BMI, 체지방비율, 허리둘레가 정상혈압군에 비해 높았다. 영양교육 8주 후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의 수축기혈압이 감소되었고 (p < 0.05), 체중 (p < 0.001), BMI (p < 0.001), 허리둘레 (p < 0.001), 체지방비율 (p < 0.01)이 감소하였다. 혈액검사결과 고혈압군은 프로그램이 종료된 16주 후 HDL-콜레스테롤 증가 (p < 0.001)와 중성지방 감소 (p <0.01), LDL-콜레스테롤 감소 (p < 0.05)가 나타났고, 정상혈압군도 HDL-콜레스테롤 (p < 0.001)과 중성지방 (p <0.01)의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일반식습관 총점수와 규칙적인 식습관, 균형 잡힌 식습관, 건강을 의식한 식습관의 항목 소계, 나트륨 관련 영양지식 총점이 두 군 모두 교육 후 유의적인 상승을 나타냈다 (p < 0.001). 또한 정상혈압군의 나트륨 관련 식행동 총점이 상승되었고 (p < 0.001) 고혈압군에서도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부합하여 고나트륨 함유음식의 섭취빈도 총점이 교육 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두 집단 모두 국수류, 찌개와 탕류, 김치류와 음료류의 섭취빈도가 낮아졌다. 혈압관리를 위한 자기효능감점수의 총점이 고혈압군과 정상혈압군 모두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는데 (p < 0.001) 특히 고혈압군은 자아효능감의 모든 문항점수가 향상되었다.
      종합하면 50대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식생활 영양교육은 혈압이 높은 군과 정상혈압군 모두에서 혈압관리 뿐만 아니라 신체계측지표 및 혈액지표에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저나트륨 관련 식행동을 비롯한 일반식습관의 전반적 개선효과를 보였다. 이는 건강위험에 대한 각성, 식생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계기와 모니터링을 통한 실천 관리를 제공한 프로그램이 대상자의 요구에 부합한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건강위험이 높아지는 50대 이상 여성의 혈압관리 및 만성질환 예방과 식생활 관리를 위해 보건소에 기반한 지역사회 교육 프로그램의 유효한 모델을 제시한 점에 의의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health risk of women increases after menopau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in women older than 50 years of age. Methods: The program included 8-week nutrition education and 8-week follow-up with keeping a health diary and nutrition counseling.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fter the follow-up.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hypertensives (n = 44) or normotensives (n = 71). Results: The rate of taking antihypertensive drugs in the hypertensive group was 86.4%.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in the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p < 0.05). The body weight (p < 0.001), BMI (p < 0.001), waist circumference (p < 0.001), and percent body fat (p < 0.01) were also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both groups. The hypertensive group showed an increase in HDL-cholesterol level (p < 0.001) and decreases in triglycerides (p < 0.01) and LDL-cholesterol (p < 0.05) level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normotensive group also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in HDL-cholesterol (p < 0.001) and triglycerides (p < 0.01).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n sodium and hypertension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p < 0.001). The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 related to the sodium intake was improved in the normotensive group (p < 0.001). The total score of the high sodium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ecreased in both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and completion of the program compared to that before the program. Decreases in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noodles, pot stews and stews, Kimchi, and beverages were significant. The total self-efficacy score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by the program (p < 0.001). In particular, the hypertensive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ll items. Conclusion: This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chronic diseases in women over 50 years of age.
      번역하기

      Purpose: The health risk of women increases after menopau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in women older than 50 years of age. Methods: The program included 8-week ...

      Purpose: The health risk of women increases after menopaus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on in women older than 50 years of age. Methods: The program included 8-week nutrition education and 8-week follow-up with keeping a health diary and nutrition counseling. The program was evaluated three times: before and after the nutrition education, and after the follow-up.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hypertensives (n = 44) or normotensives (n = 71). Results: The rate of taking antihypertensive drugs in the hypertensive group was 86.4%. The systolic blood pressure decreased in the hypertensive and normotensive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p < 0.05). The body weight (p < 0.001), BMI (p < 0.001), waist circumference (p < 0.001), and percent body fat (p < 0.01) were also decreased after nutrition education in both groups. The hypertensive group showed an increase in HDL-cholesterol level (p < 0.001) and decreases in triglycerides (p < 0.01) and LDL-cholesterol (p < 0.05) levels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 normotensive group also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in HDL-cholesterol (p < 0.001) and triglycerides (p < 0.01). Th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n sodium and hypertension were improved in both groups (p < 0.001). The total score of dietary behavior related to the sodium intake was improved in the normotensive group (p < 0.001). The total score of the high sodium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ecreased in both groups after nutrition education and completion of the program compared to that before the program. Decreases in the consumption frequencies of noodles, pot stews and stews, Kimchi, and beverages were significant. The total self-efficacy score was increased in both groups by the program (p < 0.001). In particular, the hypertensive group showed improvement in all items. Conclusion: This public health center-based nutrition education program may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ypertension and chronic diseases in women over 50 years of 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다영,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 및 식품군의 추이 분석: 1998~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한국영양학회 46 (46): 72-85, 2013

      2 연미영,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급원 음식 및 섭취 양상 -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473-487, 2011

      3 안소현, "주부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분석 및 저나트륨 식사 방법의 실천용이도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724-736, 2012

      4 손숙미, "우리나라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838-853, 2007

      5 문은혜, "만 50세 이상 고혈압 성인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2-74, 2011

      6 박영숙, "나트륨 섭취량과 관련된 식행동의 성별 및 연령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1-12, 2008

      7 정은지, "고혈압 환자 대상 저나트륨 식생활에 대한 보건소 영양교육이 혈압, 혈액 성상 및 나트륨섭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752-771, 2012

      8 임경숙, "고혈압 여자 노인 대상의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640-652, 2008

      9 박서연,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한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기초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623-636, 2012

      10 Sarwar N, "Triglyceride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10,158 incident cases among 262,525 participants in 29 Western prospective studies" 115 (115): 450-458, 2007

      1 송다영,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에 기여하는 주요 음식군 및 식품군의 추이 분석: 1998~2010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한국영양학회 46 (46): 72-85, 2013

      2 연미영,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 급원 음식 및 섭취 양상 - 2008-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473-487, 2011

      3 안소현, "주부의 나트륨 저감화 행동변화 단계에 따른 식행동 특성 분석 및 저나트륨 식사 방법의 실천용이도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724-736, 2012

      4 손숙미, "우리나라 성인의 나트륨 섭취량 추정을 위한 음식섭취빈도조사지의 개발과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2 (12): 838-853, 2007

      5 문은혜, "만 50세 이상 고혈압 성인 대상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6 (16): 62-74, 2011

      6 박영숙, "나트륨 섭취량과 관련된 식행동의 성별 및 연령별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1-12, 2008

      7 정은지, "고혈압 환자 대상 저나트륨 식생활에 대한 보건소 영양교육이 혈압, 혈액 성상 및 나트륨섭취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752-771, 2012

      8 임경숙, "고혈압 여자 노인 대상의 보건소 영양교육 효과 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3 (13): 640-652, 2008

      9 박서연, "건강신념 모델을 적용한 고혈압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발 -포커스그룹 인터뷰에 기초하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7 (17): 623-636, 2012

      10 Sarwar N, "Triglycerides and the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10,158 incident cases among 262,525 participants in 29 Western prospective studies" 115 (115): 450-458, 2007

      11 Chobanian AV,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the JNC 7 report" 289 (289): 2560-2572, 2003

      12 Son SM,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various chronic disease in elderly visiting public health center" 6 (6): 668-677, 2001

      13 Shin J, "The Guideline Committee of the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3 Korean society of hypertensio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hypertension. Part II-treatments of hypertension" 21 : 2-, 2015

      14 Kannel WB, "Systolic versus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27 (27): 335-346, 1971

      15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odium in your diet: use the nutrition facts label and reduce your intak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16 Worsley A,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consumption: can nutrition knowledge change food behaviour?" 11 (11): S579-S585, 2002

      17 Schwarzer R, "Modeling health behavior change: how to predict and modify the adoption and maintenance of health behaviors" 57 (57): 1-29, 2008

      18 Innes KE, "Menopause, the metabolic syndrome, and mind-body therapies" 15 (15): 1005-1013, 2008

      19 Emerging Risk Factors Collaboration, "Major lipids, apolipoproteins, and risk of vascular disease" 302 (302): 1993-2000, 2009

      20 Castelli WP, "Lip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Framingham Study" 2 (2): 23-28, 1992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2 Franklin SS,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contributions of the Framingham Heart Study" 8 (8): 49-57, 2013

      23 Green LW, "Health program planning: an educational and ecological approach" McGraw-Hill 2005

      24 Rimer B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45-66, 2008

      25 Canoy D, "Fat distribution, body mass index and blood pressure in 22,090 men and women in the Norfolk cohort of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Norfolk) study" 22 (22): 2067-2074, 2004

      26 Brug J, "Determinants of healthy eating: motivation, abilities and environmental opportunities" 25 (25): i50-i55, 2008

      27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Choose foods low in sodium [Internet]"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28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auses of death statistics 2016" 2016

      29 Rye KA, "Cardioprotective functions of HDLs" 55 (55): 168-179, 2014

      30 Yim KS, "Analysis of dietary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attending the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hypertensive patients at a public health center" 6 (6): 125-135, 2000

      31 Hu G, "A comparison of dietary and non-dietary factors of hypertension and normal blood pressure in a Chinese population" 15 (15): 487-49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