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셰익스피어와 영화에 대한 논의에서 케네스 브래나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가 1989년에 제작한 셰익스피어의 헨리5세는 20세기 셰익스피어 영화사에 있어서 상업적 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163425
2004
English
Shakespeare ; Kenneth Branagh ; Henry V ; Film ; Translation ; Adaptation ; Commodity
KCI등재
학술저널
25-39(15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셰익스피어와 영화에 대한 논의에서 케네스 브래나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가 1989년에 제작한 셰익스피어의 헨리5세는 20세기 셰익스피어 영화사에 있어서 상업적 그...
최근 셰익스피어와 영화에 대한 논의에서 케네스 브래나는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가 1989년에 제작한 셰익스피어의 헨리5세는 20세기 셰익스피어 영화사에 있어서 상업적 그리고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을 뿐만 아니라 영화화를 통한 셰익스피어 대중화작업에 큰 혁신을 불러온 획기적인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브래나는 그의 영화를 통하여 현대의 대중독자도 셰익스피어에게 매우 친숙하게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화는 그 구조와 테크닉을 통한 의미전달의 측면에서 무대와 근본적으로 다른 매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브래나의 헨리5세 영화적 번역에 대한 모든 논의는 영화각색이라는 특수한 범주에 기초하여 진행되어야 하며, 그의 영화적 성공은 상업성이나 셰익스피어 원작에 대한 충실성의 기준에 의해서가 아니라 영화적 기교의 맥락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영화 헨리5세는 단선적 플롯, 짧은 장면, 대사 축소, 구조 및 서사 변용 등과 같은 브래나의 영화적 번역을 잘 보여주고 있다. 1990년대 셰익스피어 대중화작업에 있어서 브래나는 영화라는 새로운 대중매체와 극텍스트간의 상호호환성의 중요성—즉, 할리우드 영화산업의 환경 안에서 셰익스피어의 극텍스트를 영화텍스트로 번역하는 작업의 중요성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뉴 리얼리즘의 문학적 맥락: 멜빌 소설의 시적/상징적 문제
젠더와 식민성 극복의 문제-자메이카 킨케이드의 『애니 잔』을 중심으로-
필립 로스의 주체 재현의 서술기법-『카운터라이프』와 『오퍼레이션 샤일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