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의 승차단계에서 eHMI의 정보 구성과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른 사용자경험 연구 = A Study of User Experien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mposition and Display Placement of eHMI at the Pick-up Stage of 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Servi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25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모빌리티(Autonomous Mobility on Demand)의 도입이 가까워짐에 따라, 서비스 이용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

      수요응답형 자율주행 모빌리티(Autonomous Mobility on Demand)의 도입이 가까워짐에 따라, 서비스 이용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자율주행 모빌리티와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eHMI(external Human Machine Interface)의 효과를 확인한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승차단계라는 구체적인 맥락에서 eHMI를 설계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정보 구성(차량 식별 정보, 승차 안전 정보, 차량 식별 및 승차 안전 정보)과 디스플레이 위치(보행자 도로, 차량 측면)를 조합하여 6가지 조건의 eHMI를 설계하였고, 이에 따른 UX 품질, 유용성, 신뢰, 사용의도,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61 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영상 실험을 진행한 결과, 정보 구성에 따른 주효과가 모든 종속 변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디스플레이 위치는 모든 종속 변인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 구성과 디스플레이 위치의 상호작용 효과는 UX 품질과 유용성에서 발견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AMoD(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is expected to be a part of the urban transport system in the near future, we need an interface that users can resolve uncertainty of autonomous mobility.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eHMIs(external human-...

      Since AMoD(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is expected to be a part of the urban transport system in the near future, we need an interface that users can resolve uncertainty of autonomous mobility.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at eHMIs(external human-machine interface) have effect on communication between autonomous vehicles and users. Our study expanded previous studies and designed eHMI in the specific pick-up stage of AMoD service. We designed several eHMIs in order to information composition(vehicle identification, safe boarding, vehicle identification and safe boarding) and display placement(pedestrian road, vehicle side). By combining information composition and display place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eHMIs under 6 conditions on UX quality, usability, trust, intention to use, and satisfaction. As a result of conducting an online video experiment on 61 participants, the main effect according to information composi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ll dependent variables, whereas the display placement was not significant in all dependent variables. The interactive effect of information composition and display placement was found in UX quality and us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슬찬, "자율주행 자동차 eHMI의 설계 공간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39 (39): 549-559, 2020

      2 정므엘, "자동화 수준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 수용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45 (45): 402-415, 2019

      3 현대모터그룹 tech, "수요응답형 버스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4 Larsson, Pontus, "User Experience of On-demand Autonomous Vehicles - Part 1: Background and User Experience framework" 2018

      5 Gold, C., "Trust in Automation –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Take-over Scenarios in a Highly Automated Vehicle" 3 : 3025-3032, 2015

      6 Hassenzahl, M., "The Inference of Perceived Usability From Beauty" 25 (25): 235-260, 2010

      7 SAE International, "Taxonomy and Definitions for Terms Related to On-Road Motor Vehicle Automated Driving Systems"

      8 Dey, D., "Taming the eHMI jungle: A classification taxonomy to guide, compare, and assess the design principles of automated vehicles' external human-machine interfaces" 7 : 100174-, 2020

      9 이승연, "TV 사용 경험 연구: AI 스피커를 중심으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2019

      10 Lund, A. M., "Measuring usability with the use questionnaire12" 8 (8): 3-6, 2001

      1 이슬찬, "자율주행 자동차 eHMI의 설계 공간에 대한 체계적 문헌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39 (39): 549-559, 2020

      2 정므엘, "자동화 수준에 따른 자율주행 자동차 수용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45 (45): 402-415, 2019

      3 현대모터그룹 tech, "수요응답형 버스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꿀까?"

      4 Larsson, Pontus, "User Experience of On-demand Autonomous Vehicles - Part 1: Background and User Experience framework" 2018

      5 Gold, C., "Trust in Automation – Before and After the Experience of Take-over Scenarios in a Highly Automated Vehicle" 3 : 3025-3032, 2015

      6 Hassenzahl, M., "The Inference of Perceived Usability From Beauty" 25 (25): 235-260, 2010

      7 SAE International, "Taxonomy and Definitions for Terms Related to On-Road Motor Vehicle Automated Driving Systems"

      8 Dey, D., "Taming the eHMI jungle: A classification taxonomy to guide, compare, and assess the design principles of automated vehicles' external human-machine interfaces" 7 : 100174-, 2020

      9 이승연, "TV 사용 경험 연구: AI 스피커를 중심으로" 제주국제컨벤션센터 2019

      10 Lund, A. M., "Measuring usability with the use questionnaire12" 8 (8): 3-6, 2001

      11 Jian, J.-Y., "Foundations for an Empirically Determined Scale of Trust in Automated Systems" 4 (4): 53-71, 2000

      12 O’Kane, "Former Google self-driving wiz will help Volkswagen and Hyundai build fully autonomous cars" The Verge

      13 Eisma, Y. B., "External human–machine interfaces : The effect of display location on crossing intentions and eye movements" 11 (11): 13-, 2020

      14 Faas, S. M., "External HMI for self-driving vehicles: Which information shall be displayed?" 68 : 171-186, 2020

      15 Schieben, A., "Designing the interaction of automated vehicles with other traffic participants: design considerations based on human needs and expectations" 21 (21): 69-85, 2019

      16 Lee, J. D., "Designing for people: An introduction to human factors engineering" CreateSpace 2017

      17 Hub, F., "Designing Ride Access Points for Shared Automated Vehicles-An Early Stage Prototype Evaluation" Springer 560-567, 2020

      18 Kim, S., "Autonomous taxi service design and user experience" 36 (36): 429-448, 2020

      19 Pavone, M., "Autonomes Fahren" Springer Vieweg 399-416, 2015

      20 Basu, R., "Automated mobility-on-demand vs. mass transit: a multi-modal activity-driven agent-based simulation approach" 2672 (2672): 608-618, 2018

      21 Ackermann, C.,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design and assessment criteria: What is important for communic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automated vehicles?" 75 : 272-282, 2019

      22 Rettenmaier, M., "After you?!–Use of external human-machine interfaces in road bottleneck scenarios" 70 : 175-190, 2020

      23 Distler, V., "Acceptability and acceptance of autonomous mobility on demand: The impact of an immersive experience" 1-10,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2-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KCI등재
      2012-02-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디자인융복합연구 ->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KCI등재
      2011-12-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포디자인학회 -> 디자인융복합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Information Design ->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KCI등재
      2011-12-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포디자인이슈 -> 디자인융복합연구
      외국어명 : InfoDESIGN ISSUE -> Design Convergence Stud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1 0.5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