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탈진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649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탈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2021년 3월 현재 현재 전국의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서 전문적으로 유도선수 생활을 하고 있고, 시합에 출전하 는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 중 유효설문지는 395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조사도구로 활용된 설문지를 개별적으로 컴퓨터에 입력 후 IBMSPSS 24.0 V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이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이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개인적 성취도는 비인격화 정(+)적, 정서적 고갈 부적(-), 인지적 상태불안은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에 정(+)적, 신체적 상태불안은 비인격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탈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2021년 3월 현재 현재 전국의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서 전문적으로...

      본 연구는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탈진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2021년 3월 현재 현재 전국의 고등학교, 대학교, 실업팀에서 전문적으로 유도선수 생활을 하고 있고, 시합에 출전하 는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회수 된 설문지 중 유효설문지는 395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따라서 조사도구로 활용된 설문지를 개별적으로 컴퓨터에 입력 후 IBMSPSS 24.0 Ve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첫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이 인지적 상태불안과 신체적 상태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이 정서적 고갈과 비인격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엘리트 유도선수의 개인적 성취도는 비인격화 정(+)적, 정서적 고갈 부적(-), 인지적 상태불안은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에 정(+)적, 신체적 상태불안은 비인격화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raining percep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burnout among elite judo athletes. To clarify this, as of March 2021, athletes who are professionally judo athletes in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business teams across the country a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did. Among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395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refore, the valid questionnaire was individually input to the computer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SPSS 24.0 program. First, that is, overtraining percep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Second, that is, her overtraining percep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Third, That is, personal achieve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impersonalization, negative emotional exhaustion (-), cognitive state anxiety has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and physical state anxiety has a positive (+) effect on impersonaliz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raining percep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burnout among elite judo athletes. To clarify this, as of March 2021, athletes who are professionally judo athletes in high s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raining perception,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burnout among elite judo athletes. To clarify this, as of March 2021, athletes who are professionally judo athletes in high schools, universities, and business teams across the country are selected as a population, and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did. Among the recovered questionnaires, 395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refore, the valid questionnaire was individually input to the computer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calculated using th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SPSS 24.0 program. First, that is, overtraining percep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gnitive state anxiety and physical state anxiety. Second, that is, her overtraining percep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Third, That is, personal achievement has a positive (+) effect onimpersonalization, negative emotional exhaustion (-), cognitive state anxiety has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impersonalization, and physical state anxiety has a positive (+) effect on imperson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 Ⅱ. 연구방법
      • 1. 기술통계
      • 2. 조사도구
      • 3. 조사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4. 자료처리
      • Ⅲ. 결과
      • 1. 엘리트 유도선수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탈진의 상관관계
      • 2. 과훈련인식이 경쟁상태불안에 미치는 영향
      • 3. 과훈련인식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 4. 경쟁상태불안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 Ⅳ. 논의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현, "학생유도선수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5 (15): 741-752, 2020

      2 김언호, "학생선수의 훈련량, 과훈련 인식 및 탈진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967-979, 2016

      3 최마리, "학생선수의 스포츠 탈퇴 예측을 위한 동기적 구조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880-889, 2014

      4 이상기, "펜싱선수의 훈련량과 과훈련 인식, 그리고 스포츠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243-251, 2007

      5 최태호, "투척선수의 상해경험에 따른 스포츠 탈진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대욱, "축구선수들의 자기격려와 낙담, 운동스트레스, 탈진, 운동중단 의도 간의 인관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7 조경호,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성격유형에 따른 과훈련 인식과 운동탈진과의 인과분석" 16 (16): 17-31, 2001

      8 소영호,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 및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77-92, 2011

      9 송우엽,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탈진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병찬, "유도선수의 체력훈련정도에 따른 성취동기와 경쟁상태불안의 차이분석" 대한무도학회 15 (15): 203-214, 2013

      1 강현, "학생유도선수의 스트레스와 탈진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15 (15): 741-752, 2020

      2 김언호, "학생선수의 훈련량, 과훈련 인식 및 탈진 관계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967-979, 2016

      3 최마리, "학생선수의 스포츠 탈퇴 예측을 위한 동기적 구조 탐색"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5 (25): 880-889, 2014

      4 이상기, "펜싱선수의 훈련량과 과훈련 인식, 그리고 스포츠탈진의 관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243-251, 2007

      5 최태호, "투척선수의 상해경험에 따른 스포츠 탈진이 경쟁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9

      6 김대욱, "축구선수들의 자기격려와 낙담, 운동스트레스, 탈진, 운동중단 의도 간의 인관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7 조경호,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성격유형에 따른 과훈련 인식과 운동탈진과의 인과분석" 16 (16): 17-31, 2001

      8 소영호, "체육고등학교 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과 경쟁불안 및 탈진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2 (22): 77-92, 2011

      9 송우엽, "청소년기 운동선수들의 탈진원인과 극복 방안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0

      10 김병찬, "유도선수의 체력훈련정도에 따른 성취동기와 경쟁상태불안의 차이분석" 대한무도학회 15 (15): 203-214, 2013

      11 강슬찬, "엘리트선수들의 스포츠 탈진 요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21

      12 김정환, "엘리트 펜싱선수들의 과훈련인식, 경쟁상태불안,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7 (17): 943-952, 2019

      13 류호상, "선수의 과훈련과 탈진" 한국코칭능력개발원 6 (6): 13-22, 2004

      14 오채윤, "복싱선수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탈진에 미치는 영향" 대한체육학회 19 (19): 161-171, 2021

      15 박수을, "대학 태권도 품새 선수의 완벽주의 성향과 운동탈진 및 경쟁불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367-378, 2019

      16 윤성원, "과훈련운동과 신체적 징후" 90 : 20-24, 2005

      17 Murphy, S. M., "Psychological and performance concomitants of increased of increased volume training athletes" 2 : 34-50, 1990

      18 Kreider, R. B., "Overtraining in sport" Human Kinetics 73-74, 1998

      19 Maslach, C., "Masach burnout inventory research edition"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82

      20 Madigan, D. J., "Coping tendencies and changes in athlete burnout over time" 48 : 1-6, 2020

      21 Martens, R., "Competitive anxiety in sport" Human Kinetics 1990

      22 Fender, L. K., "Athlete burnout: Potential for research and intervention strategies" 3 : 63-71, 1989

      23 Loehr, J. E., "Achieving athletic excellence training" Stephev Greene Press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5 0.9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0.665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