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지역을 산사태 발생지 18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강우의 특성 및 다양한 환경인자 별로 조사하여 산사태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을 산사태 발생 수는 총 182개소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388231
2010
Korean
520.5
KCI등재
학술저널
9-20(12쪽)
1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라북도지역을 산사태 발생지 18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강우의 특성 및 다양한 환경인자 별로 조사하여 산사태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을 산사태 발생 수는 총 182개소였...
전라북도지역을 산사태 발생지 182개소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강우의 특성 및 다양한 환경인자 별로 조사하여 산사태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전라북도 지역을 산사태 발생 수는 총 182개소였으며, 산사태 발생 평균면적은 1,859㎡, 평균 발생토사량은 4,418㎥, 평균 길이와 폭은 각각 139m와 13m로 나타났다. 산림환경인자별 산사태 발생 빈도가 높은 인자는 사면경사도 21~30°, 북쪽사면, 해발 401m~500m 이상, 종단사면 (오목), 횡단사면 (오목), 침엽수, 화성암, 토심은 15cm이하, 하천차수는 1차, 사면위치 (산복), 산사태 유형 (선상), 임종 (인공림), 수고 11m~15m, 흉고직경 중경목(17cm이상)에서 산사태 발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산사태 발생면적과 산림환경인자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는 횡단사면 (볼록), 사면위치 (산정), 표고 (501이상), 임상 (침엽수), 모암 (퇴적암), 흉고직경 (17cm이상)과는 1% 수준 내에서 정의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 (31~40°), 모암 (화성암), 흉고직경 (6~16)에서 1% 수준 내에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factors on the landslide area of Jeonlabuk-do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landslid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landslide characteristics and forest environment factors on the landslide area of Jeonlabuk-do province in kore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otal number of landslide occurrence was 182 areas. The average area of landslide scar was 1,859m 2, average length of the landslides was 139m, average width was 13m. The landslides were highly occurred in igneous rock and coniferous. And also, slope gradient was 21~30°, aspect was NE, altitude was 401~500m, vertical and cross slope was concave (凹), stream order was 1 order, soil depth was 15m below, landslide type was linear, forest type was artificial.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lide area and environmental factors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ross slope (convex), position (upper), altitude (501m), forest type (coniferous), parent rock (sedimentary rock), D.B.H. (over 17cm), but was negative correlation with slope gradient (31~40°), parent rock (igneous rock), D.B.H. (6~16cm).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수곤, "태풍 루사에 의한 피해현황 및 대책방안(산사태)" 50 : 40-49, 2002
2 중앙재해대책본부, "태풍 루사 피해조사보고서" 2002
3 전라북도, "진안군 재해대장" 2005
4 마호섭, "주요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특성과 복구방향" (27) : 17-21, 2001
5 장수군, "재해대장(산림문화관광과)" 2005
6 이창우, "자연재해와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변화 경향" 한국임학회 94 (94): 252-257, 2005
7 마호섭,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 96 (96): 611-619, 2007
8 장수군, "수해복구추진상황종합보고서(장수군재난안전대책본부)" 1-4, 2005
9 경상북도,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연구" 2006
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 위험도 선정시스템 및 피해저감기술 개발" 2004
1 이수곤, "태풍 루사에 의한 피해현황 및 대책방안(산사태)" 50 : 40-49, 2002
2 중앙재해대책본부, "태풍 루사 피해조사보고서" 2002
3 전라북도, "진안군 재해대장" 2005
4 마호섭, "주요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특성과 복구방향" (27) : 17-21, 2001
5 장수군, "재해대장(산림문화관광과)" 2005
6 이창우, "자연재해와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변화 경향" 한국임학회 94 (94): 252-257, 2005
7 마호섭, "우리나라 국립공원지역의 산사태 발생특성 분석" 한국임학회 96 (96): 611-619, 2007
8 장수군, "수해복구추진상황종합보고서(장수군재난안전대책본부)" 1-4, 2005
9 경상북도, "산사태 피해예방 조사연구" 2006
1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산사태 위험도 선정시스템 및 피해저감기술 개발" 2004
11 김원영, "산사태 예측 및 방지기술연구" 과학기술부 2000
12 최경, "산사태 발생예지 및 예방공법에 관한 연구" 531-549, 1984
13 마호섭, "국립공원의 산사태 발생 위험지역 예측기법의 개발" 한국임학회 97 (97): 326-331, 2008
14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106-, 2001
15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 산사태지 복구대책 수립을 위한 조사" 2001
16 長崎懸斜面對策危險度判定委員會, "長崎懸斜面對策危險度判定調査資料" 75-, 1985
17 志水俊夫, "花崗岩地帶の危險の安定性に關する統計的解析" 59 : 186-190, 1977
18 建設省土木硏究所, "自然斜面の崩壞とその對策に關する調査硏究報告(その1)" 建設省土木硏究所 136-, 1979
19 細田 豊, "斜面長と斜面崩壞との關係" 437-438, 1980
20 志水俊夫, "崩壞の危險がある斜面の判定一その理論と手法一" 439 : 23-26, 1978
21 ChoiYoung-Eun, "Trends in Daily precipitation events and their extremes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1 (11): 189-204, 2002
22 Oliver, M., "The effect of rainfall on slope failure, with examples from the Greater Durban area" IAEG 1629-1636, 1994
23 Kim. M. G., "Study in the analysis of landslide problem in Kyoungsang Province" Daejeon University 1997
24 Kang, W. P., "Studies on the landslides by typhoon No. 875 in Gyeongsangnam-do distiricts" 77 : 276-282, 1998
25 Woo. B. M., "Studies on the landslides and its control measures in Anyang area" 39 : 1-34, 1978
26 Ma. H. S., "Studies on landslide and debris flow in NT. Chiri district" 2 : 17-28, 1992
27 Ma. H. S., "Studies on landslide and debris flow in Mt. Chiri district" 1 : 13-25, 1990
28 Ma. H. S.,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83 : 175-190, 1994
29 Yang. H. K., "Studies on debris flows by heavy rainfall in Osaek area in July 2006" 15 : 25-35, 2006
30 Hong. W. P., "Prediction of rainfall-triggered landslides in Korea" 6 : 55-66, 1990
31 Brand, E. W.,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residual soil slopes" 2541-2573, 1985
32 Brand, E. W.,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Residual Soil Slopes" 38-, 1984
33 Kang, W. P., "On the determination of slope stability to landslide by quantification(Ⅱ)" 75 : 32-37, 1986
34 Dyrness, C. T., "Mass soil movements in the H.J. Andrews experimental forest. Pacific Northwest Forest and Range Experiment Station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42 : 1-14, 1967
35 Choi, K., "Landslides occurrence and its prediction in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986
36 Prenchitt, J., "Landslides caused by rapid groundwater changes" 87-94, 1986
37 Kim. W. Y., "Landslide types and related to geomorphic characteristics - Yeonchon-Chulwon area -" 8 : 115-130, 1998
38 Shin. E. S., "Landslide analysis geological information system in Poryong and Sochon area"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1996
39 Kim. K. S.,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15 : 105-121, 2005
40 Park. N. W., "Application of statistical spatial data integration models to susceptibility analysis of induced by typhoon RUSA in Gangneung area. 2004" 11 : 69-80, 2004
41 Lee. S. H., "Application of physically based hydrologic model to the prediction of shallow landslide potential area using GIS" Chungbuk University 2005
42 Lee. Y. J., "Analysis of landsli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AHP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pproach" 26 : 861-867, 2006
43 Yu. N. J.,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f debris flow in Gangwon-do" 28 : 3-10, 2008
44 국립방재연구소, "8월 집중호우 피해조사 보고서" 2005
국립산림과학원 제주시험림의 서어나무 수간형태와 수간곡선식 추정
Numerical Predictions of Heat Transfer in the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In vitro model system을 활용한 마늘 추출물의 치매예방 특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6-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2012-04-1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7 | 0.581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