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초등 영어교육과정 25년사: 제6차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 Changes in national curriculum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Sou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594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undert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a in Kor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1997. The research examines the transform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 curriculum’s 1) nature and objectives, 2)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3)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spects across six revisions. Employ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 study scrutinizes the six curricula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that have transpired. Despite several revisions, the fundamental nature and objectiv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ontinue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cultivating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Different configurations were found for the content system.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standards were simplified, and their objectives were changed from being organized by individual grades to being organized by grade groups. Consequently, achievement standards also tended to decrease quantitatively.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curriculum changes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번역하기

      This study undert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a in Kor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1997. The research examines the transform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 curriculum’s 1) nature ...

      This study undertake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a in Kor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1997. The research examines the transformations that have occurred in the curriculum’s 1) nature and objectives, 2)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3)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aspects across six revisions. Employ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the study scrutinizes the six curricula to shed light on the changes that have transpired. Despite several revisions, the fundamental nature and objectives of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continue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arly English education in cultivating students’ interest and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Different configurations were found for the content system.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 standards were simplified, and their objectives were changed from being organized by individual grades to being organized by grade groups. Consequently, achievement standards also tended to decrease quantitatively.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curriculum changes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준만, "한국인과 영어" 인물과사상사 2014

      2 권오량, "한국의 외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및 발전 방향" 79 : 25-57, 2013

      3 권오량, "한국영어교육사" 한국문화사 2011

      4 구혜경, "한국 초등영어교육의 변천에 관한 역사적 고찰" 경인교육대학교 2018

      5 김영태, "한국 초등영어교육과정 비교" 30 (30): 151-175, 2019

      6 이재희, "한국 영어교육과정 변천사에 반영된 제2외국어습득이론(SLA)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태영, "한국 영어교육 140년사" 한국문화사 2023

      8 이병민, "초등학교 및 입학 전 아동의 영어교육: 현실 진단과 대안"

      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외국어(영어) (제2008-160호)"

      10 이종화, "초등영어교육과정 탐색: 기능과 형식을 중심으로" 32 (32): 739-749, 2021

      1 강준만, "한국인과 영어" 인물과사상사 2014

      2 권오량, "한국의 외국어과 교육과정의 변천사 및 발전 방향" 79 : 25-57, 2013

      3 권오량, "한국영어교육사" 한국문화사 2011

      4 구혜경, "한국 초등영어교육의 변천에 관한 역사적 고찰" 경인교육대학교 2018

      5 김영태, "한국 초등영어교육과정 비교" 30 (30): 151-175, 2019

      6 이재희, "한국 영어교육과정 변천사에 반영된 제2외국어습득이론(SLA)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7 김태영, "한국 영어교육 140년사" 한국문화사 2023

      8 이병민, "초등학교 및 입학 전 아동의 영어교육: 현실 진단과 대안"

      9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외국어(영어) (제2008-160호)"

      10 이종화, "초등영어교육과정 탐색: 기능과 형식을 중심으로" 32 (32): 739-749, 2021

      11 최원경, "초등영어교육 연구 논문의 변천: 코퍼스 기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1-21, 2019

      12 이재희, "초등영어교육 실시 이후 초등영어 교육정책과 교육과정 분석" 교육연구원 39 (39): 185-204, 2019

      13 권오량, "초등 영어교육 10년의 성과 분석을 통한 초, 중등 영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 교육과학기술부 2006

      14 임수연,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변천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6 (26): 249-271, 2020

      15 안형식 ; 김현정,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 57 (57): 49-59, 2014

      16 이완기,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영어 교육 목표와 내용 구성의 개선 방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10 (10): 25-54, 2004

      17 이재근,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과 수시 개정 변화에 따른 초등 국정 및 검정 영어교과서 변천과 미래" 21 : 73-82, 2015

      18 오신유 ; 김태영, "제 6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글로벌영어교육학회 25 (25): 495-527, 2020

      19 김태영 ; 오신유, "제 2차 및 3차 교육과정기의 한국 영어교육: 신문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6 (26): 73-98, 2019

      20 이병호 ; 홍후조, "우리나라 교과 교육과정 문서 체재(體裁)의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6 (26): 27-58, 2008

      21 교육과학기술부, "외국어과 교육과정(Ⅰ) (제2008-160호, 별책 14)"

      22 교육부, "외국어 교육과정 (제 1997-15호, 별책 14)"

      23 조성희,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39 (39): 219-241, 2022

      24 이완기,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영어교육의 과제" 한국영어교육학회 70 : 35-52, 2015

      25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개정안 개발 연구"

      26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2015-74호, 별책 14)"

      27 교육과학기술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2011-361호, 별책 14)"

      28 교육부, "영어과 교육과정 (제 2022-33호, 별책 14)"

      29 소경희, "영국의 초등교육과정 개혁 논쟁:국가교육과정의 내용 및 처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29 (29): 87-109, 2011

      30 이재근, "시수확대에 따른 초등학교 영어교육과정 개정안과 초등영어교육의 방향" 10 : 91-114, 2009

      31 곽영순, "미래 학교교육 변화 및 교육과정 재구성에 필요한 교사 전문성 탐색" 교과교육연구소 19 (19): 93-111, 2015

      32 김진석 ; 장은숙, "문화 간 화자를 위한 공동체 역량 기반 초등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의 방향" 글로벌교육연구학회 7 (7): 55-78, 2015

      33 동아일보, "내년 실시배경과 문제점 10년 논란 매듭 국교영어교육"

      34 김창원, "국어과 교육과정의 생태학(2):2011년 교육과정 개정에서의 쟁점과 그 해소" 국어교육학회 (43) : 155-190, 2012

      35 경향신문, "국민교서 영어수업"

      36 교육부, "국민 학교 교육 과정: 총론, 영어 (제 1995-7호)"

      37 양미경,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2007 개정안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원리학회 12 (12): 21-42, 2007

      38 김종건,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 (1): 152-173, 2007

      39 윤여범, "교육과정의 변화에 따른 초등영어 교과서의 파닉스 비교・분석" 미래영어영문학회 28 (28): 123-146, 2023

      40 이현구, "교육과정, 영어교과서 및 평가에 관한 논문 분석 연구: ‘영어어문교육’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 (20): 497-520, 2014

      41 좋은교사운동, "교육과정 적정성 관련 교사 인식 설문조사"

      42 서경혜, "교사의 학습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57-276, 2006

      43 백남진,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과 교육과정 잠재력" 한국교육과정학회 31 (31): 201-225, 2013

      44 이소영,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및 고찰" 교과교육연구소 16 (16): 731-747, 2012

      45 OECD, "Teachers for the 21st century: Using evaluation to improve teaching" OECD Publishing 2013

      46 Mengist, W., "Method for conduct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for environmental science research" 7 : 100777-, 2020

      47 안은진 ; 강현,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대한마취통증의학회 71 (71): 103-112, 2018

      48 교육부, "2022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 (제 2022-33호)"

      49 이영아, "2022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쟁점 및 과제" 현대영어교육학회 23 (23): 28-41, 2022

      50 김정렬, "2015 역량중심 영어과 교육과정의 노시보효과" 93-101, 2015

      51 이재근, "2015 개정 초등영어교육과정 3~4학년군 언어기능별 text 수준" 23 : 105-112, 2015

      52 황필아, "2015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의 읽기 성취기준 적정성 연구"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15 (15): 147-165, 2016

      53 이혜경, "2015 개정 초등영어 교과서 문화 분석-3‧4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283-294, 2019

      54 김성혜, "2015 개정 초·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적정성에 대한 교사 인식" 한국영어교육학회 75 (75): 93-110, 2020

      55 김성혜,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분석" 현대영어교육학회 18 (18): 91-111, 2017

      56 이소영,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쟁점: 공통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499-519, 2016

      57 정해란 ; 임희정,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 핵심역량 측면에서의 초등 5, 6학년 영어교과서 과제 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8 (28): 127-145, 2022

      58 박수정 ; 배지영 ; 민수정,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초등학교 5·6학년 영어교과서 읽기 지문 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7 (27): 5-25, 2021

      59 임유나 ; 홍후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77-302, 2016

      60 정다빈 ; 정은숙,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 4학년 영어 교과서의 문화 영역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51-675, 2020

      61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62 이재근, "2009와 2015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연계성 비교 연구" 25 : 117-139, 2016

      63 이영아, "2009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조사"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21 (21): 5-37,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