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과 해외의 초등교원양성체제 변천 과정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Systems in Korea and Overs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519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s in Korea, the U.S., Japan, and Fr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m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the U.S. and Japan. Through this, implications for the dev...

      This thesis examines the histor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s in Korea, the U.S., Japan, and France, and the development of som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s in the U.S. and Japan. Through thi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Korea's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system, that is, universities of education, were discussed. In the United States, as teachers' schools developed into teachers' colleges and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developed into an open education system that trains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ase of Japan,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eachers' schools were consolidated into educational institutions similar to those of Korea's Kyowon University. However, due to limitations in university operation, etc., it has developed into a semi-university by opening and operating general departments such a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stead of the faculty training department. As a result, it seems that it has the character of an open-bred system. A small number of universities (University of Tsukuba, former Tokyo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developed into comprehensive research universities, and there are also cases where they have developed into universities that focus on pedagogical research along with teacher training. In Franc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 training has been promoted through an integrated two-year master's degree program. In the process, the 2-year master's degree program has been operated as 1 (subject education) year + 1 year (on-site apprenticeship teacher), so it is actually a 3-year bachelor's course, 1-year subject education, and 1-year on-the-job training system. In the first year of the master's degree, if candidates do not pass the teacher admission test, they can complete the master's degree and advance into other fields. North Korea seems to be the only educational university system that separates and trains on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like South Korea. In North Korea,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rained at the three-year Teachers College. According to the global tre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South Korea to develop into a comprehensive teacher training system through integration with Regional National Universities rather than integration between Teachers Colleg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프랑스의 초등교원양성체제의 역사와 일부 미국과 일본의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발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초등교원양성체제, 즉 교육대...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미국, 일본, 프랑스의 초등교원양성체제의 역사와 일부 미국과 일본의 초등교원양성대학의 발전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초등교원양성체제, 즉 교육대학교의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먼저 한국은 역사적으로 보면 초등교사양성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미비로 분리형 단과 전문대학 체제가 이어져 왔다. 그에 따라 교대교육의 딜레마가 발생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미국은 사범학교가 교원대학, 그리고 종합대학으로 발전하면서 종합대학내에서 초등교사를 양성하는 개방형 양성 체제로 발전해왔다. 일본의 경우 사범학교들이 통합되면서 한국의 교원대학교와 유사한 유초중등교원양성기관으로 변화한 사례가 많다. 그러나 대학운영상의 한계 등으로 교원양성학과가 아닌 인문사회 계열 등의 일반학과를 개설 운영하면서 일본의 교육대학들은 준(semi) 종합대학의 성격을 가지며 개방형 교원양성체제이다. 소수의 일부 대학(예: 쓰쿠바 대학. 구 도쿄교육대학)은 교원양성과 함께 교육학 연구를 중점적으로 하는 종합연구중심대학으로 발전한 사례도 존재한다. 프랑스의 경우 초중등교원양성을 통합적으로 2년제 석사학위과정으로 교원양성을 추진해왔다. 그 과정에서 2년의 석사학위 과정은 1(교과교육)+1(현장수습교사)로 운영해왔기 때문에 실제로는 3년의 학사과정과 1년 교과교육, 1년 현장수습교사 체제이다. 그리고 석사 1년차에 임용시험에 불합격할 경우 석사학위를 이수하고 다른 분야로 진출하도록 개방형 체제로 교원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초등교원만 분리 양성하는 교육대학 체제는 한국 외에는 북한이 유일하다. 북한은 3년제 교원대학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고 있다. 한국은 향후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서 교대 간 통합 보다는 거점 국립대와의 통합을 통해서 종합적 교원양성체제로 발전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프랑스처럼 현장과의 연계성 강화를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교통대학교"

      2 김기석, "한국교육 100년: 학제 및 인구통계적 변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6

      3 "한국교원대 홈페이지(21년 6월 4일자 기준)"

      4 강성국, "한국 교육 60년 성장에 대한 교육지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5 "프레밍엄 주립대학(Framingham State University)홈페이지"

      6 심봉섭 ; 임헌, "프랑스의 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를 통해 본 우리나라 중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4 : 41-67, 2002

      7 이화도,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61-184, 2017

      8 고재천, "초등학교 교사론" 학지사 2007

      9 윤홍주,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전개과정 및 발전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37-260, 2006

      10 정성수 ; 송영명, "초․중등 교원양성대학의 통합 방안: 교․사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43-366, 2018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교통대학교"

      2 김기석, "한국교육 100년: 학제 및 인구통계적 변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1996

      3 "한국교원대 홈페이지(21년 6월 4일자 기준)"

      4 강성국, "한국 교육 60년 성장에 대한 교육지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5

      5 "프레밍엄 주립대학(Framingham State University)홈페이지"

      6 심봉섭 ; 임헌, "프랑스의 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를 통해 본 우리나라 중등교사 양성 및 재교육 제도의 개선 방향"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14 : 41-67, 2002

      7 이화도, "프랑스 교원양성제도 개편에 관한 연구 : ESPE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61-184, 2017

      8 고재천, "초등학교 교사론" 학지사 2007

      9 윤홍주, "초등교원 양성체제의 전개과정 및 발전과제" 한국초등교육학회 19 (19): 237-260, 2006

      10 정성수 ; 송영명, "초․중등 교원양성대학의 통합 방안: 교․사대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343-366, 2018

      11 이차영 ; 이광현, "중등교사의 양성체제의 차이가 교직선택 동기와 교수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118-138, 2006

      12 류성창, "주요국의 교사 선발 방식 비교탐구" 33 : 43-65, 2013

      13 "제주대 교육대학 홈페이지"

      14 안홍선, "일본의 학생 수 감소 예측과 교원양성 대응 정책" 42 : 32-57, 2018

      15 "위키백과: 대전사범학교"

      16 김병찬, "왜 핀란드 교육인가" 박영스토리 2017

      17 "쓰쿠바 대학 홈페이지"

      18 부산교육대학교 교직리더십센터, "시도별 초등교원 임용 경쟁률"

      19 "순천공고 홈페이지"

      20 "북해도 교육대학 홈페이지"

      21 평화문제연구소, "북한, 이것이 궁금해요. 교원양성제도와 처우는?"

      22 "부산교육대학교 홈페이지"

      23 "미시간 주립대학교 교육대학 홈페이지"

      24 국가교육회의, "미래학교와 교육과정에 적합한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향 수립을 위한 조사·숙의백서"

      25 주동범 ; 정일환 ; 정현숙, "미국의 교원 질 관리체제에 관한 사례분석 및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7 (27): 123-144, 2017

      26 전제상, "미국의 교사자격 기준관리 사례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한국비교교육학회 20 (20): 53-75, 2010

      27 "도쿄학예대학 홈페이지"

      28 우용제 ; 안홍선, "근대적 교원양성제도의 변천과 사범대학의 설립" 교육연구소 7 (7): 187-215, 2006

      29 교육부, "교육통계연보"

      30 교육부, "교육통계분석자료집"

      31 정일화 ; 천세영, "교육전문대학원 교원양성체제의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149-173, 2017

      32 김재복, "교육개혁과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발전 과제" 15 (15): 57-87, 1998

      33 노종희, "교원양성체제의 혁신 : 교육대학의 일반 종합대학으로의 통합" 47-62, 2004

      34 이윤식, "교사양성체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4

      35 이규환, "교사양성 교육체제의 개혁방향: 비교교육학적 측면에서" 11 (11): 75-89, 1995

      36 Labaree, D. F., "교사교육의 딜레마" 박영스토리 2020

      37 Holms Group, "Tomorrow's Teachers : A Report of The Holmes Group" 1986

      38 Powell et al., "The Shopping Mall High School" Houghton Mifflin Co 1985

      39 Labaree, D., "Teacher Education in Industrialized Nations" Garland 1995

      40 Sedlak, "Selling students short : Classroom bargains and academic reform in the American high school" Teachers College Press 1986

      41 엄현숙, "2000년대 이후 교육법제 정비를 통한 북한 교육의 현황" 심연북한연구소 20 (20): 96-129, 2017

      42 임병숙 ; 조호제 ; 남궁정, "2000년 이후 북한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 ― 교원교육의 정치적 접근 ―" 한국열린교육학회 18 (18): 241-260,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