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채집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231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

      인공용승류 해역에서 난자치어의 종조성 및 시공간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2년 6월 13일, 9월 21일 및 25일에 난자치어 네트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어란은 4,849 ind./$1,000m^3$, 자치어는 641 ind./$1,000m^3$이였다. 출현한 어란 중 가장 우점한 종은 멸치(Engraulis japonicus)로써 총 출현량의 약 57.5 %를 차지하였다. 그 외 미동정(Unidentified) 어란 I, II, III, IV이 출현하였다. 자치어는 청베도라치(Pictiblennius yatabei)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돛양태류(Repomucenus sp.A, sp.B), 고등어(Scomber japonicus), 멸치(Engraulis japonicus), 전어(Konosirus punctatus)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동정(Unidentified) 자치어 I, II가 출현하였다. 대조구 해역에서는 어란은 멸치, 자치어는 돛양태류가 출현하였다. 시기별 변동에서는 어란 및 자치어 모두 7월에 가장 많았으며, 8월에 가장 낮았다. 정점별 변동에서는 인공용승이 일어나는 인근 정점인 2, 3번에서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가장 많았다. 대조구 해역과의 비교하여 정점당 약 4배 이상 많은 어란 및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인공용승에 의한 영양염류 및 먹이생물의 증가로 인하여 어란 및 자치어의 출현량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were investigated by Bongo net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at 13, June, 21 September, and 23 September in 2012. A total of fish eggs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s were investigated by Bongo net in a sea area wit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at 13, June, 21 September, and 23 September in 2012. A total of fish eggs was 4,849 ind./$1,000m^3$, and fish larvaes was 641 ind./$1,000m^3$ in the study area. The common fish eggs was Engraulis japonicus which was composed of 57.5%, and unidentified I, II, III and IV were occurred with decreased number of individuals order. For fish larvaes, Pictiblennius yatabei, Repomucenus sp.A, sp.B and Scomber japonicus were dominated, however, other species were Engraulis japonicus, Konosirus puntatus, and unidentified I, II. Temporal variations of fish eggs and larvae were remarkable differed. Higher numbers of fish eggs and larvaes were July 2012, whereas those were lower at August 2012. Spatial variations of thos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d with higher numbers were at station 2 and 3 during study periods. The total number of fish eggs and larvae was about 4 fold against numbers of those in the compared area far from study area.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higher numbers of fish eggs and larvaes were due to influx much more nutrients and food organisms with artificial upwell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동, "통영해역의 자치어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과학회 38 (38): 385-392, 2005

      2 이승종,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 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 18 (18): 129-140, 2006

      3 박해훈, "서해연안 잠보형 인공어초 어장에서의 수산자원 조성효과와 사이드스캔 소너에 의한 인공어초 상태조사" 한국어업기술학회 39 (39): 230-238, 2003

      4 한경호, "고흥반도 연안에 분포하는 浮遊性 卵?仔稚漁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 14 (14): 7-52, 2002

      5 Lee, J. W.,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density on artificial reefs" 27 (27): 535-548, 1994

      6 정연규,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a Sea Area, with the Building of an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한국통합생물학회 17 (17): 62-71, 2013

      7 Shannon, C. 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5-, 1949

      8 Kim, J. Y., "Temporal variation of seasonality of egg production and the spawning biomas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1983-1994" 10 (10): 297-310, 2001

      9 Park, K. J., "Species composition of the ichthyoplankton and feeding ecology of early stage in Kwangyang Bay,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9

      10 Ohno, M., "Seaweed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on different bottom substrata" 2 (2): 327-332, 1990

      1 박경동, "통영해역의 자치어 종조성과 계절변동" 한국수산과학회 38 (38): 385-392, 2005

      2 이승종, "제주도 서부 해역의 난자치어 분포와 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 18 (18): 129-140, 2006

      3 박해훈, "서해연안 잠보형 인공어초 어장에서의 수산자원 조성효과와 사이드스캔 소너에 의한 인공어초 상태조사" 한국어업기술학회 39 (39): 230-238, 2003

      4 한경호, "고흥반도 연안에 분포하는 浮遊性 卵?仔稚漁종조성의 계절변동" 한국어류학회 14 (14): 7-52, 2002

      5 Lee, J. W., "Variations of fish community and density on artificial reefs" 27 (27): 535-548, 1994

      6 정연규, "Varia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Communities in a Sea Area, with the Building of an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한국통합생물학회 17 (17): 62-71, 2013

      7 Shannon, C. 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5-, 1949

      8 Kim, J. Y., "Temporal variation of seasonality of egg production and the spawning biomass of Pacific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in 1983-1994" 10 (10): 297-310, 2001

      9 Park, K. J., "Species composition of the ichthyoplankton and feeding ecology of early stage in Kwangyang Bay,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999

      10 Ohno, M., "Seaweed succession on artificial reefs on different bottom substrata" 2 (2): 327-332, 1990

      11 Han, K. H., "Seasonal vari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ichthyoplankton in Sunchon Bay, Korea" 13 (13): 136-142, 2001

      12 Margalef, R., "On certain unifying principles in ecology" 97 (97): 357-374, 1963

      13 Kim, Y. U., "Morphology of larvae, egg development and spawning behavior of the blenniid fish, Pictiblennius yatabei (Jordan et Snyder)" 4 (4): 44-54, 1991

      14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 Database for Fisheries Production"

      15 Kim, I. S.,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615-, 2005

      16 Nelson, J. S., "Fishes of the World" John Wily & Sons 550-, 1994

      17 Beer, T., "Environmental Oceanography" CRC Press 367-, 1996

      18 Cha, S. S., "Distribution of the ichthyoplankton in Kwangyang Bay" 6 (6): 60-70, 1994

      19 Cha, S. S., "Distribution of ichthyoplankton in the adjacent waters of Wolsong, Korea" 3 (3): 11-23, 1991

      20 Auth, T. D.,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ichthyoplankton from the northern and central California Current in May 2004-06" 17 (17): 316-331, 2008

      21 NFRDI, "Commercial Fishes of the Coastal and Offshores Waters in Korea" National Fisheries Research Development Insititute 333-, 2004

      22 Yanagi, T., "Change of oceanic condition by the man-made structure for upwelling" 23 : 131-135, 1991

      23 Pickering, H., "Artificial reefs and fisheries exploitation: a review of the ‘attraction versus production’ debate, the influence of design and its significance for policy" 31 : 39-59, 1996

      24 Okiyama, M., "An atlas of the early stage fishes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1154-, 1988

      25 Brodeur, R. D., "Abundance and diversity of coastal fish larvae as indicators of recent changes in ocean and climate conditions in the Oregon upwelling zone" 366 : 187-202,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3 0.592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