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천항 수소에너지 인프라 시설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 Study on Business Model for Building Hydrogen Energy Infrastructure at Incheon Po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76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수소 수입항으로써 차별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인프라 시설 구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로테...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수소 수입항으로써 차별화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하고 인프라 시설 구축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의 주요 내용으로는 첫째, 로테르담 항과 같이 수소저장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아울러 액화 수소 및 암모니아 터미널 구축을 위한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고베항만과 같은 관련 주체간 역할 분담을 통한 주체간 시범사업 협업시스템이 필요하다. 셋째, 인천항 수소에너지 운송방안으로는 액화수소나 암모니아 형태로 해상운송을 검토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것으로 제시되었고 이 경우 부두시설, 파이프라인, 저장탱크 등의 다양한 인프라 시설을 갖추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인천항에 적용 가능한 수소항만의 기능 및 역할로는 수소인수기지, 벙커링, 파이프라인, 수소저장 및 비축시설등과 같은 수소수입유통저장항만이 가장 적절한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 business model that can differentiate itself as a hydrogen import por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build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 business model that can differentiate itself as a hydrogen import port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build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main content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First, preparations are required to build infrastructure for hydrogen storage like the Port of Rotterdam, as well as build liquefied hydrogen and ammonia terminals. Second, a pilot project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entities is needed through role sharing between related entities, such as Kobe Port. Third, it was sugges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way to transport hydrogen energy at Incheon Port would be to consider maritime transport in the form of liquefied hydrogen or ammonia, and in this case,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various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dock facilities, pipelines, and storage tanks. Lastly, as for the functions and roles of hydrogen ports applicable to Incheon Port, hydrogen import distribution and storage ports such as hydrogen reception base, bunkering, pipelines, hydrogen storage and stockpiling facilities, etc. were presented as the most appropriate alternativ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