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2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3 박성우,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 조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23-147, 2012
4 백유순,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계획 실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 2019
5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6 김현집,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9-39, 2010
7 권순황,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65-481, 2012
8 교육부, "지방자치단체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용계획 수립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9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기회보장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탐색: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205-226, 2019
10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8
1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2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3 박성우,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 조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23-147, 2012
4 백유순,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계획 실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 2019
5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6 김현집,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9-39, 2010
7 권순황,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65-481, 2012
8 교육부, "지방자치단체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용계획 수립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9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기회보장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탐색: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205-226, 2019
10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8
11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12 김원경, "제2차 특수교육발전종합계획의 추진성과에 대한 평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5, 2008
13 김현숙, "장학자료에서 제시하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51-79, 2018
14 박희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59-81, 2016
15 이소현, "장애유아 의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373-401, 2014
16 이경원,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19-142, 2011
17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영유아 교육권 보장 실태 및 증진방안" 2015
18 조광순,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 체제의 개선방안" 4 (4): 71-112, 2004
19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20 박계신, "장애 영유아를 위한치료지원 정책 방안 모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25, 2018
21 박세희, "유아특수학급 방과후 과정 정책 사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22 이수정, "우정활동을 삽입한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이 장애 유아의 개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43-272, 2014
23 임미진,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89-117, 2017
24 조윤경,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99-325, 2013
25 송미진,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69-290, 2015
26 정만호, "기조강연-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추진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2-48, 2013
27 양은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5-52, 2010
28 강미화, "공립유치원 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운영 실제 및 인식" 교육연구소 36 (36): 27-47, 2015
29 배성현,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63-93, 2019
30 양한재,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83-314, 2019
31 박주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책집행 과정 분석: 특수교사 법정 정원을 중심으로" 2 (2): 135-152, 2016
32 박철현,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181-201, 2019
33 Conroy, M, A., "Early identificati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with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issues, trends, and a call for action" 29 (29): 224-236, 2004
34 교육부, "2020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19
35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36 교육과학기술부, "2009 특수교육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