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toward Educational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Importance & Performance Analysis(IP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123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through IPA analy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were analyz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through t-test, we conducted an IPA matrix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cognized as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gal members, Open and extension of special schools(classes), Early identification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perform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ppeared ‘Educating & improving disability-awareness’, ‘Impleme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arly identification & diagnosi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related educatio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ques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provided basic data for the 6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throu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special education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in the 5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2018-2022)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through IPA analysis.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CSE) teachers were analyzed. and 29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execution through t-test, we conducted an IPA matrix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cognized as ‘Establishmen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legal members, Open and extension of special schools(classes), Early identification to improve special education. Second, the performance of policy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ppeared ‘Educating & improving disability-awareness’, ‘Implement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trengthening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for early identification & diagnosis’. Third,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related education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wa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ques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provided basic data for the 6th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고, 293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t-검증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후,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중요도는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 특수학교(급) 신․증설, 조기발견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실행도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대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과「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

      본 연구는「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8~2022)」에 나타난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교육정책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 IPA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고, 293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t-검증을 통해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본 후,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중요도는 특수교사 법정 정원 확보, 특수학교(급) 신․증설, 조기발견이 중요하게 인식되었다. 둘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정책에 대한 실행도는 장애 인식 개선 교육, 전문적 학습공동체 구성․운영,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조기발견 및 진단․평가 기능 강화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육대상영유아 관련 교육정책에 대한 유아특수교사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의 차이는 대다수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책 시행의 중간 점검과「제6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2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3 박성우,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 조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23-147, 2012

      4 백유순,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계획 실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 2019

      5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6 김현집,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9-39, 2010

      7 권순황,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65-481, 2012

      8 교육부, "지방자치단체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용계획 수립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9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기회보장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탐색: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205-226, 2019

      10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8

      1 김유희, "학급차원의 사회적 통합 지원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학교폭력인식 및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201-228, 2015

      2 김성애,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의 장애영아 교육지원 실태 및 요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23-158, 2011

      3 박성우, "특수교육지원센터 역할 만족도 및 중요도에 대한 전담인력 인식 조사 연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8 (28): 123-147, 2012

      4 백유순, "특수교육대상 유아를 위한 개별화교육계획의 평가계획 실태"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9 (19): 1-27, 2019

      5 한경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시 경험: 교사들의 장애이해는 이대로 좋은가?" 특수교육연구소 15 (15): 5-32, 2016

      6 김현집,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운영 현황과 순회교사의 인식" 한국통합교육학회 5 (5): 19-39, 2010

      7 권순황, "청각장애학교 특수교육 교육과정 적합성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65-481, 2012

      8 교육부, "지방자치단체의 특수교육대상자 수용계획 수립 방안 연구" 교육부 2013

      9 박경옥,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기회보장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과 지원요구 탐색: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18-’22)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205-226, 2019

      10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8

      11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2008

      12 김원경, "제2차 특수교육발전종합계획의 추진성과에 대한 평가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0 (10): 1-35, 2008

      13 김현숙, "장학자료에서 제시하는 개별화교육프로그램(IEP)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51-79, 2018

      14 박희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59-81, 2016

      15 이소현, "장애유아 의무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지원 요구" 한국특수교육학회 49 (49): 373-401, 2014

      16 이경원,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 유아교육·보육기관으로의 전이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경험과 지원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119-142, 2011

      17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영유아 교육권 보장 실태 및 증진방안" 2015

      18 조광순, "장애아동 조기발견 및 서비스 체제의 개선방안" 4 (4): 71-112, 2004

      19 정혜윤, "장애 조기발견 및 지원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7) : 73-98, 2015

      20 박계신, "장애 영유아를 위한치료지원 정책 방안 모색"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8 (18): 1-25, 2018

      21 박세희, "유아특수학급 방과후 과정 정책 사례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6

      22 이수정, "우정활동을 삽입한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이 장애 유아의 개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243-272, 2014

      23 임미진,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7 (17): 89-117, 2017

      24 조윤경,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99-325, 2013

      25 송미진,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69-290, 2015

      26 정만호, "기조강연-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추진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2-48, 2013

      27 양은하, "교수역량 증진을 위한 변화필요도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6 (26): 25-52, 2010

      28 강미화, "공립유치원 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운영 실제 및 인식" 교육연구소 36 (36): 27-47, 2015

      29 배성현, "개별화교육계획 운영 실제와 지원요구에 대한 개별화교육지원팀 구성원의 경험과 인식" 한국특수교육학회 54 (54): 63-93, 2019

      30 양한재, "「제4차 (’13-’17)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평가 연구" 교육발전연구소 29 (29): 283-314, 2019

      31 박주미,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정책집행 과정 분석: 특수교사 법정 정원을 중심으로" 2 (2): 135-152, 2016

      32 박철현,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8 (58): 181-201, 2019

      33 Conroy, M, A., "Early identification, prevention, and early intervention with young children at risk for emotional or behavioral disorders: issues, trends, and a call for action" 29 (29): 224-236, 2004

      34 교육부, "2020년도 특수교육 운영계획" 교육부 2019

      35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36 교육과학기술부, "2009 특수교육통계"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1.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8 1.4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