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석 유영모의 생사관에 기초한 생명교육의 의의 = The Meaning of Life and Death Education Based the View on Life and Death of Daseok Youngmo Y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450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다석 유영모(1890-1981)의 생사관을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생명교육 의의를 살펴보았다. 생사관은 삶과 죽음에 대한 관점으로 한 사람의 생애에서 삶의 가치와 의미를 결...

      본 연구의 목적은 다석 유영모(1890-1981)의 생사관을 재구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생명교육 의의를 살펴보았다. 생사관은 삶과 죽음에 대한 관점으로 한 사람의 생애에서 삶의 가치와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 요소이다. 다석은 동서양의 사상을 회통시킨 사상가로 동양의 유・불・선과 서양의 기독교사상과 근대철학까지 두루 밝은 사상가로서 독보적이다. 다석 사상은 물질과 정신, 영성의 세계가 통섭이라는 명목으로 하향적 수평화된 현대 서구사상에 대한 반성과 대안으로서 어둠, 한, 공허의 세계로 존재의 근원과 바탕을 탐구하고 드러내는 새로운 사유와 삶의 길을 제시했다. 다석의 생사관은 소통과 뚫림의 생명관, 역설과 부정을 통한 초월적 죽음관, 하루를 영원처럼 오늘살이 생사관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다석 생사관은 한국적 생명교육의 담론을 확장하며 현재 한국적 생사관 정립과 생명사상 확산에 계기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view on life and death of Daseok Youngmo Yu(1890-1981) and discuss the meaningful of life and death education. The view on life and death is an important aspect in determining the value and meaning of 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truct the view on life and death of Daseok Youngmo Yu(1890-1981) and discuss the meaningful of life and death education. The view on life and death is an important aspect in determining the value and meaning of one’s life. Daseok was a unique and bright philosopher who converged the ideas of East and West,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f Eastern idea, Christianity of Western idea, and modern philosophy. Daseok idea proposed a new thinking way and a way of life exploring and revealing the source and basis of existence in the world of darkness, oneness, and emptiness as a reflection and an alternative to modern Western thought which was nominal downward leveling of the world of matter, spirit, and spirituality. The view on life and death of Daseok can be summed up as transcendental life through paradox and denial, experience of communication and opened-up, and o-neul as if the day is eternal. These view on life and death suggest the possibility of life and death education. The view on life and death of Daseok expand the discourse of life and death education, establish of the view on life and death and spread life thought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재,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다석의 중용의 관점" 1 : 217-224, 2008

      2 이기상, "태양을 꺼라! 존재중심의 사유로부터의 해방-다석 사상의 철학사적 의미" 4 (4): 1-34, 1999

      3 최남선, "청춘" 태학사 1918

      4 박영호, "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하)" 두레 2001

      5 유호종, "죽음에게 삶을 묻다" 사피엔스 2010

      6 박영호, "죽음공부" 교양인 2012

      7 정경환, "제3장 도산 안창호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69-96, 2013

      8 게르드 미쉬러(Mischler, Gerd), "자살의 문화사" 시공사 2002

      9 마틴 모네스티어(Monestier, Martin), "자살에 관한 모든 것" 새움 2015

      10 알폰스 디켄(Deeken, Alpons), "인문학으로서의 죽음교육" 인간사랑 2008

      1 이종재, "핵심역량 개발과 마음의 계발-다석의 중용의 관점" 1 : 217-224, 2008

      2 이기상, "태양을 꺼라! 존재중심의 사유로부터의 해방-다석 사상의 철학사적 의미" 4 (4): 1-34, 1999

      3 최남선, "청춘" 태학사 1918

      4 박영호, "진리의 사람 다석 유영모 (하)" 두레 2001

      5 유호종, "죽음에게 삶을 묻다" 사피엔스 2010

      6 박영호, "죽음공부" 교양인 2012

      7 정경환, "제3장 도산 안창호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7 (7): 69-96, 2013

      8 게르드 미쉬러(Mischler, Gerd), "자살의 문화사" 시공사 2002

      9 마틴 모네스티어(Monestier, Martin), "자살에 관한 모든 것" 새움 2015

      10 알폰스 디켄(Deeken, Alpons), "인문학으로서의 죽음교육" 인간사랑 2008

      11 박정환, "윌리엄 제임스의 회심이론을 통해 본 다석 류영모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5

      12 조은하, "생명존중 사회형성을 위한 기독교교육의 역할 - 자살예방교육을 중심으로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47) : 127-159, 2016

      13 이정배, "생명담론의 한국적 실상: 국내에서 생산 또는 논의 중인 생명담론들" 인간환경미래연구원 (6) : 3-32, 2011

      14 팔머 파커(Parker J. Palmer), "비통한 자를 위한 정치학 : 왜 민주주의에서 마음이 필요한가" 글항아리 2012

      15 유영모, "다석일지 : 다석 유영모 일지" 홍익제 1990

      16 박재순, "다석 유영모-가난공동체 생명으로 배우다" 제정구기념사업회 2011

      17 유영모, "다석 유영모 어록 : 다석이 남긴 참과 지혜의 말씀" 두레 2002

      18 정양모, "나는 다석을 이렇게 본다" 두레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