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모바일 의사소통의에 대한 연구 방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21편의 논문을 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09505
2022
Korean
300
학술저널
121-12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모바일 의사소통의에 대한 연구 방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21편의 논문을 수...
본 연구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와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여 모바일 의사소통의에 대한 연구 방향을 확 인하고자 하였으며, 2015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21편의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도별 연구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으로 는 모바일 메신저 대화를 분석한 연구가 가장 활발하였고, 의사소통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분석 과제 유형으로는 표헌언어와 모바일 메시지 대화에서 대답하기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 으며, 연구 대상자 유형으로는 성인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 초등학생,청소년이 많았고 미취학 아동이 가장 적었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더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 기를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한국형 발달장애전문가(K-QIDP) 자격과정에 대한 탐색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예비연구 : 중의성 선행연구 고찰을 중심으로
18-24개월 발달장애 조기 선별을 위한 언어검사 문항에 대한 제고
Visual thinking을 활용한 그림책읽기가 발달장애학생의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