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 한국 설화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 대상 교양 수업에서 설화 <선녀와 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15820
2018
Korean
810
KCI등재,ESCI
학술저널
63-91(2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 한국 설화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 대상 교양 수업에서 설화 <선녀와 나...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 방안으로 한국 설화 ‘다시쓰기’의 교육적 의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학생 대상 교양 수업에서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활용하여 ‘다시 쓰기’를 진행하여 학습자들의 스토리를 살펴보았다. 수업은 한국어 학습 수준에 따라 초급과 중· 고급으로 나뉘어 진행되 었으며 수업 중에 학습자들이 작성한 ‘다시쓰기’의 결과물 103편을 구 성 측면과 내용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초급 학습자들은 구 성 측면에서 기본적인 단순한 스토리를 만들고 내용적으로는 원전의 화소를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 고급 학습자들은 원전의 구성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스토리의 구성요소 중 일부를 변형 혹은 보완하였 다. 또한 원전의 구성과 다른 새로운 스토리를 만든 경우는 다양한 양 상을 보였다. 내용 측면에서는 매우 다양하게 화소를 변형 또는 삭제 하여 자유롭게 스토리를 풀어 나갔는데 신인교혼 화소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또한 지상의 가치를 지양하고 주인공이 문제를 자력으로 해결하는 스토리가 많아 학습자들의 비판적 사고력이 작용한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설화 ‘다시쓰기’를 통해 언 어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한국어 표현 능력을 진작시키고 비판적 사 고를 통해 한국 전통 문화를 깊이 있게 재해석할 수 있었다. 이에 유학 생 대상 교양 교과목에서 한국 설화 ‘다시쓰기’가 효과적인 한국 언어 문화 교육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re– writing” Korean folktales as a way to educate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bout Korean langu...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5–2,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re– writing” Korean folktales as a way to educate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o do this, we used the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cultural class meant for foreign students to review learners’ stories.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he beginner and the intermediate– advanced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students’ Korean language study, and 103 “rewriting” articles prepared by the learners during the class were analyzed in terms of composition and content. The beginner– level students tended to create simple stories that were related to the composition topic and include the motifs of the original story in their content. The intermediate–advanced learners had to modify or supplement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story if they were to maintain the composition of the original story. Moreover, when they created a new stor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 it had to reveal diverse aspects of how the story was evolv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애, "<선녀와 나무꾼>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읽기 수업의 실제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44) : 177-206, 2011
2 하은하,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73-116, 2017
3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4 최운식, "전래동화의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5 이윤희,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문화의 통합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2017
6 강윤자,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동신대학교 2015
7 양지선,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 「선녀와 나무꾼」을 이용한 표현교육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41-361, 2009
8 김동환, "서사 모티프의 문화 간 이야기화 양상과 한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189-212, 2009
9 김병희, "나무꾼과 선녀· 구렁이 청년과 김부잣집 셋째 딸· 임금님 귀는당나귀 귀" 학이시습 439-457, 2013
10 김영희, "구전이야기 ‘다시쓰기(Re-Writing)’를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한국구비문학회 (34) : 185-242, 2012
1 박선애, "<선녀와 나무꾼>설화를 활용한 한국문화 읽기 수업의 실제 ―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언어문화학회 (44) : 177-206, 2011
2 하은하, "한국어교육을 위한 동아시아 설화 비교 연구: 한국, 베트남, 태국의<나무꾼과 선녀>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31 : 73-116, 2017
3 안미영, "한국어 교육에서 설화 문학을 활용한 문화 교육-‘선녀와 나무꾼’을 통해 본 한국의 문화-"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07-130, 2008
4 최운식, "전래동화의 교육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8
5 이윤희,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문화의 통합교육 방안 연구" 충남대학교 2017
6 강윤자,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방안 연구" 동신대학교 2015
7 양지선, "전래동화를 활용한 한국 문화교육 방안 : 「선녀와 나무꾼」을 이용한 표현교육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2 (32): 341-361, 2009
8 김동환, "서사 모티프의 문화 간 이야기화 양상과 한국어교육" 국어교육학회 (35) : 189-212, 2009
9 김병희, "나무꾼과 선녀· 구렁이 청년과 김부잣집 셋째 딸· 임금님 귀는당나귀 귀" 학이시습 439-457, 2013
10 김영희, "구전이야기 ‘다시쓰기(Re-Writing)’를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한국구비문학회 (34) : 185-242, 2012
11 신선희,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한국구비문학회 (29) : 1-35, 2009
12 고영화, "‘다시쓰기(rewriting)’ 활동의 비평적 성격에 대하여–전래동화 다시쓰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교육학회 3 : 223-240, 1999
13 Stein, N. L., "New Directions in Discourse Processing" Ablex 53-120, 1979
14 Meritt, D., "Narrative analysis: Clinical applications of story generation and story retelling" 54 (54): 429-438, 1989
15 Bruner, J., "Acts of meaning"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16 김환희, "<나무꾼과 선녀>와 일본 <날개옷>설화의 비교연구가 안고 있는 문제점과 가능성" 열상고전연구회 (26) : 85-116, 2007
17 김정애, "<나무꾼과 선녀>에 대한 중국인 학생 A, B의 다시쓰기 사례의 특성과 그 문학치료학적 의미" 한국문학치료학회 39 : 201-233, 2016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한국어 쓰기 교육 모형 개발 연구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언어 접촉 양상(LCP)이 한국어 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3 | 0.93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07 | 1.737 | 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