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를 바라보는 눈, 지구의 소리를 듣는 귀를 열어 주는 책. 토마스 베리가 보여주는 지구에 대한 비전(vision)은 그 이상의 것이다. 베리의 글은 대부분 ‘우리가 우리 앞에 있는 것을 정확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지구를 바라보는 눈, 지구의 소리를 듣는 귀를 열어 주는 책. 토마스 베리가 보여주는 지구에 대한 비전(vision)은 그 이상의 것이다. 베리의 글은 대부분 ‘우리가 우리 앞에 있는 것을 정확히...
지구를 바라보는 눈, 지구의 소리를 듣는 귀를 열어 주는 책. 토마스 베리가 보여주는 지구에 대한 비전(vision)은 그 이상의 것이다. 베리의 글은 대부분 ‘우리가 우리 앞에 있는 것을 정확히 보지 못했거나 듣지 못했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만일 우리가 제대로 보거나 들을 수 있었다면 이런 식으로 지구를 괴롭히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말이다.
‘왜 우리는 이처럼 어리석게 행동하는가?’라는 질문에, 베리는 “우리가 눈멀고 귀먹었기 때문”이라고 대답한다. 산업 시대에 묶여 있는 우리 눈과 귀의 제한된 감수성으로는 지구와 우주의 실체를 온전히 포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출처:RISS, http://www.riss.kr/link?id=M13222299)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1차년도 연구에서 인간의 행복과 지구의 건강을 추구하는 기독교영성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토마스의 저서들을 비...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자는 1차년도 연구에서 인간의 행복과 지구의 건강을 추구하는 기독교영성의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기 위해 토마스의 저서들을 비편적-우주론적 담론을 통해 분석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참고문헌: p. 334-349 (출처:RISS, http://www.riss.kr/link?id=M13222299)
참고문헌: p. 334-349
(출처:RISS, http://www.riss.kr/link?id=M13222299)
국문 초록 (Abstract)
머리말 = 4 서론 = 12 1 우리의 고향으로 돌아가기(Returning to Our Native Place) = 20 2 지구 공동체(The Earth Cmmunity) = 28 3 인간 존재(Human Presence) = 38 4 창조적 에너지(Creative Energy) = 54 5 생태 시대(The ...
머리말 = 4
서론 = 12
1 우리의 고향으로 돌아가기(Returning to Our Native Place) = 20
2 지구 공동체(The Earth Cmmunity) = 28
3 인간 존재(Human Presence) = 38
4 창조적 에너지(Creative Energy) = 54
5 생태 시대(The Ecological Age) = 70
6 기술과 지구의 치유(Technology and the Healing of the Earth) = 90
7 종교적 논의로서의 경제(Economics as a Religious Issue) = 118
8 생태 시대의 미국 대학(The American College in the Ecological Age) = 144
9 그리스도교 영성과 미국의 체험(Christian Spirituality and the American Experience) = 170
10 새로운 이야기(The New Story) = 190
11 가부장제(Patriarchy) : 역사의 새로운 해석(A New Interpretation of History) = 212
12 생태 지역(Bioregions) : 지구에서의 새로운 서식 환경(The Contesxt for Reinhabiting the Earth) = 246
13 허드슨 강 계곡(The Hudson River Valley) : 생태 지역 이야기(A Bioregional Story) = 258
14 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적 역할(The Historical Role of the American Indian) = 272
15 지구의 꿈(The Dream of the Earth) : 미래로 가는 우리의 길(Our Way into the Future) = 292
16 평화의 우주론(The Cosmology of Peace) = 322
참고 문헌 = 334
(출처:RISS, http://www.riss.kr/link?id=M13222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