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0세 미만 사무직 근로자들에서의 흡연 및 비만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 = Relationship Between Symptoms of Depression and Smoking and Obesity in Korean Office Workers Younger than 40 Ye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ough many factor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ill many others remain uncover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the younger population whose depressive symptoms are socioeconomically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older popula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oking and obesity in the young population.
      Methods: Office workers from 40 companies who underwent medical check-ups in 2011 were initially selected.
      Of these, 65,309 subjects had responded to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depressive symptoms with 4,187subjects being excluded on the basis of past medical history and current medication.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selected variables.
      Results: The proportion of high risk groups for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nly seen in females. Smoking and obesity were related to depression in females as assessed b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sc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smoking (odds ratio [OR], 1.89; 95% confidence interval [CI], 1.62-2.05) and obesity (OR, 1.48;95% CI, 1.18-1.82) we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s.
      Conclusions: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female office workers under 40 years of age are related to smoking and obesity. By acting towards stopping smoking and being in a healthy weight category, females may lessen their risk for depression, and thereby lessen their socioeconomic losses.
      번역하기

      Background: Though many factor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ill many others remain uncover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the younger population whose depressive symptoms are socioeconomically more important than...

      Background: Though many factor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ill many others remain uncovered.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the younger population whose depressive symptoms are socioeconomically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older popula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moking and obesity in the young population.
      Methods: Office workers from 40 companies who underwent medical check-ups in 2011 were initially selected.
      Of these, 65,309 subjects had responded to self-reported questionnaires on depressive symptoms with 4,187subjects being excluded on the basis of past medical history and current medication.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the selected variables.
      Results: The proportion of high risk groups for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female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nly seen in females. Smoking and obesity were related to depression in females as assessed by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scor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that smoking (odds ratio [OR], 1.89; 95% confidence interval [CI], 1.62-2.05) and obesity (OR, 1.48;95% CI, 1.18-1.82) were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in females.
      Conclusions: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female office workers under 40 years of age are related to smoking and obesity. By acting towards stopping smoking and being in a healthy weight category, females may lessen their risk for depression, and thereby lessen their socioeconomic loss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기 위해 그동안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많은 부분에서 인과관계 및관련성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 신체건강의 주요한 생활습관 및 질병발생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흡연 및 비만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은 여러 연구들의 결과가 상이하며, 대상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연구는 40세 미만의 남녀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흡연 및 비만이 우울증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종합병원에서 40개 회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3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1년 동안 실시한 건강검진 결과 중, 우울증상 관련 자가기입식 설문에응답한 65,309명을 대상으로 과거력 및 현재 약물복용여부,기타 문진정보를 파악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우울평가 도구로는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였고, 분석도구는 PASW statistics 18.0 (IBM, Armonk, NY, USA)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우울증상과 각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빈도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흡연과 비만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교차비와 95%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여자에서 남자보다 우울증 고위험군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여자에서만 흡연과비만이 CES-D로 분류한 우울증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흡연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흡연자가 우울 고위험군일 교차비는 1.45(95% CI, 1.27-1.64), 현재흡연은 1.89 (95% CI, 1.62-2.05)의교차비를 가졌다. 정상체중에 비했을 때 과체중집단의 교차비는 1.05 (95% CI, 0.95-1.18), 비만집단의 교차비는1.48 (95% CI, 1.18-1.82)였다.
      결론: 40세 미만 사무직 근로자 중, 여자의 우울은 흡연및 비만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집단의우울증상은 고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상보다 더 큰사회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흡연 및비만 관리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연구배경: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기 위해 그동안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많은 부분에서 인과관계 및관련성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 신체건강의 주요한 생활습관 및 질병발생 ...

      연구배경: 우울증과 관련된 요인들을 찾기 위해 그동안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많은 부분에서 인과관계 및관련성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 신체건강의 주요한 생활습관 및 질병발생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흡연 및 비만과 우울증상과의 관련성은 여러 연구들의 결과가 상이하며, 대상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연구는 40세 미만의 남녀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흡연 및 비만이 우울증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종합병원에서 40개 회사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2011년 1월 3일부터 2011년 12월 30일까지 1년 동안 실시한 건강검진 결과 중, 우울증상 관련 자가기입식 설문에응답한 65,309명을 대상으로 과거력 및 현재 약물복용여부,기타 문진정보를 파악하여 최종 연구대상을 선정하였다. 우울평가 도구로는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을 사용하였고, 분석도구는 PASW statistics 18.0 (IBM, Armonk, NY, USA)를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카이제곱 검정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우울증상과 각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보기 위해빈도분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흡연과 비만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교차비와 95%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을 산출하였다.
      결과: 여자에서 남자보다 우울증 고위험군의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여자에서만 흡연과비만이 CES-D로 분류한 우울증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흡연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흡연자가 우울 고위험군일 교차비는 1.45(95% CI, 1.27-1.64), 현재흡연은 1.89 (95% CI, 1.62-2.05)의교차비를 가졌다. 정상체중에 비했을 때 과체중집단의 교차비는 1.05 (95% CI, 0.95-1.18), 비만집단의 교차비는1.48 (95% CI, 1.18-1.82)였다.
      결론: 40세 미만 사무직 근로자 중, 여자의 우울은 흡연및 비만과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집단의우울증상은 고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우울증상보다 더 큰사회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체계적인 흡연 및비만 관리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맹제, "한국 주요정신장애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2006 전국정신질환역학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8 (48): 143-152, 2009

      2 Cho MJ,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186 (186): 304-310, 1998

      3 Wu LT, "Tobacco smoking and depressed mood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89 (89): 1837-1840, 1999

      4 Sohn SI,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16 (16): 803-812, 2012

      5 Wang JL,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mental disorders in men and women: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62 (62): 42-47, 2008

      6 Birrell CE, "The influence of nicotine pretreatment on mesoaccumbens dopamine overflow and locomotor responses to D-amphetamine" 140 : 142-149, 1998

      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WHO

      8 Benwell ME, "The effects of nicotine administration on 5-HT uptake and biosynthesis in rat brain" 84 (84): 71-77, 1982

      9 Jo JS, "The depression in the obese" 16 (16): 239-245, 1995

      10 Martini S, "The association of tobacco smoking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37 (37): 1853-1867, 2002

      1 조맹제, "한국 주요정신장애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2006 전국정신질환역학조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8 (48): 143-152, 2009

      2 Cho MJ, "Use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 scale in Korea" 186 (186): 304-310, 1998

      3 Wu LT, "Tobacco smoking and depressed mood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89 (89): 1837-1840, 1999

      4 Sohn SI,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16 (16): 803-812, 2012

      5 Wang JL,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mental disorders in men and women: finding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62 (62): 42-47, 2008

      6 Birrell CE, "The influence of nicotine pretreatment on mesoaccumbens dopamine overflow and locomotor responses to D-amphetamine" 140 : 142-149, 1998

      7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2004 update" WHO

      8 Benwell ME, "The effects of nicotine administration on 5-HT uptake and biosynthesis in rat brain" 84 (84): 71-77, 1982

      9 Jo JS, "The depression in the obese" 16 (16): 239-245, 1995

      10 Martini S, "The association of tobacco smoking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37 (37): 1853-1867, 2002

      11 Cho MJ, "Prevalence of symptoms of depression in a nationwide sample of Korean adults" 81 (81): 341-352, 1998

      12 Marshall DL, "Presynaptic nicotinic modulation of dopamine release in the three ascending pathways studied by in vivo microdialysis: comparison of naive and chronic nicotine-treated rats" 68 (68): 1511-1519, 1997

      13 McGehee DS, "Nicotine enhancement of fast excitatory synaptic transmission in CNS by presynaptic receptors" 269 (269): 1692-1696, 1995

      14 Berndt ER, "Lost human capital from early-onset chronic depression" 157 (157): 940-947, 2000

      15 Onyike CU, "Is obesity associated with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58 (158): 1139-1147, 2003

      16 Woo JM, "Impact of depression on work productivity and its improvement after outpatient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14 (14): 475-482, 2011

      17 Glassman AH, "Heavy smokers, smoking cessation, and clonidine. Results of a double-blind, randomized trial" 259 (259): 2863-2866, 1988

      18 Piccinelli M, "Gender differences in depression: Critical review" 177 : 486-492, 2000

      19 Taylor DJ, "Epidemiology of insomnia, depression, and anxiety" 28 (28): 1457-1464, 2005

      20 Picciotto MR, "Effect of nicotine and nicotinic receptors on anxiety and depression" 13 (13): 1097-1106, 2002

      21 Widome R, "Doe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smoking vary by body mass index (BMI) category?" 49 (49): 380-383, 2009

      22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3 Grundy S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n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Scientific Statement" 112 (112): 2735-2752, 2005

      24 Goodman E, "Depressive symptoms and cigarette smoking among teens" 106 (106): 748-755, 2000

      25 Dixon JB, "Depression in association with severe obesity: changes with weight loss" 163 (163): 2058-2065, 2003

      26 Frasure-Smith N, "Depression following myocardial infarction. Impact on 6-month survival" 270 (270): 1819-1825, 1993

      27 Gold PW, "Clinical and biochemical manifestations of depression. Relation to the neurobiology of stress (2)" 319 (319): 413-420, 1988

      28 Yu NW, "Association of body mass index and depressive symptoms in a chinese communit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health promo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erformance survey in taiwan" 34 (34): 620-627, 2011

      29 Yook SP, "A clinical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beck anxiety inventory: comparative study of patient and non-patient" 16 (16): 185-197,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1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5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4 0.80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