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에서의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교양교육 사례 및 재학생 인식 조사 연구 = A Study on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Education Cases and Student Perceptions at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62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liberal arts education cases and student perception survey results on ESG in universities, an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is regard, several cases of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and a survey 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liberal arts education cases and student perception survey results on ESG in universities, and to discus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is regard, several cases of universities were investiga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K university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ses of universities offering ESG education opened courses based on 2-3 credit units and online or offline in the basic liberal arts or advanced liberal arts, and various methods were applied along with lectures contents on ESG or SDGs. Lectures were carried out in a way that reflect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or connected with the region. In addition, at the school management level, ESG was declared and promoted, and related subjects and extracurriculars were opened and carried out, or ESG contests, regional innovation platforms and related programs were being implemented. As a result of a survey for K University students (N=370), it was specifically confirmed that students need to raise their awareness of ESG terminology, opening related subjects, and their intention to take courses. It can be seen tha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carry out liberal arts subjects, non-curricular subjects, and school-level implementation plans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university. Through this study, ESG trends and student perceptions in liberal arts education at universities will be identified, and it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future educational direc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ESG 사례 및 재학생 인식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교육적인 함의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 대학의 ESG 교육 및 경영 사례를 조사했으며 K대학교 ...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ESG 사례 및 재학생 인식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 교육적인 함의를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국내 대학의 ESG 교육 및 경영 사례를 조사했으며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ESG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ESG 교육을 하는 대학들은 기초교양 혹은 심화교양 영역에서 2~3학점 단위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기반 교과를 개설하고 ESG나 SDGs 관련 강의를 실시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의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거나 지역 연계 방식으로 강의를 운영하기도 했다. 한편, 학교 경영 차원에서 ESG를 선포, 추진하고 관련 교과, 비교과를 개설, 운영하거나 ESG 공모전, 지역혁신플랫폼과 관련 프로그램 등을 실행하는 대학들도 있었다. K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N=370)를 보면, ESG 용어, 개설되어 있는 관련 교과, 수강 의향 등에 있어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를 볼 때, 대학의 대내·외적 여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교양 교과 및 비교과, 학교 차원의 실행 방안 등을 구성·운영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ESG 대학 교양교육에서의 ESG 동향과 학생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의 교육적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최신인 ; 윤천성,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ESG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2073-2084, 2022

      2 한석우, "충남대학교, ‘ESG 프로젝트 공모전’ 시상식 개최"

      3 윤지현 ; 이경미 ; 김지현 ; 양재석, "초불확실성 시장에서 ESG가기업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동서문제연구원 34 (34): 103-135, 2022

      4 김민석, "책임지는 경영자 정의로운 투자자" 위너스북 2021

      5 정영근 ; 장민수, "지속가능발전의 논의와 발전방향" 한국질서경제학회 10 (10): 61-76, 2007

      6 정영근,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논의전개" 19 (19): 143-164, 2007

      7 정영근 ; 김재필,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 분석과 의미" 한국전문경영인학회 9 (9): 153-175, 2006

      8 김지강, "제각각 ESG지표 혼란 줄인다··정부, ‘K-ESG’ 가이드라인 발표"

      9 임지연, "이철성 건양대 총장, 지역대학 최초 ESG 교육경영가치 도입"

      10 여현덕 ; 박정민, "유엔글로벌컴팩의 성격과 발전방향: ‘사회책임(CSR)’과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 되기’ 대한 쟁점 검토를 통해서"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19-147, 2009

      1 최신인 ; 윤천성,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ESG 연구 동향 분석" 인문사회 21 13 (13): 2073-2084, 2022

      2 한석우, "충남대학교, ‘ESG 프로젝트 공모전’ 시상식 개최"

      3 윤지현 ; 이경미 ; 김지현 ; 양재석, "초불확실성 시장에서 ESG가기업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동서문제연구원 34 (34): 103-135, 2022

      4 김민석, "책임지는 경영자 정의로운 투자자" 위너스북 2021

      5 정영근 ; 장민수, "지속가능발전의 논의와 발전방향" 한국질서경제학회 10 (10): 61-76, 2007

      6 정영근, "지속가능발전의 개념과 논의전개" 19 (19): 143-164, 2007

      7 정영근 ; 김재필, "지속가능발전세계정상회의 분석과 의미" 한국전문경영인학회 9 (9): 153-175, 2006

      8 김지강, "제각각 ESG지표 혼란 줄인다··정부, ‘K-ESG’ 가이드라인 발표"

      9 임지연, "이철성 건양대 총장, 지역대학 최초 ESG 교육경영가치 도입"

      10 여현덕 ; 박정민, "유엔글로벌컴팩의 성격과 발전방향: ‘사회책임(CSR)’과 ‘기업시민(Corporate Citizenship) 되기’ 대한 쟁점 검토를 통해서" 극동문제연구소 25 (25): 119-147, 2009

      11 오수길 ; 곽병훈, "유엔 SDGs 지방화의 맥락과 이행 방안" 한국NGO학회 13 (13): 113-152, 2018

      12 김고은, "쏟아지는 ESG 경영 기사들, 언론사 ·미디어 기업 현주소는" 한국기자협회

      13 양준석, "순천대, 지역공공기관 연계 비즈니스 모델 첫 사례 나와"

      14 이승환, "서울예대, ‘ESG 교육경영’ 선포"

      15 권상철 ; 박경환, "새천년개발목표(MDGs)에서 지속가능개발목표(SDGs)로의이행 : 그 기회와 한계" 한국지역지리학회 23 (23): 62-88, 2017

      16 장재현, "리우+20과 국제개발협력"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 KOICA 2012 (2012): 125-143, 2012

      17 이원지, "동아대, ESG경영 실천 교과목‘함께 해결하는 사회문제' 개설"

      18 양준규, "대학생 78.6%, “‘ESG 경영’ 의미 알고 있어”"

      19 강윤지 ; 김상훈,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3 (33): 7-39, 2022

      20 변영조 ; 우승한, "기업의 ESG 경영에 대한 국내·외 연구동향" 한국청정기술학회 28 (28): 193-200, 2022

      21 이한얼, "국내 특성 반영한 'K-ESG' 지표 나왔다"

      22 신승희, "강원대 신입생 대상 ‘지속가능발전의이해’ 교과목 개설/운영"

      23 이정기 ; 이재혁, "“지속가능경영” 연구의 현황 및 발전방향: ESG 평가지표를 중심으로" 한국전략경영학회 23 (23): 65-92, 2020

      24 김미자, "‘지속가능한 발전 (Sustainable Development)’ 개념의 현실화를 위한 일고(一考)" 21세기정치학회 15 (15): 288-307, 2005

      25 이현주, "‘ESG 경영’의 짧지만 긴 역사...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지속 가능 경영까지"

      26 성승제, "ʻ지속가능한 발전ʼ과 ʻ기업의 사회적 책임ʼ의 통합과법적 쟁점 -서론적 고찰-" 한국증권법학회 14 (14): 1-46, 2013

      27 장혜승, "[창간기획 ‘미래교육, 혁신만이 답이다’] ④ ESG 인재는 시대적 요구… 대학, ESG경영으로미래교육 첫 단추 꿰야"

      28 전원준, "[창간 8주년] ESG 경영, 청년의 마음 얻어야 성공한다"

      29 이진백, "[똑똑!ESG①] ESG,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생존 전략: 우리는 왜 ESG에 주목해야 할까?"

      30 박진형, "[ESG가 온다] ③국민연금 “ESG 투자, 내년 전체 자산 절반으로 확대”"

      31 The Global Compact, "Who Cares Wins; Connecting Financial Markets to a Changing World"

      32 World Commission on Environment & Development(WCED), "Our Common Future" United Nati 1987

      33 조상우, "ESG의 이해와 ESG 경영을 해야 하는 이유" 26 (26): 1-4, 2021

      34 전혜원, "ESG, 핵심은 인권이다"

      35 이갑수, "ESG, 기업경영의 뉴 패러다임"

      36 김상준 ; 조희진 ; 허두희, "ESG 관점에서의 기업교육 가치: SK 그룹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전략경영학회 25 (25): 31-59, 2022

      37 김호석, "ESG 관련 국내외 동향 및 환경정책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연구원 2021

      38 이경엽, "ESG 경영은 긍정의 영향력 확대이다"

      39 김재필, "(ESG의 모든 것) ESG는 자본주의의 태동과 함께 시작됐다. 나라경제, 2022년 2월호"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