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선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회심과 변혁에 관한 것으로써, 회심과 변혁에 중점을 둔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논문이다. 현대교회 선교학의 동향 속에 나타난 에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48873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79-106(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선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회심과 변혁에 관한 것으로써, 회심과 변혁에 중점을 둔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논문이다. 현대교회 선교학의 동향 속에 나타난 에큐...
본 논문은 선교학적 관점에서 살펴본 회심과 변혁에 관한 것으로써, 회심과 변혁에 중점을 둔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중요성을 제시하는 논문이다. 현대교회 선교학의 동향 속에 나타난 에큐메니칼과 복음주의자 사이에 일어난 회심과 변혁의 선교관은 한 세기를 통해 풍성하게 나타났다. 에큐메니칼 쪽에서 선교의 정의는 주로 사회정의와 구제에 중점을 두는 미시오 데이(Missio Dei)를 강조한 반면에, 복음주의 선교학은 성경에 철저한 회심과 변혁의 사역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저자는 그동안에 이루어진 이러한 선교학적 동향을 살피고 현대 주요 복음적인 선교학자들의 선교이론과 선교의 정의를 분석하며 회심과 변혁의 선교를 살펴보았으며, 화란의 J. H. Bavinck, J. I. Packer, J. Verkuyl, Jonathan Edwards의 선교에서 회심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 성경의 텍스트에서 나타난 참된 회심과 변혁의 정의와 그 의미들을 정립함으로 선교학의 주제인 회심과 변혁의 선교학을 정립할 필요성을 추구하였다. 그리고 로잔선교운동(Lausanne I 1974, Lausanne II 1989, Lausanne III 2010)과 로잔언약은 회심과 변혁의 선교신학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난 70년대에 일어난 급진적인 선교사상에 대한 비판과 함께 회심과 변혁의 성경적 선교신학에 충실한 교본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오늘 한국교회의 문제와 정체된 교회성장과 선교사역을 회복함에 있어서 성경적 회심과 변혁의 복음에 대한 온전한 헌신과 연구의 중요성을 깨닫게 된다. 한국에서 개최된 세계선교학회(IAMS)의 주제로서 “회심과 변혁: 종교적 변화에 대한 선교학적 접근”을 논의하면서, 문제점으로 개인적 회심만 강조하고 그로 말미암아 일어날 어떤 사회적 변혁을 이끌어내지 못하는 안타까운 현실 교회를 지적하였다.
21세기 한국교회의 선교 역량을 집대성하고 지속가능한 선교사역을 위해서 그동안 추구하였던 복음적이고 성경적 선교인 회심과 변혁의 사역을 지향하여 실천함이 필요하다. 영혼을 구원하고 하나님나라를 확장하는 선교와 교회를 개척하고 설립하여 성장케 하는(마 4:17; 막 16:15) 아름다운 선교사역을 위하여(롬 10:14-15), 오늘의 선교신학은 영혼의 회심과 변혁을 중심하는 선교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온전한 회심과 구원의 역사를 위한 선교신학은 성경 중심적인 선교신학의 정립이 우선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a missiological reflection on the subject of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from an evangelical perspective. For effective missionary work, today Korean church needs a biblical missiology of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m...
This article analyzes a missiological reflection on the subject of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from an evangelical perspective. For effective missionary work, today Korean church needs a biblical missiology of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During modern times, ecumenical churches and evangelical churches have discussed that subject on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The ecumenical line has focused a social service and justice as mission tasks in the name of Missio dei, but the evangelical line has tried a subject on the conversion of souls through missionary works. The writer studied major mission trends of modern evangelical missiologists during 20th century, and discussed missiological matters on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such as J. H. Bavinck, J. I. Packer, J. Verkuyl, Jonathan Edwards. And the writer also tried to provide a biblical definition and meaning of tru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And he also suggested a missiolocal idea on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Lausanne Mission Movement through Lausanne I (1974), Lausanne II (1989), Lausanne III (2010). The Lausanne movement has a strong missionary movement on the biblical concepts of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for evangelical and biblical missiology since its beginning.
For the solution of her church problems and effective missionary works, Korean Church needs a biblical missiology on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In Seoul Korea, the 14th IAMS(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ission Studies) has discussed the topic of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missiological approaches to religious change." That conference concluded that Korean church needs social transformation as well as personal conversion for today. For 21st century effective missionary works(Mt.4:17; Mk16:15; Rom10:14-15), Korean church needs evangelical and biblical doctrines on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as a main missiological tasks. The writer insisted that modern church should focus on a missiological study on the convers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 a strong biblical mission the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Washer, Paul, "회심: 복음의 부름에 대한 참된 반응" 생명의말씀사 2013
2 Willis, Jim, "회심" IVP 2008
3 Verkuyl, J., "현대선교신학개론"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4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92
5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출판부 1973
6 양낙흥,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론: 청교도 전도방식에 비추어 본 현대전도방식의 평가" (9) : 168-201, 1999
7 조현진,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향적 구원론” 연구" 한국개혁신학회 30 : 128-153, 2011
8 Peace, Richard V., "신약이 말하는 회심" 좋은 씨앗 2001
9 Calvin, John, "시편주석" 1949
10 이용원, "선교적 관점에서 본 회심과 개종" (9) : 11-35, 2002
1 Washer, Paul, "회심: 복음의 부름에 대한 참된 반응" 생명의말씀사 2013
2 Willis, Jim, "회심" IVP 2008
3 Verkuyl, J., "현대선교신학개론" 기독교문서선교회 1991
4 한국기독교사연구회, "한국기독교의 역사 I" 기독교문사 1992
5 백낙준, "한국개신교사" 연세대출판부 1973
6 양낙흥, "조나단 에드워즈의 구원론: 청교도 전도방식에 비추어 본 현대전도방식의 평가" (9) : 168-201, 1999
7 조현진, "조나단 에드워즈의 “성향적 구원론” 연구" 한국개혁신학회 30 : 128-153, 2011
8 Peace, Richard V., "신약이 말하는 회심" 좋은 씨앗 2001
9 Calvin, John, "시편주석" 1949
10 이용원, "선교적 관점에서 본 회심과 개종" (9) : 11-35, 2002
11 Young, John M. L., "선교의 기초" Tdn 북스 1999
12 한국일, "선교와 회심" 17 : 407-426, 2001
13 Peters, George, "선교성경신학 (A Biblical Foundation of Missions)" 크리스찬출판사 2004
14 Schnabel, Echhard J., "선교사 바울" 부흥과 개혁사 2014
15 Packer, J. I., "복음전도와 하나님의 주권" 생명의말씀사 1977
16 Schnabel, Echhard J., "바울의 선교방법론" CLC 43-67, 2016
17 박보경, "로잔운동에 특집 로잔복음화 운동과 한국교회 나타난 전도와 사회적 책임의 관계"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2 (22): 9-43, 2013
18 김성욱, "로잔운동과 선교" 한국로잔위원회 47-74, 2014
19 김승호, "로잔운동과 선교" 한국로잔위원회 17-46, 2014
20 Walls, Andrew F., "개종이냐 회심이냐: 신약에 나타난 복음과 문화" 9 : 103-111, 2002
21 Beza, Theodore, "The Life of John Calvin" 1884
22 Hocking, William E., "Re-Thinking Missions, A Layman's Inquiry after One Hundred Years" Harper & Brothers 1932
23 Kuiper, R. B., "God-Centered Evangelism" The Banner of Truth 1961
24 Colson, Charles W., "Born Again" Chosen 2008
25 Bavinck, Johannes H.,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issions" Presbyterian and Reformed Publishing Co 1960
26 Packer, James I., "A Quest for Godliness: The Puritan Vision of the Christian Life" Crossway Books 1990
27 Clowney, Edmund P., "A Critique of the ‘Political Gospel’" 11 : 11-, 1967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본 한국 기독교의 회심과 변혁의 과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5 | 1.35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 | 0.96 | 1.006 | 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