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도서관 조도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Illuminance Measurement and Improvement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971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important identity of public library is local public goods that guarantee access and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local residents. To justify this, the library must create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Particularly, since the perception rate of information through vision is over 80%,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per illuminance. This study measured the illuminance level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desirable illuminance level for each space and proposed plans to secure and maintain proper illuminance(prospective revision of the KS A 3011, setting the illuminance range for each space of the local government, replacing the existing lighting fixtures with LED, enhance supervision of lighting management, establishment of basic principles for proper lighting and detailed plans for each space of the library, investigation and reflection on users' complaints and satisfaction, etc.)
      번역하기

      The most important identity of public library is local public goods that guarantee access and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local residents. To justify this, the library must create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Particularly, since the percep...

      The most important identity of public library is local public goods that guarantee access and us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local residents. To justify this, the library must create an optimal lighting environment. Particularly, since the perception rate of information through vision is over 80%,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per illuminance. This study measured the illuminance level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desirable illuminance level for each space and proposed plans to secure and maintain proper illuminance(prospective revision of the KS A 3011, setting the illuminance range for each space of the local government, replacing the existing lighting fixtures with LED, enhance supervision of lighting management, establishment of basic principles for proper lighting and detailed plans for each space of the library, investigation and reflection on users' complaints and satisfaction, etc.)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공공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은 지역주민의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을 보장하는 공공재이다. 이를 정당화하려면 도서관은 최적의 조명환경을 구비해야 한다. 특히 시각을 통한 정보인지 비율이 80%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적정 조도를 확보하는데 방점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조도수준을 측정․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별 조도수준을 제시하고, 적정 조도를 확보․유지하는 방안(국가표준 조도기준(KS A 3011)의 전면 개정, 관할주체인 자치단체의 법규에 조명기준 및 공간별 조도범위 설정, 기존 조명기구의 LED로 교체, 조명관리에 대한 감독기능 강화, 운영주체인 도서관의 적정 조도 확보·유지를 위한 기본원칙 수립과 공간별 세부방안 마련, 이용자의 불만사항과 만족도 등에 대한 주기적 조사와 반영)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공공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은 지역주민의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을 보장하는 공공재이다. 이를 정당화하려면 도서관은 최적의 조명환경을 구비해야 한다. 특히 시각을 통한 정...

      공공도서관의 가장 중요한 정체성은 지역주민의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과 이용을 보장하는 공공재이다. 이를 정당화하려면 도서관은 최적의 조명환경을 구비해야 한다. 특히 시각을 통한 정보인지 비율이 80%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적정 조도를 확보하는데 방점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지역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조도수준을 측정․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간별 조도수준을 제시하고, 적정 조도를 확보․유지하는 방안(국가표준 조도기준(KS A 3011)의 전면 개정, 관할주체인 자치단체의 법규에 조명기준 및 공간별 조도범위 설정, 기존 조명기구의 LED로 교체, 조명관리에 대한 감독기능 강화, 운영주체인 도서관의 적정 조도 확보·유지를 위한 기본원칙 수립과 공간별 세부방안 마련, 이용자의 불만사항과 만족도 등에 대한 주기적 조사와 반영)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2 한국표준협회, "조도기준"

      3 이수복, "어린이도서관의 실내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4 안성조, "대구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191-205, 2014

      5 문화체육관광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6 教育機器編集委員会, "産業教育機器システム便覧" 日科技連出版社 1972

      7 川島 梨沙, "照度色度連動制御照度個別照明環“ および温をすることでセンサのみで境を実現する知的照明システム"

      8 照明学会, "屋内照明のガイド" 電気書院 1980

      9 葉百軒, "公立圖書館照明環境之評估硏究: 以台中市為例" 逢甲大學 建築所 2005

      10 Kruithof, A.A, "Tubular Luminescence Lamps for General Illumination" 6 : 65-96, 1941

      1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기준"

      2 한국표준협회, "조도기준"

      3 이수복, "어린이도서관의 실내조명환경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6

      4 안성조, "대구시 LED 조명 보급활성화 사업의 선정기준과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13 (13): 191-205, 2014

      5 문화체육관광부, "공공도서관 건립․운영 매뉴얼"

      6 教育機器編集委員会, "産業教育機器システム便覧" 日科技連出版社 1972

      7 川島 梨沙, "照度色度連動制御照度個別照明環“ および温をすることでセンサのみで境を実現する知的照明システム"

      8 照明学会, "屋内照明のガイド" 電気書院 1980

      9 葉百軒, "公立圖書館照明環境之評估硏究: 以台中市為例" 逢甲大學 建築所 2005

      10 Kruithof, A.A, "Tubular Luminescence Lamps for General Illumination" 6 : 65-96, 1941

      11 Mills, E, "Trends in Recommended Illuminance Level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28 (28): 155-163, 1999

      12 Leighton, Philip D, "Planning Academic and Research Library Building" ALA 1999

      13 ILO, "Physical Hazards: Indoor Workplace Lighting"

      14 International Energy Agency, "Light's Labour's Lost : Policies for Energyefficient Lighting" OECD/IEA 2006

      15 ISO/CIE Central Bureau, "International Standard: Lighting of Indoor Work Places(ISO 8995:2002(E)/CIE S 008/E-2001)"

      16 Bureau of Indian Standards, "IS 2672: Code of Practice for Library Lighting"

      17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s and Institutions, "IFLA Principles for the Care and Handling of Library Material" IFLA 1998

      18 Illuminating Engineering Society, "IES RP-4-13: Recommended Practice for Library Lighting"

      19 中华人民共和国建设部, "GB 50034-2004 建筑照明设计标准规范" 建设部 2004

      20 이윤혜, "C-대학교 도서관열람실 조명환경에 따른 피로도와 만족도" 167-168, 2012

      21 서지은,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Illumination Environment in Public Libraries in Daegu"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3 (23): 1-9, 2009

      22 Thangaraj, G, "A Study on Influences of Lighting on Resource 'Usage in an Institution Library'" 3 (3): 222-225, 2014

      23 문화체육관광부, "2016 전국 문화기반시설총람" 문화체육관광부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1-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4-10-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도서관ㆍ정보학회 -> 한국도서관·정보학회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9 0.72 0.99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