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Kirkpatrick 평가 모델에 근거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성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16605
2020
-
리더십 ; 간호교육 ; 체계적 문헌고찰 ; Leadership ; Nursing education ; Review literature
373
KCI등재
학술저널
21-41(2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Kirkpatrick 평가 모델에 근거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성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시행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과 Kirkpatrick 평가 모델에 근거한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성과 수준을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문헌 검색은 2019년 12월 31일까지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국외 데이터베이스 Cochrane Central, PubMed, EMBASE, CINAHL을 이용하였고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System (RISS)를 이용하여 2020년 1월 9일부터 12일까지 실시하였다. 문헌 검색의 핵심어는 ‘nursing student*’, ‘leadership program’, ‘leadership curriculum’, ‘leadership course’, ‘leadership education’을 조합하여 검색하였다. 총 2076편의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따라 10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간호대학생 리더십 교육은 주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주로 사용된 교육 방법은 토의였고, 9편의 연구에서 Kirkpatrick 평가 모델 중 1단계인 반응평가(Reaction)를 포함하여 2단계 학습평가(Learning)의 수준에서 평가하였다.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기술, 의사소통 능력, 임상지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정규 교과과정과 비정규 교과과정 중 더 효과적인 리더십 교육 방법에 대한 효과비교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a structur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eadership education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a structur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conducted on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researchers searched using the PubMed, EMBASE, CINAHL, Cochrane central, and RISS. Ten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Results: 4 of the 10 literature studies were pre-post, no control group and quasi-experimental. Leadership education was mainly conducted on fourth grade nursing students. The main training methods used were discussion, and leadership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were measured as major learning outcomes. Conclusion: Leadership training programs have been identified as a way to effectively improve leadership skills, communication skills, management skill, and clinical knowledge, and to educate key capabilities that future nursing leaders should hav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Kirkpatrick, D., 50 (50): 54-60, 1996
2 안금희,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병원간호사회 9 (9): 17-28, 2003
3 박인숙, "상황리더십 프로그램이 간호리더의 비판적 사고, 코칭 및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568-8575, 2015
4 박은하,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기초간호학회 20 (20): 132-140, 2018
5 이용태, "미국 대학의 리더십교육과 국내 B대학 코칭 프로그램 사례"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197-1203, 2011
6 오승은, "멘토링 프로그램 경험이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91-199, 2017
7 김지영,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575-586, 2015
8 장선영, "대학 인문학 토의·토론 단계별 주요 요인 우선순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37-354, 2019
9 김은주, "경인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24-332, 2011
10 김희경, "간호사의 인간관계, 의사소통, 창의적 행동, 간호서비스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병원간호사회 13 (13): 25-36, 2007
1 Kirkpatrick, D., 50 (50): 54-60, 1996
2 안금희, "실무교육 프로그램의 효과평가" 병원간호사회 9 (9): 17-28, 2003
3 박인숙, "상황리더십 프로그램이 간호리더의 비판적 사고, 코칭 및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8568-8575, 2015
4 박은하, "병원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기초간호학회 20 (20): 132-140, 2018
5 이용태, "미국 대학의 리더십교육과 국내 B대학 코칭 프로그램 사례"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1197-1203, 2011
6 오승은, "멘토링 프로그램 경험이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191-199, 2017
7 김지영,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575-586, 2015
8 장선영, "대학 인문학 토의·토론 단계별 주요 요인 우선순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37-354, 2019
9 김은주, "경인지역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의사결정유형에 따른 셀프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24-332, 2011
10 김희경, "간호사의 인간관계, 의사소통, 창의적 행동, 간호서비스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병원간호사회 13 (13): 25-36, 2007
11 김복미, "간호사가 지각한 수간호사의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 13 (13): 373-383, 2007
12 김혜경, "간호리더를 위한 에니어그램을 활용한 감성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36 (36): 737-747, 2019
13 신은정,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리더십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4595-4603, 2015
14 김진선, "간호대학생을 위한 국제보건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19 (19): 1637-1654, 2017
15 손행미, "간호대학 학부과정 의사소통 교과목 현황 및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 17 (17): 426-434, 2011
16 김은경, "간호 리더십 역량모델 개발" 군건강정책연구소 26 (26): 6-22, 2008
17 Gordon, J., "Validating NSSE against student outcomes: Are they related?" 49 (49): 19-39, 2008
18 Contractor N. S., "The topology of collective leadership" 23 (23): 994-1011, 2012
19 Wong, C. A.,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leadership and patient outcomes : a systematic review update" 21 (21): 709-724, 2013
20 Kuh, G. D., "The other curriculum : Out of class experiences associated with student learning and personal development" 66 (66): 123-155, 1995
21 Paterson, K., "The impact of a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me on nurses' self-perceived leadership capability" 23 (23): 1086-1093, 2015
22 Committee on the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Initiative on the Future of Nursing, at the Institute of Medicine, "The future of nursing: Leading change, advancing health"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23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The essentials of baccalaureate education for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es of Nursing 2008
24 Koo, O. H.,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TBL) on leadership, empowerment, and followership of nursing students" 9 (9): 2098-2103, 2018
25 Janke, K. K., "Student leadership retreat focusing on a commitment to excellence" 73 (73): 48-, 2009
26 Thomas, C., "Preparing nursing students in a leadership/management course for the workplace through simulations" 7 (7): 99-104, 2011
27 Moher, D.,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the PRISMA statement" 151 (151): 264-269, 2009
28 김수영,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29 Dorsey, L. E., "Mentori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assessing the state of the science" 29 (29): 260-265, 2004
30 Cummings, G. G., "Leadership styles and outcome patterns for the nursing workforce and work environment : a systematic review" 47 (47): 363-385, 2010
31 Bhalla, P.,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for Nurses at a Healthcare for the Homeless Program : A Educational Intervention" 35 (35): 179-188, 2018
32 Shen, Q., "Kansas nurse leader residency programme : advancing leader knowledge and skills" 26 (26): 148-157, 2018
33 Greenfield, W., "Instructional Leadership: Concepts, Issues, and Controversies" ERIC 1987
34 Brock, A. M., "Impact of a management-oriented course on knowledge and leadership skills exhibited by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27 (27): 217-221, 1978
35 Pascarella, E.,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 A third decade of research" Jossey- Bass 2005
36 Knight, C. C., "Getting Students to Value Leadership Early in the Nursing Curriculum : Innovation Makes It Possible" 40 (40): 254-256, 2019
37 Hofer, B. K., "Dimensionality and disciplinary differences in personal epistemology" 25 : 378-405, 2000
38 오승은, "Developing and Evaluating a Camp-style Leadership Enhance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간호행정학회 25 (25): 52-61, 2019
39 DeSilets, L. D., "Connecting the dots of evaluation" 40 (40): 532-533, 2009
40 Kling, V. G., "Clinical leadership project" 49 (49): 640-643, 2010
41 Fitzpatrick, J. J., "A Leadership Education and Development Program for Clinical Nurses" 46 (46): 561-565, 2016
침묵식 교수법을 활용한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 대상 모음 발음 교정 연구
학업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진로미결정 대학생들의 내적 인식 탐색 : 포토보이스 적용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42 | 1.436 | 0.33 |
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현대사회와 리더십
안양대학교 박소연리더십
영산대학교 이학희리더십
중앙대학교 박찬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