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경험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습자들이 음악적 창의성을 발휘하고 사회적책임감을 내면화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77004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191-1215(25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경험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습자들이 음악적 창의성을 발휘하고 사회적책임감을 내면화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경험과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습자들이 음악적 창의성을 발휘하고 사회적책임감을 내면화할 수 있는 실천적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음악 중심 지속가능발전교수학습 모형’ 개발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실천적 음악교육 철학을 기반으로, 음악교육에서 삶과 사회, 세계에 대한 가치관 형성의 중요성과 함께 자발적 실천을 통한 사회적 책무성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교수학습방법론 도출을 위하여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쟁점과 함께 지속가능발전 교육의 핵심 교수법으로서 변혁적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을분석하였다. 1차적으로, 4단계로 구성된 음악중심 지속가능발전 교수학습과정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검증과 자문을 통해모형을 정교화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음악 중심 지속가능발전 교수학습과정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은 음악학습을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하여 이해와 실천을 구조적으로 확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도입-탐구-적용-참여 및 실천’의 4단계로 설계되었다. 학습의 각 단계에서는 변혁적 교수법 원리를 적용하여 경험, 비판적 사고와 성찰, 사회적 상호 작용과 창의적 문제 해결,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강조하였다. 전문가 검증 및 자문을 통하여 모형의 단계 특성을 구체화하고 음악학습에서의 실제적 적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천적 장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음악 경험을 기반으로학습자의 전인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보다 구체화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서 제안한 실천적 모형은 범교과적 가치의 교과 교육 적용이라는 점에서 학문적, 교육적 의의를 가지며, 지속가능발전교육과 음악교육의 유기적연계를 위한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organically con nects musical experience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llowing learners to express their musical creativity and inter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organically con nects musical experience wit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allowing learners to express their musical creativity and internalize social responsibility Methods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development of a “Music-Centered Sustainable Development Teaching- Learning Model” grounded in the philosophy of practical music education. It explor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values related to life, society, and the world through music education, alongside the cultivation of social responsi bility through voluntary practices. To derive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the study analyzed key issues i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nd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transformative pedagogy as a core teaching method. Initially, a draft of the music-centered sustainable development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comprising four stages, was developed. This model was then refined and finalized through expert vali dation and consultation.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a “Music-Based Transformative Learning Mode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developed. The model aims to structurally expand understanding and practice by linking music learning wit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It is designed in four stages: “Introduction - Exploration - Application - Participation and Practice.” In each stage of learning, the principles of transformative pedagogy are applied, emphasizing expe rience,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on, social interaction and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rough expert validation and consul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ge of the model were clarified, and practical applications for music learning were proposed.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potential of music education to serve as a practical platform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ased on musical experiences, it proposed a more concrete educational approach that can contribute to the holistic growth of learners and the formation of a sustainable future society. The practical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holds academic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applies cross-curricular val ues to subject-specific education, and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organic linkage betwee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usic education.
대학 핵심역량 진단 도구의 유연성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고도화: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학생중심교육의 진화와 변이: 학생 주체성 담론의 특성 탐색을 위한 역사적 고찰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