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하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수, 치수 목적만의 고려하던 과거와 다르게 환경기능까지 모두 고려한 하천 환경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47041
2022
-
500
학술저널
240-240(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하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수, 치수 목적만의 고려하던 과거와 다르게 환경기능까지 모두 고려한 하천 환경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
최근 하천 환경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수, 치수 목적만의 고려하던 과거와 다르게 환경기능까지 모두 고려한 하천 환경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생태기능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에 대한 평가에는 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 개발한 어류에 대한 유량과 서식지 가용성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물리적 서식처 모형 Pysical HABitat SIMulation, PHABSIM)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PHABSIM은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eable Area, WUA)과 유량의 관계 곡선을 산출하여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PHABSIM을 이용하여 한강 지류의 5개 지점 원주천 치악교, 양화천 율극교, 복하천 흥천대교, 탄천 대왕교, 중랑천 신곡교에서 각 지점의 대표어종에 대한 가중가용면적을 산정하고 최적 생태유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에 사용된 유량은 한강 지류 5개 지점의 2012~2021년 데이터가 사용되었으며, 대표 어종으로는 원주천에서 돌고기가 양화천, 복하천, 탄천에서는 피라미가 그리고 중랑천에서는 참붕어가 사용되었다. 산정된 생태유량을 각 하천의 유지유량과 비교하였을 때 원주천, 양화천, 중랑천 지점에서는 생태유량이 기존의 유지유량 보다 작게 나타났다. 반대로 복하천, 탄천의 경우 하천 유지유량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5개 지점에서 생태유량은 대체로 갈수량~저수량 또는 저수량~평수량 사이 값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하천복구 또는 생태유량 유지를 위한 가이드라인의 기준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derstanding the water footprint paradigm in Region IV-A (CALABARZON), Philippines
겨울 밀 재배포장에서의 관개조건에 따른 토양수분 및 작물생육 영향 모니터링
디지털 농업을 위한 파종, 시비, 관개 조건에 따른 밀 재배포장에서의 토양수분 모니터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