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잊혀진 만주지역 독립운동가 金昌煥의 민족운동 = The overlooked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fighter Kim Chang-Hwan, and his struggle for National Independence against the Japanese Administration in Manchu,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285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Chang-Hwan was a Korean soldier, who represented his country on the frontlines against Japanese forces at their colony in Manchu, he did his along with his other objective in Manchu, which was to construct a base for a national independence army ...

      Kim, Chang-Hwan was a Korean soldier, who represented his country on the frontlines against Japanese forces at their colony in Manchu, he did his along with his other objective in Manchu, which was to construct a base for a national independence army abroa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e took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independence organizations in Manchu which were Seorogunjeongseo, Daehantonguibu, Jeonguibu, Saengyuksa, and Korea Independence army organization, ect. As well as working diligently training and organizing armed forces for national independence as an instructor at the Shin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He especially put in considerable work and effort to cultivate the armies for national independence at the Shin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with Yoon, Kiseub and some other people for almost 10 years. It was due to these efforts that he earned the respect and admiration of the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He is estimated to have been the prime mover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Manchu in 1920s, and as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Seogunjeongseo and the Daehantonguibu later. Whilst through his work as a deputy commander of the Jeonguibu, and the Korea Independence Army, he made a large contribution towards the success of pro Korean liberation organization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Ji, Chungchun in Manchu. However he was not able to stay for a long period in Manchu, so he moved to the Mainland of China to contribute in th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Alas it was there that he died in combat while fighting for Korean independence; however his efforts were not in vain, as his work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Shinhan Independence Party, the Minzok Revolution Party, the Joseon Revolution Party etc, played a part in the eventual liberation of Korea.
      Kim, Changhwan performed his duty for his country as a soldier in Manchu and in the Mainland China from the Daehan Empire. After his death for the country, "HANMIN" 12(March 1. 1937) which was an organ of the Hanmin Party was organized in Hangju, China in Nov. 1935, and this was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party against the Japanese administration. They ran an article under the headline “(Chudang) Kim, Changhwan passed away” which mourned his sacrifice for his country.
      Kim, Changhwan took refuge in Manchu as a former military man of the Deahan Empire and cultivated many armies for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From his efforts and sacrifice we can say he was the embodiment of a real soldier and patriot in the last fight against the Imperial Japanese administr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김창환은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출발하여 일제가 조선을 강점하자 신민회의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한 후 끊임없이 만주벌판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무장투...

      김창환은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출발하여 일제가 조선을 강점하자 신민회의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한 후 끊임없이 만주벌판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무장투쟁론자이다. 그는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서 독립군 양성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로군정서, 대한통의부, 정의부, 생육사, 한국독립군 등 만주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그는 신흥무관학교에서 윤기섭 등과 함께 가장 어려운 시절 10년 가까이 신흥무관학교를 유지하며 독립군 양성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많은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게 되었을 것이다. 그가 이후 서로군정서와 대한통의부의 총사령으로서 192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 투쟁을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정의부 총사령, 한국독립군의 부사령 등 독립군 지도자로서 큰 기여를 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에는 지청천과 함께 한국독립군으로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그는 더 이상 만주에 머물 수 없게 되자 중국본토로 이동하여 신한독립당, 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등에서 항일투쟁을 지속하다 순국하였다.
      김창환은 대한제국군인에서 출발하여 참 군인으로서 만주와 중국본토에서 군인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였다. 그가 순국한 후 1935년 11월에 중국 항주에서 결성된 민족주의진영의 대표적인 독립운동정당인 한국국민당의 기관지 『한민』 12호(1937년 3월 1일 자)에서는 그의 죽음을 추도하여 「추당 김창환 선생 별세」라는 글을 싣고 있다.
      결국 김창환은 대한제국의 군인출신으로서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무장투쟁을 끝가지 전개한 참 군인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사업회, 윤기섭기념사업회 2011

      2 채영국, "한민족의 만주독립운동과 정의부" 국학자료원 2000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43, 중국지역 독립운동 재판기록" 2000

      4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1(105인사건공판시말서 Ⅰ)" 1986

      5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6 장세윤, "한국독립군의 해체와 관내지역이동, In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7 국사편찬위원회, "통감부문서 8권 문서제목 (42) 合邦 문제에 관한 기독교도의 행동, 문서번호 警秘第二四八號, 발송일 隆熙三年十二月八日(1909.12.8), 발송자 警視總監 若林賚藏 , 수신자 統監 子爵 曾荒助"

      8 "추당(秋堂) 김창환 선생 별세"

      9 "조(吊) 추당 일송(一松) 양선생(兩先生)"

      10 박영석, "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1 대한민국임시정부 기념사업회, 윤기섭기념사업회 2011

      2 채영국, "한민족의 만주독립운동과 정의부" 국학자료원 2000

      3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43, 중국지역 독립운동 재판기록" 2000

      4 국사편찬위원회, "한민족독립운동사자료집 1(105인사건공판시말서 Ⅰ)" 1986

      5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6 장세윤, "한국독립군의 해체와 관내지역이동, In 193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투쟁"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7 국사편찬위원회, "통감부문서 8권 문서제목 (42) 合邦 문제에 관한 기독교도의 행동, 문서번호 警秘第二四八號, 발송일 隆熙三年十二月八日(1909.12.8), 발송자 警視總監 若林賚藏 , 수신자 統監 子爵 曾荒助"

      8 "추당(秋堂) 김창환 선생 별세"

      9 "조(吊) 추당 일송(一松) 양선생(兩先生)"

      10 박영석, "일제하 독립운동사연구" 일조각 1984

      11 "이동녕사력 (3)"

      12 "이동녕사략 (2)"

      13 "윤기섭과 추당 김창환-신흥학교를 유지"

      14 "우당 이회영일가의 망명과 독립운동" 2010

      15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 역사비평사 2001

      16 元秉常, "신흥무관학교, In 독립운동사자료집 10" 1976

      17 "신흥교우보를 위하야 즁앙교육회를 죠직"

      18 한규무, "상동청년회에 대한 연구 1897~1914" 126 : 1990

      19 일본외무성, "불령단관계잡건 재만주부"

      20 양기탁, "보안법사건 판결문"

      21 이은숙, "민족운동가 아내의 수기-서간도시종기" 정음사 1983

      22 "매일신보 1913년 3월 21일, 23일 자"

      23 박환, "만주한인민족운동사연구" 일조각 1991

      24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7" 1973

      2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5" 1974

      26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4" 1973

      27 박걸순, "대한통의부 연구" (4) : 1990

      28 박환, "대륙으로 간 혁명가들" 국학자료원 2003

      29 "김창환의 11번째 자식인 金埈浩의 부인 黃明秀(1929년생)의 증언"

      30 윤병석, "국외한인사회와 민족운동" 일조각 1990

      31 "고 추당 김창환 선생을"

      32 李相龍, "石洲遺稿"

      33 "李靑天先生"

      34 "我軍界의 好人物"

      35 Japan Chronicle, "105인 사건 공판참관기"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6 1.61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