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수태, "한국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사계절 2014
2 이기백, "한국고대사론" 일조각 1995
3 장인성, "한국 고대 도교의 특징" 백제문화연구소 1 (1): 71-90, 2015
4 "일본서기"
5 김영심, "웅진․사비시기 백제 지배층의 사상적 지향 - 六朝 士大夫와의 비교를 통하여 -" 백제문화연구소 1 (1): 205-239, 2012
6 주보돈, "신라의 한문자 정착과정과 불교수용" 1 : 2001
7 장인성, "신라의 학문과 교육・과학・기술"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7
8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9 박광연, "신라법화사상사연구" 한국연구원 2013
10 노중국, "신라 中古期 儒學 사상의 수용과 확산" 대구사학회 93 : 1-28, 2008
1 김수태, "한국고대사연구의 시각과 방법" 사계절 2014
2 이기백, "한국고대사론" 일조각 1995
3 장인성, "한국 고대 도교의 특징" 백제문화연구소 1 (1): 71-90, 2015
4 "일본서기"
5 김영심, "웅진․사비시기 백제 지배층의 사상적 지향 - 六朝 士大夫와의 비교를 통하여 -" 백제문화연구소 1 (1): 205-239, 2012
6 주보돈, "신라의 한문자 정착과정과 불교수용" 1 : 2001
7 장인성, "신라의 학문과 교육・과학・기술"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7
8 이기백, "신라사상사연구" 일조각 1986
9 박광연, "신라법화사상사연구" 한국연구원 2013
10 노중국, "신라 中古期 儒學 사상의 수용과 확산" 대구사학회 93 : 1-28, 2008
11 김수태, "성주탁교수 추모사학논총" 진인진 2012
12 "삼국유사"
13 "삼국사기"
14 박중환,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에 반영된 소승불교적(小乘佛敎的) 성격에 대하여" 백제문화연구소 (39) : 125-141, 2008
15 조경철, "사비도읍기의 백제" 2007
16 심상육, "부여 구아리 319 유적 출토 편지목간의 이해" 한국목간학회 (15) : 45-63, 2015
17 심상육, "부여 ‘중앙성결교회유적’ 및 ‘뒷개 유적’ 출토 목간보고" 7 : 2011
18 장인성, "백제의 제의와 종교" 2007
19 김두진, "백제의 정신세계" 주류성 2006
20 채미하,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整備" 동국역사문화연구소 (48) : 31-62, 2010
21 김수태, "백제의 사비천도와 불교" 대구사학회 95 : 73-101, 2009
22 길기태, "백제의 법화사상과 ‘혜현구정’" 31 : 2010
23 노중국, "백제사회사상사" 지식산업사 2010
24 김영심,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한국고대사학회 (64) : 363-403, 2011
25 김수태,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변동" 5 : 1991
26 김수태, "백제 위덕왕대 능산리 사원의 창건" 27 : 1998
27 조경철, "백제 사택지적비에 나타난 불교신앙" 한국역사연구회 (52) : 149-177, 2004
28 서현주, "백제 사비기 왕릉발굴의 새로운 성과와 역사적 해석, 한국고대사와 왕릉고고학" 2017
29 김수태, "백제 법왕대의 불교" 15 : 2000
30 김수태, "백제 무왕대의 정치세력" 14 : 1999
31 김영심,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한국사상사학회 (40) : 211-251, 2012
32 권오영, "무령왕릉 출토 진묘수의 계보와 사상적 배경, 무령왕릉 출토유물분석보고서(Ⅱ)" 2006
33 "무령왕릉 출토 方格規矩神獸文鏡"
34 최수빈, "무령왕릉 지석의 새로운 해석" 2018
35 최수빈, "도교에서 바라보는 저세상 : 신선(神仙)과 사자(死者)들의 세계에 반영된 도교적 세계관과 구원" 한국도교문화학회 (41) : 303-350, 2014
36 박중환, "金石文을 통해서 본 백제인의 來世觀" 호남사학회 (29) : 27-56, 2007
37 김영심, "百濟의 道敎 成立 問題에 대한 一考察" 백제연구소 (53) : 159-190, 2011
38 조성우, "後漢魏晉 鎭墓文의 종교적 특징과 道敎 ― 五石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17) : 51-87, 2011
39 조성우, "中世 中國 生死觀의 一面과 道敎 ― 殃禍의 觀念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학회 (25) : 185-22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