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친고죄의 고소불가분 원칙의 적용 범위에 관한 소고 : 공범의 일부에 관한 고소 및 고소취소를 중심으로 = Several review points for the scope of indivisibility of complaint: Focusing on the revocation of the complaint against some of the accompl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25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중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이 법리상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단순일죄의 경우에도 고소는 가분될 수 있다. 통설은 결합범인 단순일죄의 경우에 피해자가 단순일죄의 일부인 비친고죄를 고소하더라도 항상 친고죄 전부에 대하여 고소의 효력이 미친다고 한다. 그렇지만 피해자의 의사가 비친고죄 부분만 고소하는 것이 명백하다면 친고죄 전부에 대한 고소가 있다고 보아서는 안된다. 또한 친고죄 전부를 고소하지 않더라도 검사가 그중 일부를 구성하는 비친고죄로 공소제기하는 것은 당해 범죄를 친고죄로 규정한 취지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면 적법하다. 한편,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효력은 공범이 아닌 자에게는 미칠 여지가 없다. 공범의 여부는 고소권자가 공범관계로 고소하거나, 검사가 공범관계로 공소를 제기하였는지에 좌우되지 않고 공판절차에서 심리한 결과 진정한 공범관계가 있다고 사실 인정되는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소인이 범인이 아닌 자를 공범으로 오인하고 고소한 경우 그 고소는 진범에 대하여는 효력이 미치지 않고, 검사가 공범으로 기소하였더라도 공범관계가 인정되지 않으면 기소되지 않은 자에 대한 고소취소가 공범으로 기소된 다른 자에게 효력이 미칠 수 없다. 친고죄의 고소 또는 고소취소의 판단은 검사가 공소제기한 공소사실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검사가 비친고죄임에도 불구하고 친고죄로 기소한 경우 소송조건의 충족 여부는 검사가 공소제기한 범죄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소권자의 고소취소는 비친고죄에 대한 것이더라도 검사가 공소제기한 친고죄를 기준으로 공범관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고소불가분의 원칙이 적용되어 소송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친고죄의 적법한 고소는 소송조건으로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법원은 이에 관하여 직권으로 조사, 심리하여야 한다. 적법한 고소의 존재는 공소제기의 적법·유효요건이므로 그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다. 그러나 적법한 고소가 있었다는 점이 증명된 이상 그 고소가 적법하게 취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책임까지 검사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고소가 취소되었다는 점이 불명인 경우에는 적법한 고소가 있는 상태이므로 법원은 실체판단으로 나아가야 한다.
      번역하기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중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이 법리상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단순일죄의 경우에도 고소는 가분될 수 있다. 통설은 결합범인 단순일죄의 경우에 피...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중 객관적 불가분의 원칙이 법리상 당연히 인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없고, 단순일죄의 경우에도 고소는 가분될 수 있다. 통설은 결합범인 단순일죄의 경우에 피해자가 단순일죄의 일부인 비친고죄를 고소하더라도 항상 친고죄 전부에 대하여 고소의 효력이 미친다고 한다. 그렇지만 피해자의 의사가 비친고죄 부분만 고소하는 것이 명백하다면 친고죄 전부에 대한 고소가 있다고 보아서는 안된다. 또한 친고죄 전부를 고소하지 않더라도 검사가 그중 일부를 구성하는 비친고죄로 공소제기하는 것은 당해 범죄를 친고죄로 규정한 취지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면 적법하다. 한편,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효력은 공범이 아닌 자에게는 미칠 여지가 없다. 공범의 여부는 고소권자가 공범관계로 고소하거나, 검사가 공범관계로 공소를 제기하였는지에 좌우되지 않고 공판절차에서 심리한 결과 진정한 공범관계가 있다고 사실 인정되는 여부에 의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소인이 범인이 아닌 자를 공범으로 오인하고 고소한 경우 그 고소는 진범에 대하여는 효력이 미치지 않고, 검사가 공범으로 기소하였더라도 공범관계가 인정되지 않으면 기소되지 않은 자에 대한 고소취소가 공범으로 기소된 다른 자에게 효력이 미칠 수 없다. 친고죄의 고소 또는 고소취소의 판단은 검사가 공소제기한 공소사실을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검사가 비친고죄임에도 불구하고 친고죄로 기소한 경우 소송조건의 충족 여부는 검사가 공소제기한 범죄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소권자의 고소취소는 비친고죄에 대한 것이더라도 검사가 공소제기한 친고죄를 기준으로 공범관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고소불가분의 원칙이 적용되어 소송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친고죄의 적법한 고소는 소송조건으로 법원의 직권조사사항이므로 법원은 이에 관하여 직권으로 조사, 심리하여야 한다. 적법한 고소의 존재는 공소제기의 적법·유효요건이므로 그 증명책임은 검사에게 있다. 그러나 적법한 고소가 있었다는 점이 증명된 이상 그 고소가 적법하게 취소되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한 증명책임까지 검사에게 있는 것은 아니다. 고소가 취소되었다는 점이 불명인 경우에는 적법한 고소가 있는 상태이므로 법원은 실체판단으로 나아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cannot be said that the objective indivisibility of complaint principle is naturally recognized by the law. If it is clear that the victim s intention is only filing a complaint to the part of the offenses, it should not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complaint against all the offens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divisible effect of the complaint extends to the person in the accomplice relationship, there is no room for an indivisible effect on the person who is not a co-offenders. Clarifying accomplice relationship shall not depend on the intent of the complainant or the prosecutor s fact of charge, but shall be determined by whether a true accomplice relationship is finally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hearing of the trial proceedings. Therefore, if the complainant mistakenly recognizes a person who is not an offender and filing complaint against him/her, the complaint cannot be effective against the real offender, and even if the prosecutor prosecutes as a co-offender, the revocation of the complaint against one party cannot be effective against the other if accomplice relationship is not recognized. Whether there is a legitimate complaint or revocation of the complaint shall be based on the prosecutor s statement of the facts charged. Therefore, even if the complainant s revocation of the complaint is for an offense not subject to complaint, if the accomplice relationship is recognized based on the prosecutor s charge, the principle of indivisible complaint may apply, thus it may not meet the terms of the lawsuit. The prosecutor is responsible for proving whether a legitimate complaint existed. As long as it is proved that the complaint was legitimately filed, if it is unclear that the complaint has been legally canceled, the court shall proceed to the substantive judgment for sentencing guilty or not guilt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laint has the effect of indivisibility, it is inevitable to examine whether an accomplice relationship is recognized, since this is about the existence or absence of litigation conditions, it is possible with free proof, not strict proof.
      번역하기

      It cannot be said that the objective indivisibility of complaint principle is naturally recognized by the law. If it is clear that the victim s intention is only filing a complaint to the part of the offenses, it should not be considered that there is...

      It cannot be said that the objective indivisibility of complaint principle is naturally recognized by the law. If it is clear that the victim s intention is only filing a complaint to the part of the offenses, it should not be considered that there is a complaint against all the offenses. 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divisible effect of the complaint extends to the person in the accomplice relationship, there is no room for an indivisible effect on the person who is not a co-offenders. Clarifying accomplice relationship shall not depend on the intent of the complainant or the prosecutor s fact of charge, but shall be determined by whether a true accomplice relationship is finally recognized as a result of the hearing of the trial proceedings. Therefore, if the complainant mistakenly recognizes a person who is not an offender and filing complaint against him/her, the complaint cannot be effective against the real offender, and even if the prosecutor prosecutes as a co-offender, the revocation of the complaint against one party cannot be effective against the other if accomplice relationship is not recognized. Whether there is a legitimate complaint or revocation of the complaint shall be based on the prosecutor s statement of the facts charged. Therefore, even if the complainant s revocation of the complaint is for an offense not subject to complaint, if the accomplice relationship is recognized based on the prosecutor s charge, the principle of indivisible complaint may apply, thus it may not meet the terms of the lawsuit. The prosecutor is responsible for proving whether a legitimate complaint existed. As long as it is proved that the complaint was legitimately filed, if it is unclear that the complaint has been legally canceled, the court shall proceed to the substantive judgment for sentencing guilty or not guilty.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laint has the effect of indivisibility, it is inevitable to examine whether an accomplice relationship is recognized, since this is about the existence or absence of litigation conditions, it is possible with free proof, not strict proof.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Ⅱ.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Ⅲ.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적용범위 Ⅳ. 증명방법과 증명책임 Ⅴ. 나가며
      • Ⅰ. 들어가며 Ⅱ. 친고죄의 고소불가분의 원칙 Ⅲ.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적용범위 Ⅳ. 증명방법과 증명책임 Ⅴ. 나가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한, "형사절차상 공범 처벌의 공평성에 관한 소고 - 고소 불가분의 원칙과 공소시효 정지효의 관점에서 -" 법학연구원 (56) : 115-143, 2016

      2 양동철, "형사소송절차에서의‘공범’" 법학연구소 51 (51): 119-157, 2016

      3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0

      4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9

      5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6 이창현, "형사소송법" 정독 2021

      7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1

      8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출판부 2021

      9 정성근, "형법각론" 성균관대출판부 2015

      10 최병각, "친족상도례와 고소불가분" 한국형사법학회 33 (33): 185-213, 2021

      1 김정한, "형사절차상 공범 처벌의 공평성에 관한 소고 - 고소 불가분의 원칙과 공소시효 정지효의 관점에서 -" 법학연구원 (56) : 115-143, 2016

      2 양동철, "형사소송절차에서의‘공범’" 법학연구소 51 (51): 119-157, 2016

      3 배종대, "형사소송법" 홍문사 2020

      4 이주원, "형사소송법" 박영사 2019

      5 임동규, "형사소송법" 법문사 2016

      6 이창현, "형사소송법" 정독 2021

      7 이재상, "형사소송법" 박영사 2021

      8 김성돈, "형법각론" 성균관대출판부 2021

      9 정성근, "형법각론" 성균관대출판부 2015

      10 최병각, "친족상도례와 고소불가분" 한국형사법학회 33 (33): 185-213, 2021

      11 박진환, "친고죄인 모욕죄의 단독범(동시범)으로 기소된 경우 모욕죄의 공동정범으로 인정하여 고소의 주관적 불가분 원칙을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 (98) : 2014

      12 박달현, "친고죄와 고소불가분의 원칙 – 그 문제점 및 개선방향" 12 : 1999

      13 김희옥, "주석 형사소송법(II)" 한국사법행정학회 2009

      14 최대호, "일죄일부에 대한 공소제기의 적법성" 법학연구원 (61) : 389-424, 2011

      15 히라라기 토키오, "일본형사소송법" 박영사 2012

      16 김성돈, "양벌규정의 법적 성격과 대법원이 말하지 않은 것들" 한국형사판례연구회 25 : 1-39, 2017

      17 신동운, "신형사소송법" 법문사 2014

      18 이존걸, "수사단서로서의 고소" 한국법학회 (19) : 305-325, 2005

      19 홍영기, "소추재량권의 실현으로서 일죄일부기소" 안암법학회 (53) : 357-396, 2017

      20 박달현, "반의사불벌죄와 고소불가분의 원칙" 법조협회 53 (53): 168-190, 2004

      21 손동권, "고소불가분의 원칙과 강간범에 대한 공소권의 행사" 박영사 (1) : 1993

      22 백형구, "고소불가분의 원칙" 1992

      23 이재상, "고소불가분의 원칙" 고시계 통권 : 1988

      24 "Schönke/Schröder/Bosch"

      25 "BeckOK StGB/Dallmeyer,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0-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법학연구소 -> 법학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ungKyunKwan Law Review KCI등재
      2008-05-1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비교법연구소 -> 법학연구소
      영문명 : Institute for Comparative Legal Studies ->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7 0.849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