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經國大典』을 통해 본 하곡 정제두의 經濟觀 = Jeong, Je-doo’s Economic Thought in Gyoung-Gook-Dae-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74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하곡(霞谷)의 경제의 목적은 첫째, 나라를 안정시키고 태평하게 하기 위한 튼튼한 국가재정이었으며 둘째,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고 살리며 생활을 돕는 생민(生民)에 있었다.
      이 연구는 하곡의 사상이 조선(朝鮮)의 기본 법전으로 통용되었던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의미를 가졌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결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을 화폐관(貨幣觀), 조세관(租稅觀), 토지관(土地觀) 그리고 생민관(生民觀) 등으로 분류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각 관점들에 대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화폐관: 하곡은 사람의 심성을 황폐하게 하는 화폐사용을 반대하고 근본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였던 반면에 『경국대전』은 화폐사용을 적극 권장하였다. ② 조세관: 하곡은 ‘가관세 감주세(加官稅 減主稅)’를 단행하여 조세형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국가 재정 확대를 주장하였던 것에 비하여 『경국대전』은 철저한 조세징수 방안만을 규정하였다. ③ 토지관: 하곡은 토지소유 상한제[限田制] 시행으로 균전(均田)을 이루어 부익부 빈익빈(富益富 貧益貧)의 사회ㆍ경제적 문제를 개혁하려 하였으며, 『경국대전』은 이에 대한 규정이 없다. ④ 생민관: 하곡은 백성의 생명을 중시하는 생민(生民)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경국대전』은 정부주도의 상평창과 군자창을 운영하는 규정하였다.
      번역하기

      하곡(霞谷)의 경제의 목적은 첫째, 나라를 안정시키고 태평하게 하기 위한 튼튼한 국가재정이었으며 둘째,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고 살리며 생활을 돕는 생민(生民)에 있었다. 이 연구는 하...

      하곡(霞谷)의 경제의 목적은 첫째, 나라를 안정시키고 태평하게 하기 위한 튼튼한 국가재정이었으며 둘째, 백성의 고통을 덜어주고 살리며 생활을 돕는 생민(生民)에 있었다.
      이 연구는 하곡의 사상이 조선(朝鮮)의 기본 법전으로 통용되었던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비추어 볼 때 어떤 의미를 가졌는가를 검토하였다. 이 결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관점을 화폐관(貨幣觀), 조세관(租稅觀), 토지관(土地觀) 그리고 생민관(生民觀) 등으로 분류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각 관점들에 대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화폐관: 하곡은 사람의 심성을 황폐하게 하는 화폐사용을 반대하고 근본에 충실할 것을 강조하였던 반면에 『경국대전』은 화폐사용을 적극 권장하였다. ② 조세관: 하곡은 ‘가관세 감주세(加官稅 減主稅)’를 단행하여 조세형평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국가 재정 확대를 주장하였던 것에 비하여 『경국대전』은 철저한 조세징수 방안만을 규정하였다. ③ 토지관: 하곡은 토지소유 상한제[限田制] 시행으로 균전(均田)을 이루어 부익부 빈익빈(富益富 貧益貧)의 사회ㆍ경제적 문제를 개혁하려 하였으며, 『경국대전』은 이에 대한 규정이 없다. ④ 생민관: 하곡은 백성의 생명을 중시하는 생민(生民)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경국대전』은 정부주도의 상평창과 군자창을 운영하는 규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object of Jeong, Je-doo’s economic is strong national financial for nation’s stability and peace. And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for remove a pain and revive.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the meaning of the Ha-gok’s thought in Gyoung-Gook-Dae-Jeon(G.G.D.J, 經國大典)? Result, It i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ore categories from detail point of view: money, taxes, land, and people’s livelihood.
      These points are the same as follows. 1. Money thought: J. D. Jeong againsted to use money that devastate of people’s mind and emphasized substantial of the fundamental. On the other hand, G.G.D.J promoted to use money. 2. Taxes thought: J. D. Jeong thought on maintain the taxes equality on ‘increase taxes-reduce rent of lend’ and emphasized to enlarge of national financial. On the other hand, G.G.D.J provided only for strong tax collection method. 3. Land thought: J.D.Jeong thought to reform of social-economic problem -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in operation of ‘landowne-maximum-system’. On the other hand, G.G.D.J have not provide about it. 4. People’s livelihood thought: J.D.Jeong thought on people’s livelihood for point of people life. On the other hand, G.G.D.J provided about ‘san-pyoung-chang’ and ‘gun-ja-chang’ by government.
      This point of view, his economic thought is revealed the democratic ‘friendly-people thought’ on base of true mind-true studies. G.G.D.J is got up ‘new people thought’ on base of confucianism(Ju-ja-studies).
      번역하기

      An object of Jeong, Je-doo’s economic is strong national financial for nation’s stability and peace. And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for remove a pain and revive.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the meaning of the Ha-gok’s thought in Gyoung-Goo...

      An object of Jeong, Je-doo’s economic is strong national financial for nation’s stability and peace. And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for remove a pain and revive.
      This study examined what was the meaning of the Ha-gok’s thought in Gyoung-Gook-Dae-Jeon(G.G.D.J, 經國大典)? Result, It i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ore categories from detail point of view: money, taxes, land, and people’s livelihood.
      These points are the same as follows. 1. Money thought: J. D. Jeong againsted to use money that devastate of people’s mind and emphasized substantial of the fundamental. On the other hand, G.G.D.J promoted to use money. 2. Taxes thought: J. D. Jeong thought on maintain the taxes equality on ‘increase taxes-reduce rent of lend’ and emphasized to enlarge of national financial. On the other hand, G.G.D.J provided only for strong tax collection method. 3. Land thought: J.D.Jeong thought to reform of social-economic problem - ‘the rich get richer and the poor get poorer’ in operation of ‘landowne-maximum-system’. On the other hand, G.G.D.J have not provide about it. 4. People’s livelihood thought: J.D.Jeong thought on people’s livelihood for point of people life. On the other hand, G.G.D.J provided about ‘san-pyoung-chang’ and ‘gun-ja-chang’ by government.
      This point of view, his economic thought is revealed the democratic ‘friendly-people thought’ on base of true mind-true studies. G.G.D.J is got up ‘new people thought’ on base of confucianism(Ju-ja-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경국대전』의 이해
      • Ⅲ. 하곡의 경제관과 『경국대전』의 비교
      • Ⅳ. 맺음말
      • 【요약문】
      • Ⅰ. 머리말
      • Ⅱ. 『경국대전』의 이해
      • Ⅲ. 하곡의 경제관과 『경국대전』의 비교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 정재훈,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 수용과 경세사상" 서울대 국사학과 29 : 1993

      3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사상" 한국학술정보 2007

      4 이은용, "하곡 정제두의 경세론에 나타나는 행정학적 의미와 해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경안, "하곡 정제두의 경세론" 연세대학교 10 : 1988

      6 오영교, "조선후기 체제변동과 속대전" 혜안 2005

      7 왕양명, "전습록 1,2" 청계 2007

      8 정인보, "양명학연론" 한국국학진흥원 2005

      9 이상호, "양명우파와 정제두의 양명학" 혜안 2008

      10 오영교, "세도정권기 조선사회와 대전회통" 혜안 2007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2 정재훈,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 수용과 경세사상" 서울대 국사학과 29 : 1993

      3 박연수, "하곡 정제두의 사상" 한국학술정보 2007

      4 이은용, "하곡 정제두의 경세론에 나타나는 행정학적 의미와 해석" 인천대학교 대학원 2009

      5 박경안, "하곡 정제두의 경세론" 연세대학교 10 : 1988

      6 오영교, "조선후기 체제변동과 속대전" 혜안 2005

      7 왕양명, "전습록 1,2" 청계 2007

      8 정인보, "양명학연론" 한국국학진흥원 2005

      9 이상호, "양명우파와 정제두의 양명학" 혜안 2008

      10 오영교, "세도정권기 조선사회와 대전회통" 혜안 2007

      11 "經國大典", "법제처 譯註" 1993

      12 최재목, "동아시아에서 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의 갖는 의미" 한국양명학회 (13) : 5-34, 2005

      13 박연수, "강화학파의 양명학" 한국학술정보 2008

      14 정인재, "강화양명학파의 위상과 현대적 의미" 한국양명학회 (13) : 2005

      15 鄭齊斗, "霞谷集" 경인문화사 1995

      16 이은용, "霞谷學의 행정학적 意味 찾기: 탐색적 접근" 한국양명학회 (24) : 227-263, 2009

      17 鄭齊斗, "霞谷全集" 여강출판사 1988

      18 한예원, "霞谷 鄭齊斗의 貨幣觀을 통해본 經世思想" 한국양명학회 (22) : 197-221, 2009

      19 "譯註 經國大典 飜譯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20 "譯註 經國大典 註釋篇"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21 윤국일, "新編 經國大典" 신서원 2005

      22 정두영, "18세기 군민일체 사상의 구조와 성격-하곡 정제두의 양명학적 정치사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5 : 199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陽明學 -> 양명학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9 1.123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