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조성법과 Markov Chain 모형을 결합한 지역 인구예측모형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89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opulation of a city is a leading indicator in urban planning. Because sizes of various infrastructure including housings, streets and facilities related to urban services are most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of a target year. Hence, an inaccurate forecasting of population will result in in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within a city. However, there is usually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a forecasted population and the actual population. The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ore accurate population forecasting model. specifically, In the model the cohort-component method is used for natural growth and the Markov chain model for migration. Also,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stationary Markov chain model, the study adopts the non-stationary model by adding migration factors including the housing developme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e-in and the move-out city. The study specifically shows that the model developed reduces the difference between forecasting and actual population. Also, using the model the policy scenarios on balanced development are examined.
      번역하기

      Population of a city is a leading indicator in urban planning. Because sizes of various infrastructure including housings, streets and facilities related to urban services are most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of a target year. Hence, an i...

      Population of a city is a leading indicator in urban planning. Because sizes of various infrastructure including housings, streets and facilities related to urban services are most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opulation of a target year. Hence, an inaccurate forecasting of population will result in in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within a city. However, there is usually a considerable difference between a forecasted population and the actual population. The study attempts to develop a more accurate population forecasting model. specifically, In the model the cohort-component method is used for natural growth and the Markov chain model for migration. Also, To enhance the accuracy of the stationary Markov chain model, the study adopts the non-stationary model by adding migration factors including the housing developments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move-in and the move-out city. The study specifically shows that the model developed reduces the difference between forecasting and actual population. Also, using the model the policy scenarios on balanced development are examin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두섭, "한국의 인구 1,2" 통계청 2002

      2 권용우, "지역간 인구이동 패턴 연구" 국토연구원 1999

      3 이은우, "지역간 삶의 질 차이와 인구이동과의 관계" 7 (7): 72-80, 1998

      4 김경수, "정상 마르코프 연쇄모형에 의한 부산권 인구분포예측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3-46, 2003

      5 한주성, "인구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7

      6 김홍배, "성별 · 연령별 지역효용을 고려한 지역간 인구이동 예측 모형개발"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57-268, 2008

      7 김경수, "비정상 마르코프 연쇄모형에 의한 부산권 인구분포 예측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30, 2004

      8 김영우, "도시기본계획상 계획인구 추정의 한계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31-147, 2008

      9 경기개발연구원, "도시기본계획 인구지표의 설정실태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10 김홍배,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론" 기문당 2005

      1 김두섭, "한국의 인구 1,2" 통계청 2002

      2 권용우, "지역간 인구이동 패턴 연구" 국토연구원 1999

      3 이은우, "지역간 삶의 질 차이와 인구이동과의 관계" 7 (7): 72-80, 1998

      4 김경수, "정상 마르코프 연쇄모형에 의한 부산권 인구분포예측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33-46, 2003

      5 한주성, "인구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7

      6 김홍배, "성별 · 연령별 지역효용을 고려한 지역간 인구이동 예측 모형개발" 한국도시행정학회 21 (21): 257-268, 2008

      7 김경수, "비정상 마르코프 연쇄모형에 의한 부산권 인구분포 예측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19-30, 2004

      8 김영우, "도시기본계획상 계획인구 추정의 한계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3 (43): 131-147, 2008

      9 경기개발연구원, "도시기본계획 인구지표의 설정실태와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6

      10 김홍배, "도시 및 지역경제 분석론" 기문당 2005

      11 문채, "국토계획법상 도시기본계획제도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39 (39): 39-52, 2004

      12 이외회, "경기도의 인구이동요인에 관한 탐구" 35 (35): 67-76, 2000

      13 Borgers, A., "Transport facilities and residential choice behavior: a model of multi-person choice processes" 72 (72): 45-61, 1993

      14 Ravenstein E.G, "The laws of migration" 52 : 241-301, 1889

      15 Sjaastad L.A, "The cost and returns of human migration" 72 : 80-93, 1962

      16 남봉현, "Markov Chain을 이용한 인구이동 경향 분석-1981년부터 1988년까지의 자료를 중심으로" 14 (14): 72-80, 1989

      17 안종욱,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수도권 인구분포 예측에 관한연구" 3 : 1-18, 2009

      18 Boarnet M.G, "An Empirical Model of Intra-metropolitan Population and Employment Growth" 73 : 135-153, 1994

      19 Lee E.S, "A theory of migration" 3 (3): 47-57, 1966

      20 Todaro M.P, "A Model of Labor Migration and Urban Unemployment in Less Developed Countries" 59 (59): 138-148,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6-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Planners Association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12-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4 1.34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